포근한 봄날씨를 보이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일부 내륙지방에 미세먼지농도가 '약간 나쁨' 상태인 16일 오전 서울 은평구 진흥로에서 시민들이 북한산으로 오르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기상청은 “이날 서울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미세먼지가 짙겠다”며 “이외 지역에서도 미세먼지 농도가 일시적으로 높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시 중랑구 예일 스튜디오의 남태석 사진가는 1982년부터 40년 넘게 한자리를 지켜온 베테랑이다. 1980년대 문전성시 속에 하루가 모자랄 만큼 바쁘게 지내, 대학 졸업까지 40년이 걸렸다는 그는 지금도 카메라로 세월 속 가족의 변화를 기록한다. Q. 가족사진 촬영은 언제부터 증가했다고 보세요? A. 1990년대부터로 기억합니다.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집에 가족사진 하나쯤 걸어놓아야 하지 않겠냐’는 말을 했다고 해요. 또한 부자가 화재 때 값비싼 미술품보다 가족사진을 먼저 챙겼다는 일화도 돌았어요. 그만큼 가족사진이 소중하다
고령 1인 가구의 증가는 지역 돌봄 공백을 키운다. 지자체 ‘1인 가구 지원센터’ 프로그램은 온라인에 공지하거나 연령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어 정보 접근성 측면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노원어르신휴센터’는 이웃을 연결하고 어르신들과 단단한 관계를 엮어간 사례다. 현장에서 본 ‘마을 돌봄’의 힘 노원구는 서울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세 번째로 많다. 특히 65세 이상 1인 가구는 2만 3808가구로 서울에서 가장 많은 지역구다. 이들 대부분은 아파트의 탄생과 함께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왔어도 이웃과 관계를 맺어본 경험은 흔치 않다. ‘
시어머니와 며느리, 장인어른과 사위의 관계는 결혼을 통해 법적으로 맺어지는 관계다. 그러니 마냥 편하지만은 않은 사이다. 며느리는 시부모 앞에서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고, 사위는 장인·장모 앞에서 긴장된 자세를 유지하니 말이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다양한 사례에서 보듯 서로를 친구이자 동반자로 받아들이며 편안한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여전히 불편하다면 이제는 바꿔볼 때다. 작은 존중과 대화의 시도로 가족은 의무적인 관계를 넘어 든든한 동반자가 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가족관계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과거에는 고부
우리 사회에서 가족의 모습이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전통적인 부부·자녀 중심의 가구에서 벗어나 1인 가구, 황혼이혼, 다문화, 비친족, 조손가족,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 등 다양한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조사 통계는 이러한 변화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흐름임을 보여준다. 이웃들의 다양한 가구 형태 1인 가구는 이미 전체 가구의 3분의 1을 넘어섰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보건복지포럼’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010년 417만 4000여 가구에서 2023년 734만 1000여 가구로 1.7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