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희망자들이 해당 지역에 미리 살아볼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증가하는 추세다.
귀농귀촌을 계획하는 도시민들이 우려하는 점이 정착 성공 여부다. 도시와 다른 생활환경과 문화, 주민들과의 관계에 적응해야 하고, 농업 경험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민을 해소해 줄 목적으로 각 지자체들은 희망 지역에 미리 살아보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귀농인의 집’과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다. 건물을 신축하거나 빈집을 정비해 마련한 곳으로, 귀농 희망자들이 거주하며 영농 기술을 배우고 농촌 생활을 체험할 수 있다. 체류 기간은 짧게는 1개월, 길게는 6개월~12개월로 지자체마다 다양하다.
선배 귀농인 가정에서 며칠간 지내며 농가 현장, 농사 및 주거 체험을 하는 ‘귀농 홈스테이’도 있다. 현지인 가정과 직접 매칭되어 관계를 쌓고, 실제 농가에 거주하며 보다 밀접하게 귀농인의 삶을 체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체험형 프로그램은 귀농인의 성공적인 정착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경남 함양군 체류형 농업지원센터에 따르면 3년간 수료생 150여 명 중 70%인 100여 명이 함양군에 정착했다.
정부에서도 체험형 귀농귀촌 지원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중점 정책으로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이 농촌에 장기 거주하며 일자리, 생활, 주민 교류 등을 체험할 수 있다. 전국 89개 시군에서 500가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참가자에게는 최장 6개월의 주거와 연수 프로그램, 월 30만 원의 연수비를 지원한다.
이 프로그램의 주요 참가자는 5060 은퇴 예정자, 40대 이직 희망자, 청년 구직자다. 농식품부는 지자체와 협력해 이들의 관심을 고려한 지역 맞춤형 프로그램을 만들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정책 방향을 ‘지역 밀착형 체험ㆍ정보 제공’으로 전환해,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하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 김정희 농업정책국장은 “귀농귀촌에 대한 도시민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런 관심과 수요가 농촌 이주 실행과 지역 안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촘촘하게 정책적‧제도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