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여기 머물면 여기가 현재가 돼요"

기사입력 2020-08-12 08:00

[여권 없이 훌훌 지구 한 바퀴] PART 4. 영화 보며 해외여행

코로나19에 지쳐 있거나 해외여행을 떠나지 못할 때 위로와 휴식을 위한 ‘힐링 영화 보기’. 저마다 소중히 품고 있는 해외 핫 플레이스를 영화에서 만날 수 있다. 과거의 기분을 되살리고 감동도 만끽할 수 있는 작품을 준비해봤다.


(이미화 작가)
(이미화 작가)

유튜브 검색창에 ‘도시이름+ASMR’을 입력한다. ‘런던도서관 ASMR’, ‘로마의 아침 풍경 ASMR’, ‘뉴욕의 밤거리 ASMR’, ‘치앙마이 빗소리 ASMR’, ‘도쿄 카페 ASMR’….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시대에 나의 여행은 대개 이런 식이다. 인적 드문 카페에 자리를 잡고 앉아 떠나고 싶은 여행지의 소음을 들으며 잠시 숨을 고르는 것.

나는 이해할 수 없는 언어를 백색소음 삼아 커피를 마실 때, 외국에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종류의 여행자다. 누군가에겐 일상일지도 모를 낯선 풍경 속에서의 기분 좋은 위화감이야말로, 여행지에서만 새길 수 있는 감각이기 때문이다.

유난히 더울 거라는 올여름 더위 전망을 보고 있자니 벌써부터 마스크를 끼고 보내야 할 한 철이 두려워진다. 손님이 거의 없는 동네 카페 구석에 이어폰을 꽂고 앉아 ‘파리 카페 ASMR’을 재생한다. 가만히 눈을 감고,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다던 카페 드 플로르(Cafe´ de Flore)의 테라스에 어색하게 앉아 있던 여름날을 떠올린다.

카페 드 플로르는 헤밍웨이를 비롯해 당대의 많은 철학자와 시인, 예술가가 주로 찾았던 문학카페다. 생 제르맹 거리에는 유독 유명한 카페가 많은데, 카페 드 플로르 건너편 카페 레 되 마고(Cafe´ Les Deux Magots)도 그중 하나다. 계약결혼으로 세계를 놀라게 한 두 철학자 사르트르와 보부아르도 이 거리의 카페 2층에 자리를 잡고 앉아 하루 8시간을 꼬박 글만 썼다. 레 되 마고에서 집필한 소설이 ‘구토’, 카페 드 플로르에서 탄생한 철학서가 ‘존재와 무’라 하니, 두 카페가 문학과 철학을 사랑하는 여행자들의 성지가 된 것도 무리는 아니다.

한낮의 생 제르맹 거리는 활기로 가득했다. 파리 시민들에게는 일상을 넘어 삶 그 자체인 공간에 내가 한 자리를 차지하고 앉아 있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 심지어 헤밍웨이와 스콧 피츠제럴드가 와인을 마시며 작품에 대해 토론하던 카페라니,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Midnight in Paris)의 주인공 길 팬더처럼 1920년대 파리로 시간여행이라도 떠나온 것 같다.

“정말 끝내준다! 이런 도시는 어디에도 없어.

비 올 땐 또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아? 1920년대 파리를 상상해봐.

비에 젖은 파리를. 예술가들, 작가들…

여기서 소설이나 쓰며 살 수 있다면 베벌리힐스 집 같은 건 없어도 그만이야.”


(이미화 작가)
(이미화 작가)

영화는 미국의 성공한 시나리오 작가 길 팬더와 그의 약혼녀 이네즈가 파리로 여행을 오면서 시작된다. 값비싼 앤티크 가구와 보석, 럭셔리 호텔 말고는 관심이 없는 이네즈와 달리 길 팬더의 꿈은 과거 황금시대의 예술가들처럼 파리에서 소설을 쓰며 사는 것이다. 홀로 파리의 밤거리를 배회하던 길 팬더는 자정을 알리는 종소리와 함께 홀연히 나타난 차에 올라타, 1920년대의 파리로 시간여행을 떠난다. 헤밍웨이가 카페 구석에서 생굴 한 접시에 백포도주를 마시며 글을 쓰고, 서점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의 낡은 다락방에서 머물며 예술을 논하던 황금시대의 파리로.

카르디날 르무안 거리의 작은 아파트에서 지내던 헤밍웨이는 찬비가 내려 음울하고 서글픈 겨울, 방을 데워줄 장작을 사는 대신 생 제르맹 거리의 카페로 향하거나 플레뤼스 거리 27번지에 있는 거트루드 스타인의 아파트에 들르곤 했다. 헤밍웨이가 스타인의 집으로 가기 위해선 생 테티엔 뒤 몽 교회를 지나쳐야 했는데, 영화 속에서 길 팬더가 클래식 푸조에 올라타던 장소가 바로 이곳이다.

파리에 머무는 동안 나는 자주 이 교회를 찾았다. 영화 속 길 팬더처럼 돌계단에 앉아 영화의 OST를 듣기도 하고, 헤밍웨이처럼 뤽상부르 공원 벤치에서 간단히 점심을 해결하기도 했다. 카페 드 플로르 같은 고급스러운 카페에서 커피라도 마신 날에는 1유로짜리 바게트로 끼니를 때웠다. 허기가 져 일부러 음식 냄새가 나지 않는 길로만 다녔다던 헤밍웨이처럼 배고픔을 교훈으로 삼으며 잘도 걸어 다녔다.

“내 책을 좋아하나보군.”

“좋아해요? 사랑하죠! 선생님 작품 다요!”

“그래요. 좋은 책이죠. 정직한 책이니까…

영 아닌 소재는 없소. 내용만 진실하다면. 또 문장이 간결하고 꾸밈없다면.

그리고 역경 속에서도 용기와 품위를 잃지 않는다면.”

(이미화 작가)
(이미화 작가)

물론 근사한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한 적도 있다. 헤밍웨이의 단골집이었다는 폴리도르 레스토랑(Polidor Restaurant)에서였다. 1920년대로 시간여행을 떠난 길 팬더가 헤밍웨이를 처음 만난 곳이다. 1845년에 문을 연, 파리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 중 한 곳이라는 이 레스토랑은 170년의 시간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는 표현이 어울리는 곳이다. 적당한 소음이 기분 좋게 들려오고, 익숙한 리듬이 배어 있는 웨이터의 몸짓이 마음을 살랑이게 만드는 곳.

프랑스식 소고기찜인 뵈프 브루기뇽(bœuf bourguignon)과 레드와인을 곁들인 점심식사 후에 넉넉해진 마음으로 향한 곳은 파리의 예술가와 작가, 그리고 낯선 사람들에게 안식처가 돼준 영문학 전문 서점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 1919년 미국인 실비아 비치가 문을 연 이 서점은 스콧 피츠제럴드, 에즈라 파운드, 제임스 조이스, 헤밍웨이 같은 작가들이 책을 빌리고 모여서 문학 토론도 하고 홍차를 마시던 문학 살롱 같은 곳이다.

(이미화 작가)
(이미화 작가)

물론 지금의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는 1920년대의 ‘그’ 책방이 아니다. 1941년 전쟁으로 실비아 비치가 운영하던 서점이 문을 닫자 친구인 조지 휘트먼이 센 강 옆에 ‘미스트랄’이라는 이름의 서점을 열었고, 1964년 윌리엄 셰익스피어 탄생 400주년을 맞아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로 개명했다.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지금의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 역시 실비아 비치가 그랬던 것처럼 오갈 데 없는 작가들에게 침대를 내어주고, 글을 완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층으로 이루어진 이 서점은 작지만 성실하게 한 자리씩 차지하고 있는 책들로 빼곡했다. “Be not inhospitable to strangers. lest they be angels in disguise(낯선 사람을 함부로 대하지 마라. 변장한 천사일지도 모르니).” 2층으로 향하는 계단에 서서 반대편 벽에 새겨진 문장을 나지막이 중얼거렸다. 배고픈 예술가들에게 다락방을 내어주었다던 이곳에 이토록 어울리는 문구가 또 있을까.

(이미화 작가)
(이미화 작가)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는 파리를 배경으로 한 또 다른 영화 ‘비포 선셋’(Before Sunset)에서 두 남녀 주인공인 제시와 셀린이 9년 만에 재회한 장소이기도 하다. 빈에서 보낸 셀린과의 하룻밤을 소설로 써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제시가 작가와의 대담을 위해 파리의 서점을 찾았는데, 그곳이 바로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다.

삐걱거리는 계단 소리를 들으며 2층에 오르니 누구라도 작가가 될 수 있을 것 같은 공간이 나타났다. 책장 사이사이 여백에는 헤밍웨이의 얼굴이 담긴 낡은 액자가 걸려 있었고 소파 위에선 고양이들이 단잠에 빠져 있었다. 조지 휘트먼은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를 가리켜 세 단어로 된 한 편의 소설이라고 했는데 내겐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공간이었다.

“여기 머물면 여기가 현재가 돼요. 그럼 또 다른 시대를 동경하겠죠.

상상 속의 황금시대. 현재란 그런 거예요.

늘 불만스럽죠. 삶이 원래 그러니까.”


(이미화 작가)
(이미화 작가)

현재가 아닌 과거의 황금시대를 그리워하며 살던 길 팬더는 1890년대의 벨 에포크로 돌아가서야 깨닫는다. 과거에 대한 동경은 무의미하다는 것. 과거에 머물면 그곳이 또 다른 현재가 되어버린다는 것을 말이다. 영화는 “상상 속의 황금시대를 좇을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라”는 메시지를, 파리를 사랑했던 수많은 예술가의 입을 빌려 들려준다.

코로나19 시대에 여행을 간다는 건 마치 과거로 시간여행을 떠나는 것만큼이나 불가능해 보인다. 영화를 따라 파리를 걷던 3년 전이 오래된 일처럼 아득하다. 마스크를 낀 채 견뎌내야 할 올여름이 두렵긴 하지만 그 어느 때보다 현재가 소중한 건, 평범했던 일상이, 지겹도록 무난했던 보통의 날들이 당연하게 주어진 시간이 아니었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이다.

헤밍웨이는 죽기 전 인터뷰에서, 파리는 마치 ‘움직이는 축제’처럼 남은 일생에 어딜 가든 당신 곁에 머무를 거라고 말했다. 그의 말이 맞았다. 나도 언제든 어디서든, 유튜브에서 흘러나오는 녹음된 소리만으로도 3년 전의 파리를 떠올릴 수 있으니까.

다 마신 커피 잔을 반납하고 카페를 나서며 생각했다. 마스크 낀 채로 꿋꿋이 현재를 살아내고 싶다고. 미래를 두드리면서, 헤밍웨이의 말처럼 가끔은 이렇게 파리를 뒤적이면서.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