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나무는 영원하고 성벽은 덧없다

기사입력 2020-07-10 08:00

[더불어 숲] 충북 보은 삼년산성길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삼년산성을 ‘유럽의 이름난 고대 산성보다 빼어나다’고 보는 이도 있다. 최고 22m에 달하는 성벽의 높이로 대변되는 삼년산성의 위용과 정밀한 축조과학을 우월하게 평가해서다. 그러나 오랫동안 별로 거들떠보는 이가 없었다. 흔히들 소가 닭 보듯 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의 답사와 학술 연구가 시작됐다. 이젠 깊숙이 들여다보는 사람이 많아졌다. 역사탐방로로, 걷기 좋은 산성길로 입소문이 나고 있다. 미술사학자 유홍준 교수는 이 산성을 국내 1000여 개의 산성들 중 단연 ‘명물’이라 단정한다.


유심히 살펴볼 게 많은 산성이다. 성벽의 구조와 풍치가 빼어나서다. 산성 내 암자 보은사에는 고려 때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여래입상이 있다. 어수룩한 얼굴 표정이 푸근해서 좋다. 홀로 절을 지키는 노스님을 통해 산성 이야기도 들을 수 있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삼년산성은 보은읍 대야리 오정산(326m)을 통째 보듬듯이 아울러 만든 석성이다. 고구려나 백제보다 국력이 약했던 시기의 신라가 전략 거점 확보를 위해 쌓았다. 축성을 한 때는 470년. 이는 ‘삼국사기’에 나오는 기록이다. 이렇게 명확한 축조 연대를 실마리로 역사가들은 그 당시 신라의 놀랄 만한 축성법에 관한 다각적 분석은 물론, 군사 전략과 외교 관계까지를 파고들었다. 삼년산성이 사가들의 역사적 상상력에 불을 댕겨준 셈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 출입구는 서문지(西門址). 성내로 들어서자 감탄사부터 나온다. 좌우로 펼쳐지는 성벽의 모습이 우람해서다. 그러나 산성의 시간은 진즉에 저물었다. 태생 시의 용도를 잃고 유적으로 존재할 뿐이다. 여기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침묵으로 웅변할 따름이다. 폐허 아닌 폐허이며, 잠 아닌 잠을 잔다. 산성의 사정이 그러하나, 살아 있는 것들은 퍼렇게 깨어 여름날의 한때를 누린다. 저 푸른 숲을 이룬 나무들이 그렇고 철부지처럼 재잘거리는 새들이 그렇다. 고대의 시간과 역사가 고여 있는 유적지에서, 나무와 새는 영원하고 성벽은 덧없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성벽은 능선을 따라 보기 좋게 펼쳐진다. 물론 옛날 그대로의 성벽은 아니다. 웅장하고 강고한 성채도 세월 앞에선 무기력하다. 무너지거나 사라진 대목들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삼년산성은 대체로 원형을 유지한 몇몇 산성 가운데 하나다. 붕괴되거나 파손된 부위의 상당 부분은 1980년대 이후의 복원사업으로 보충되었다. 헌것과 새것이 공존하는 것이다. 고대의 기술과 현대의 공법이 겨루는 형국으로도 보인다. 구성벽과 신성벽의 비율은 7대 3 정도라고 한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길은 성벽 아래로 가지런히 이어진다. 그러니까 한쪽으로는 성을 끼고, 또 한쪽으로는 수풀을 곁에 두고 걷는 길이다. 한 손엔 역사를, 다른 한 손엔 자연을 쥐고 걷는 기분이다. 이색이라면 이색이다. 혹은 아이러니? 산성이란 무엇인가? 전쟁을 전제하고 지은 건축이다. 국가를 위해서라면 하나밖에 없는 아까운 목숨마저 초개처럼 버리리라 결의한(또는 결의를 당한?) 사람들을 모아두는 장소다. 자연이란 무엇인가? 여기에서도 양육강식의 스릴러가 일부 상영된다. 그러나 여차하면 맞짱뜨자고 있는 게 자연이 아니다. 나무와 나무는 햇볕 한 조각이나마 더 거머쥐기 위해 다툴망정 아군과 적군으로까지 나뉘어 증오로 대결하진 않는다. 상극보다 상생의 힘으로 조화로운 생태계를 이루는 게 자연이지 않은가.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삼년산성의 축조에는 고도의 공법이 쓰였다고 한다. 축성 당시로선 첨단의 성곽이었다는 얘기다. 성벽의 폭부터 8~10m로 넓다. 게다가 대단히 튼튼하게 쌓은 성벽이다. 길을 걷다 보면 알 수 있다. 붕괴로 인해 내부가 드러난 성벽 단면의 영리함을. 외벽과 내벽은 반듯하게 자른 큰 돌을 층층으로 쌓은 한편, 양자 사이의 공간엔 흙이 아니라 자잘한 돌을 세밀하게 채워 넣었다. 성벽의 외부 아래쪽엔 보축 성벽까지 추가로 쌓았다. 이 두 겹 축조 방식은 삼년산성에서만 확인되는 특장이다. 철옹성이라 불러도 무방할 삼년산성의 견고한 구조는 이와 같은 적극적인 공법들의 도입으로 가능했던 셈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그 덕분일까? 삼년산성에서 전략을 펼친 신라의 전쟁에는 패배의 기록이 없다. 승전의 결과로 체제를 수호하고, 나아가 삼국통일의 기틀을 다졌다. 전쟁은 필요악일까? ‘도덕경’은 이르기를 “대국(大國)은 사람을 키우기를 꿈꾼다”고 했다. 그러나 이는 웬 판타지? 힘센 나라일수록 전쟁을 능사로 삼았다. 정의이거나 정의가 아니거나 상관없이 인류는 언제나 전쟁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전쟁으로서 전쟁을 야기해왔다. 절대자의 비루한 탐욕을 채우는 전쟁도 비일비재했다. 죽어나는 건 항상 애먼 ‘아랫것’들이었다.

숲은 산성 안에서 더 찬연하다. 쓸모를 잃어 이제는 전쟁에서 풀려난 성곽은 고즈넉한 정적에 몸을 묻고 쉬어간다. 대지예술처럼 장중한 저 허연 성벽들도 언젠가는 자연으로 돌아가리라. 세월에 실려가다 보면.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