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징의 품격을 짓다] 시니어 하우스를 가다
세월이 흐르면 누구나 얼굴에 주름이 늘고 거동도 불편해진다. 고급 실버타운 시설을 찾는 이들도 있지만 자신이 생활해온 주거공간에서 노후를 보내길 원하는 시니어들도 있다. 오랜 세월을 보낸 사회적 범위 안에서 생물학적으로 약해진 노부부의 선택은 인테리어를 활용한 ‘기존 주거공간의 변신’으로 향한다.
사진 므나디자인스튜디오 도움말 박경일 대표
집을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안전’이다. 외부와 내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해야 한다. 특히 시니어를 위한 주거공간은 내부의 안전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시니어를 위해 새로 태어난 경기도 용인의 노부부 주거공간을 살펴봤다. 242㎡ 규모의 아파트. 안전뿐만 아니라 미적, 실용적 부분까지 챙긴 시니어 하우스다.
2018년 11월 준공된 이곳은 공간구조뿐만 아니라 거창석, 실크벽지, 벤자민무어페인트, 스타코, 애시탄화목, 강마루, 2tec2, 무늬목 등의 자재로 80대 노부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무엇보다 일상생활이 제한된 할아버지를 위한 배려가 돋보였다. 이들 부부의 생활 패턴에 맞춰 주거공간을 새롭게 꾸민 박경일 므나디자인스튜디오 대표의 설명을 들어봤다.
◇한국적 아름다움을 품은 공간
이들 노부부의 경우 할머니는 일상생활을 하는 데 지장이 없을 만큼 건강을 유지하고 있지만 할아버지는 거동이 힘들어 휠체어를 이용할 때가 있다. 하지만 부부는 요양보호 시설에 가는 걸 원치 않았고 현재 사는 주거공간에서 자유롭게 생활하는 걸 선택했다. 또 서로를 배려하기 위해 개인공간을 필요로 했으며 실내에서 가벼운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기대했다. 안전성과 실용성이 녹아든 디자인을 기본적으로 원했다. 노부부의 요구를 반영한 인테리어에는 설계 1개월과 공사 2개월, 총 3개월의 기간이 소요됐다. 비용은 가전제품을 포함해 약 2억 원이 들었다.
먼저 실내 콘셉트는 한국적인 분위기를 따랐다. 10년 후쯤 노부부의 딸이 지내야 할 집이었기에 양측의 취향을 모두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한국적인 분위기를 고수하는 노부부와 동양화를 전공한 딸. 의외로 콘셉트가 잘 맞아떨어졌다. 기존에 부부가 사용하던 고풍스런 가구를 최대한 살려 동양의 멋이 느껴지는 오리엔탈 인테리어를 완성했다. 동양화를 벽에 걸면 분위기가 한층 살아날 수 있도록 인테리어 감각도 더했다. 박 대표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들은 옛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통해 안정감을 느낀다”면서 “부부의 손때가 묻은 가구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설계했다”고 말했다.
◇실내 이동거리는 최대한 짧게
할아버지를 위한 공간이 특별히 눈길을 끌었다. 할아버지는 평소 컴퓨터가 있는 서재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문제는 서재에 늦은 시간까지 있다가 침실로 가는 동선이었다. 거동이 불편한 할아버지가 잠자리에 들려면 서재에서 나와 옆방인 침실로 들어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서재와 침실 사이의 벽을 없애면서 이 문제를 해결했다. 불편한 다리로 힘들게 걷지 않아도 침대로 바로 갈 수 있도록 편의성을 살렸다. 동시에 화장실을 사용할 때마다 겪던 불편함도 없앴다. 나이가 들면 화장실을 자주 이용하게 되는데, 침실에서 나와 공용 화장실을 써야 했다. 하지만 벽을 없앤 후에는 서재 안에 있는 화장실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 이 문제가 자연스레 해소됐다. 화장실로 향하는 위치에는 밤에만 작동하는 센서등을 설치해 동선을 밝혔다. 눈이 부셔 잠이 깨지 않도록 3와트 이하의 등을 선택했다. 또 서재에 있는 텔레비전을 침실에서도 시청할 수 있게 되면서 만족감을 더했다.
할아버지는 몸이 불편했지만 천천히 걸어다는 정도의 운동을 하고 싶어 했다. 텔레비전이 있고 소파가 있는 거실의 용도는 그대로 살리고 할아버지를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 핸드레일을 이용해 동선 공간을 살려주고 발코니를 통해 외부와 공유하는 느낌을 받도록 했다. 박 대표는 “마치 밖에 나와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게 특별한 공간으로 꾸미려고 신경 썼다”며 “어르신들은 새로운 동선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다소 좁더라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꾸미는 데 집중했다”고 말했다.
◇구석까지 꼼꼼히 신경 쓴 배려
주거공간 벽면에 설치된 핸드레일이 시선을 끌었다. 사실 박 대표의 설명을 듣기 전까진 핸드레일인지 알아보지 못했다. 레일 안쪽에 간접등을 넣어 누가 봐도 조명처럼 보였다. 집 안에 핸드레일이 있으면 미관상의 단점이 있지만 오히려 화려함을 뽐냈다. 또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는 촉감 좋은 애시탄화목으로 핸드레일을 만들어 노부부의 안전을 배려했다.
바닥의 단차를 없앤 부분도 눈길을 끌었다. 할아버지를 위한 배려였다. 턱이 있으면 휠체어로 이동하기도 쉽지 않고 행여 걸려서 넘어질 수도 있어 모두 제거했다. 현관으로 들어와 신발을 벗는 곳에는 턱을 없애는 대신 천장에 조명을 설치해 현관과 실내의 경계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편하게 앉아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도록 벤치를 준비했다.
다만 욕실에는 문턱을 설치하고 여닫이문을 달았다. 시니어 하우스의 경우 여닫이문보다는 미닫이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박 대표는 “미닫이문은 소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닫이문을 열고 닫을 때 나는 소리를 줄이려면 문과 틀의 간격을 더 넓혀야 하는데, 그렇게 하면 방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부부라고 해도 화장실을 이용할 때 민망할 수 있다는 것. 또 청소를 하더라도 턱이 있기 때문에 물이 넘칠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문을 바깥쪽으로 열도록 해 천장에 맺힌 물방울이 문으로 떨어지거나 슬리퍼가 걸리는 문제도 없앴다. 이와 함께 욕실로 들어가는 통로를 넓히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화강암의 일종인 거창석(대중목욕탕 바닥재)을 사용한 것도 특별해 보였다. 욕실 주변으로도 핸드레일을 설치했고 욕조 대신 히노키탕을 매립해 언제든 피로를 풀 수 있도록 꾸몄다.
주방에는 거실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프레임을 놓고 이를 통해 거실과 마주하며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주방은 할머니에게 맞는 치수로 설계했으며 주방 바닥은 섬유의 질감을 살린 비닐바닥재를 사용했다. 또 위험한 가스레인지는 떼어내고 인덕션을 달았다. 조도를 더 확보하고 화재감지기까지 설치하는 배려도 잊지 않았다.
◇품격을 담은 나만의 생활공간
할머니의 공간도 품격 있는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했다. 기존의 공간은 응접실과 파우더룸, 침실이 따로 있었으나 이곳을 터서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었다. 침실에서 파우더룸을 지나 응접실로 향하는 구조로 재설계됐다. 우선 응접실은 나무로 된 평상 느낌의 마루를 설치해 외부와 내부를 연결해주는 공간으로 바꿨다. 바깥 풍경이 자연스레 실내로 스며들어 외출을 하지 않아도 밖에 나간 것 같은 느낌을 갖게 했다.
응접실은 작은 사랑방 같은 느낌으로 손님들과 앉아서 담소를 나눌 수 있도록 설계했지만 이후 할머니를 돌봐줄 사람이 필요할 때는 용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테면 요양보호사가 머무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침실에 문을 설치해 할머니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주는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박 대표는 “이 주거공간의 특징은 가변성이다. 시간이 지나 몸이 더 불편해지면 언제든지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며 “이는 벽을 없앤 또 다른 이유인데, 벽을 터 넓어진 통로 한쪽에 경사로를 확보하면 몸이 불편해도 어렵지 않게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는 시니어 하우스가 있다. 이런 집은 모두를 위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미적인 부분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며 “감각적인 홈 스타일링을 위해 신경 쓰고 있고 누구나 좋아할 만한 집을 만들기 위해 더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니어 하우스 ‘三不’미닫이문 미닫이문에는 문을 부드럽게 닫을 수 있는 댐핑기능이 적용된다. 문이 닫히는 시점에 마찰력을 더해 속도를 줄이는 기능인데, 손이 끼어 다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문을 완전히 닫거나 열 때 힘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문을 선택할 때도 기력이 부족한 어르신을 배려해야 한다.
너무 밝은 조명 조명은 최대한 광원을 안 보이게 하는 게 좋다. 매립등이나 간접등이 도움이 된다. 균일한 조도로 아늑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국부조명도 음영이 생기기 때문에 지양하는 편이 좋다. 또 거실의 화려한 샹들리에도 어르신에게는 눈에 피로감을 줄 수 있다.
대리석 자재 나이가 들면 아무리 안전한 공간이라 해도 넘어질 수 있고 크게 다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럽고 단단한 대리석으로 품격을 살리기보다는 코르크 재질의 마루를 바닥재로 사용하는 게 좋다. 특히 무릎이 불편한 어르신이 있다면 6㎜ 두께의 장판이 적합하다. 집은 예술작품이 아니다. 집의 본질을 왜곡해선 안 된다.
☞박경일 므나디자인스튜디오 대표
동대문 위메프 오프라인 1호점, 청담동 마담주 – Premium Fruit Boutique, 가로수길 필그림 커피, 마두동 강촌마을 아파트, 하계동 장미아파트 외 수도권 아파트 다수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