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
-
- 암이 가져온 새로운 인생 2막
- 2025-08-17
-
- 인생 2막의 변주곡
- 2025-08-17
-
- ‘하이파이브’로 보는 한국형 슈퍼히어로가 꿈꾸는 세상
- 2025-08-16
-
- 박정현·박기영·김연우·이적 뜬다…‘비바 브라보 콘서트’
- 2025-08-13
-
- [Trend&Bravo] ‘메밀 순례단’이 뽑은 더위 타파 '전국 메밀 맛집 4'
- 2025-08-13
-
- [이색 여행 베테랑] ⑤장윤정 씨 “두 달간 자유! 홀로 유럽 간다”
- 2025-08-13
-
- [이색 여행 베테랑] ④ 민창현 씨 “두 바퀴로 2239㎞, 일흔의 도전”
- 2025-08-12
-
- [이색 여행 베테랑] ③ 김두성 씨 “작은 수고가 큰 행복 되는 봉사여행”
- 2025-08-12
-
- [이색 여행 베테랑] ② 심산 씨 “깊은 산 바위에 새긴 우리 문화 찾아서”
- 2025-08-11
-
- [이색 여행 베테랑] ①안정옥 씨 “삶의 원동력이 된 패키지여행”
- 2025-08-11
-
- “인생의 사표(師表)를 찾아서”
- 2025-08-10
-
- 퇴직 후의 리-드리머(Re-Dreamer)를 꿈꾸며
- 2025-08-10
-
- [카드뉴스] 오픈런 부른 '국립중앙박물관 굿즈' 방문 꿀팁 5
- 2025-08-08
브라보 인기뉴스
-

- 세포가 하나하나 살아나는 발레
- 거울 앞에 선 시니어들의 표정이 환하다. “입꼬리 올리고, 발끝도 세워요!” 강사의 구령에 맞춰 몸을 들어 올리는 순간, 무겁던 몸과 마음이 가벼워진다. 태안 백화노인복지관의 ‘시니어 발레’ 교실은 흔한 배움터가 아니다. 나이 앞에 망설이지 않고 도전하며 여전히 아름답게 살아가는 이들이 비상하는 무대다. 나이 거스르는 ‘상승의 예술’ 충청남도 태안군 백화노인복지관은 종합 복지 전문기관으로, 만 60세 이상 지역 주민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글 문해와 영어·일본어 등 어학 영역부터 서예·실버 민요·트로트 교실·캘리
-

- 배움이 계속 되어야 하는 이유 “나를 찾는 기쁨”
- 은퇴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한국의 중장년 세대는 과거보다 더 오래 살며, 더 배우고, 더 일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들의 배움은 단순한 취미나 자기 계발에 머물지 않는다. 인문학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를 묻고, 생계를 위해 새로운 기술을 익히며, 그 사이의 균형을 찾아가는 진지한 시도다. 김은임 호서대학교 교수와 김찬호 성공회대학교 교수는 “인문학은 자기 해석의 언어를 되찾는 일이고, 실용학은 자기 삶을 다시 세우는 일”이라며, 배움이 중장년에게 가장 강력한 생존 전략이 되고 있다고 말한다. ‘내가 누구인지’ 다시 묻는
-

- 브라보 마이 라이프 스페셜: 배움으로 얻다
- 배움으로 얻다 배움의 사전적 정의는 ‘임신하게 하다’와 ‘스며들게 하다’의 뜻을 지닌 ‘배다’에 사동접사 ‘우’가 붙은 말입니다. 인생 후반기를 설계할 때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도전을 이어가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는 것이 배움입니다. 의학적으로도 배움은 뇌 건강, 심리적 안정, 신체 활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노화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배움의 연장선은 ‘일’로 이어집니다. ‘배움을 실현하다’는 표현은 배움을 실제로 나타나게 하여 ‘이루다’는 뜻을 담고 있고, ‘배운 것을 실제로 행하다
-

- “우리도 가족” 1950~2020년대 사진으로 보는 가족 풍경 변천사
- 한 장의 사진은 시대를 기록한다. 특히 가족사진은 단순한 추억을 넘어, 그 시대 한국 사회의 가족상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195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이어진 가족사진을 따라가다 보면 정겹고 뭉클한 감정과 함께 놀라운 변화를 느낄 수 있다. ◆1950~1990년대 : 정겨운 대가족 1990년대~2000년까지만 해도 3세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친인척 역시 가까운 거리에 거주해 명절이나 결혼식, 돌잔치 같은 큰일이 있을 때마다 자연스럽게 모였고, 그 순간을 가족사진으로 남겼다. 집 안이나 마당, 동네 어귀에서 찍
브라보 추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