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언제 가을이 왔을까?

기사입력 2019-10-29 10:25

▲월출산 국립공원 입구(서동환 동년기자)
▲월출산 국립공원 입구(서동환 동년기자)

언제 가을이 왔을까? 계절이 소리 소문 없이 변하며 찾아왔다.

세월과 함께 서서히 잊혀가던 추억을 찾아 월출산으로 떠났다. 넓디넓은 평야에 불쑥 솟아오른 해발 809m 화강암의 국립공원이 아니라 어느 천국 같은 가을날의 기억으로 남아있는 곳이다. 경포대 탐방지원 센터에서 시작하는 탐방로를 따라 산을 올랐다.

▲월출산 능선(서동환 동년기자)
▲월출산 능선(서동환 동년기자)

숲속 산길을 걷기 시작하니 달아나는 시간이나 그 시간을 제어하지 못한다는 막연한 불안감은 사라졌다. 진정한 여행자는 풀잎을 보고도 우주를 상상할 수 있다고 한다. 사물 그 너머의 것을 보는 눈을 가진 여행자는 모래알 하나로도 무한한 행복을 느낀다고 했다. 오르는 산길 곳곳에서 나는 작은 우주들을 보았다. 행복했다. 하지만 추억 속 가을의 길은 만나지를 못했다. 산행 내내 가을을 찾았으나 가을을 보지 못했다. 천황봉 구름 덮인 곳까지 눈길로 찾아보았다.

‘너무 이른 가을인가?’

바람재 삼거리에 도착하니 그곳에 가을의 내음이 있었다. 추억 속 가을의 단편 하나가 튀어나왔다. 삼거리의 무성한 갈대는 바람보다 먼저 누워있었다. 은빛 갈대밭은 잘 익은 성숙한 생명의 벌판이다. 누워있는 갈대는 머리가 무거워 숙인 것이 아니다. 지나온 시간의 길이가 고개를 숙이게 한 것이다.

▲월출산 구정봉 큰바위 얼굴.(서동환 동년기자)
▲월출산 구정봉 큰바위 얼굴.(서동환 동년기자)
▲구정봉 정상에서 본 나주평야.(서동환 동년기자)
▲구정봉 정상에서 본 나주평야.(서동환 동년기자)

삼거리에서 왼편으로 돌아 구정봉에 올랐다. 누렇게 변해가는 나주평야와 굽이져 흐르는 영산강 줄기가 한눈에 보였다. 뜨거운 가을 햇살이 벼 이삭을 노랗게 물들이고 있었다. 불어오는 바람에 남도 가락의 노랫소리가 실려 왔다. 가슴이 벅차올랐다.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국보 제144호).(서동환 동년기자)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국보 제144호).(서동환 동년기자)
▲월출산 구정봉 아래에 위치한 마애여래좌상.(서동환 동년기자)
▲월출산 구정봉 아래에 위치한 마애여래좌상.(서동환 동년기자)
▲삼층석탑에서 본 마애여래좌상 모습.(서동환 동년기자)
▲삼층석탑에서 본 마애여래좌상 모습.(서동환 동년기자)

‘아, 이 욕심을 어찌할까!’

구정봉에서 500여m 떨어진 곳에 한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마애석불이 있다. 벼랑 아래 큰 바위에 총 길이 8.6m 크기로 새겨진 마애여래좌상이다. 벽면에 새겨진 불상은 눈이 옆으로 길고 끝이 올라가 있어 미소를 짓는 것 같기도 하고, 안 짓는 것 같기도 하다. 벼랑길을 힘들게 내려와 불상과 마주친 순간 그렇게 찾던 가을도, 추억의 가을도 모두 내려놓게 되었다. 알 듯 모를 듯한 불상의 얼굴 표정이 번뇌를 멈추게 했다.

가을날 오후의 햇살이 석불의 얼굴을 비추었다. 그 가을 햇살을 쫓아 석불이 바라보고 있는 쪽을 보니 삼층석탑이 우두커니 서서 하염없이 이쪽을 쳐다보고 있었다. 삼층석탑의 투박하고 단순한 선이 온 감각을 깨웠다. 그렇게 찾았던 가을이 그곳에 있었다.

이번 떠남의 목적은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이 아니었다. 나와 만나고 싶었다. 이른 가을의 월출산에서 나는 나와 세계를 대면할 수 있었다. 그렇게 그곳에서 나와 세계를 함께 깨달을 수 있었다.

강진으로의 가을여행은 울림이 있는 여행이 되었다. 또 하나의 기억이 쌓였다. 무엇보다 내 삶이 풍요로워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