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공병호의 독서산책]돈으로는 노인문제 해결할 수 없다

기사입력 2014-02-28 16:17

오근재 ‘퇴적공간’

우리 모두는 노인이 되지만 막상 분주하게 사는 동안 그 문제를 깊이 생각해 볼 만한 여유를 갖는 사람은 드물다. 늙는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노후를 위해 지금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인가. 이런 질문들에 대해 여운을 남기는 책이 오근재의 ‘퇴적공간’이다. 대학에 적을 두고 있던 저자가 현직을 떠난 다음 노인 문제를 자신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로 바라보고 쓴 책이다.

서울에는 노인들만의 특별한 공간이 있다. 한 곳은 종묘시민공원이고 또 다른 곳은 탑골공원이다. 저자는 이 두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의 노인문제를 독특한 시각으로 조명하고 있다. ‘퇴적공간’은 강의 상류로부터 떠밀려 내려 하류에 쌓인 모래섬과 같은 공간을 뜻하는데, 이 두 공간에 대한 비유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퇴적공간에 쌓여 있는 잉여 인간들의 모습을 기록한 이 책은 노년을 앞둔 젊은이들에게 머지않아 다가올 미래의 본모습”이라는 문장에 저자의 집필 동기가 담겨 있다.

노인이 된 다음 저자가 느끼는 소회는 어떤 것일까. 카프카의 단편소설 ‘변신’에 등장하는 벌레처럼 정년의 순간부터 자신이 이 사회의 걱정거리로 입장이 바뀌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한다. “벌레가 되기 전까지는 가족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지만 벌레로 변신하자 이전 가족 관계는 온데간데없고 오직 자기가 죽기만을 기다리는 가족을 보는 서글픔을 지난 변신의 주인공 그레고르와 내가 몹시 닮아 있다는 느낌마저 들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돈으로 노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이 별로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일부 기관들이 의욕적으로 세운 노인전문기관들을 증설해도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한다.

그의 주장은 파격적이다. “급식이든 프로그램이든 자신의 몸을 자기 의지로 움직일 수 있는 정상적인 노인들에게 제공하는 ‘무료 제도’를 없애야 한다. 상징적으로 요금을 부과할지라도 그것이 우대일 필요는 없다. 그렇지 않으면 노인들을 비루하게 만들고 사물화하며 자생력을 잃게 해 결과적으로 사회적 부담을 증가시킨다.”

짐작은 했지만 이 책에는 젊은이들도 깊이 새겨야 할 지적이 한 가지 들어 있다. 내가 누구인지, 사후에 어떻게 되는지 등과 같은 본질적인 질문은 노년이 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답을 찾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15세기 강희안이 그린 ‘고사관수도’ 속의 노인이 흘러가는 강물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것처럼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은 노인이 되어서도 계속된다는 것이다.

노인이라도 어느 정도 굳건한 삶의 지향점을 지니지 않는다면 삶은 이리저리 방황할 수밖에 없다. 이런 사실은 젊은 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일은 시간이 흐른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님을 상기시켜 준다.

노인들에게 이런저런 지원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고 그런 정책을 두고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 정치권에 저자는 이런 이야기를 들려준다. “결국 행복이란 자기의 욕망을 거두는 순간, 즉 소유물이 인간 존재를 설명하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찾아드는 모든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아닐까.” 국가가 노인의 고통과 괴로움 그리고 불편함을 나눠 가지려는 가상한 생각은 아름답지만, 결코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저자의 조언을 깊이 새겨볼 필요가 있다.

노인문제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