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안전의식, 규제만으로는 안 된다

기사입력 2019-01-24 09:00

크고 작은 후진국형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통계를 관리하는 기관마다 특성이 다르고 복잡해 총망라하기가 어렵지만 인적, 물적 피해가 큰 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한다. 왜 이렇게 안전사고가 많은가! 모두들 국민의 안전의식을 우려한다. 맞는 말이다.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에 살면서 안전의식은 후진국 수준이다.

안전관리 현장에서 오래 근무한 경험에 비추어보면, 지금까지 고도경제성장을 이루면서 ‘빨리빨리’ 일을 마치고 ‘경미한 하자는 추후에 처리’하자는 의식이 은연중에 우리 마음속에 박혀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실제로 원리원칙대로 꼼꼼히 일하면 “참 답답한 사람”이라는 뒷말을 듣곤 한다.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같은 법으로도 정하고 회사마다 특성에 맞게 ‘안전작업수칙’을 만들어 운용한다. 규제란 규칙이나 법령, 관습 따위로 일정한 한도를 정해 그 이상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사고를 근원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타율에 의한 규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속박이라고 생각하면 벗어나려는 심리가 사람들에게 있기 때문에 남의 눈을 피해 잘 지키려 하지 않는다. 그래서 스스로 지키겠다는 신념이 우선 있어야 한다.

야간에 감시카메라가 없는 도로에 통행 차량마저 없으면 정지해야 하는 빨간 신호등을 무시하고 그냥 달리는 운전자가 있다. 그런 장소에서 차를 멈추면 ‘참 답답한 양반’이라고 비웃기까지 한다. 한 번의 실수나 잘못된 판단이 사고를 내기도 한다. 도로교통법에는 빨간 신호등이 켜지면 반드시 차를 정지하라고 나와 있다. 야간이든 주간이든 통행 차량이 있고 없고는 아무 상관이 없다. 신호를 지키는 것은 우리 모두의 약속이다. 안전 규정은 강제로 지켜야 하는 규제가 아닌 안전을 위해 지켜야 할 규범으로 뼛속 깊이 인식해야 한다. 그래야 안전사고가 근절된다.

규범은 사회구성원의 의식으로 내화되어 외적인 보상이나 처벌이 없어도 순종한다. 규범으로 인해 사회가 안정적으로 굴러간다. 우리가 정한 약속은 우리 모두를 위해 지켜야 하는 규범이지 속박하기 위한 규제가 아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지키기 싫어진다.

건설현장에서는 위험물이 도처에 산재해 있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돌발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막으려면 안전모와 안전화를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하지만 규모가 작은 현장일수록 관리감독이 허술해 이행하지 않는 근로자가 있다. “나는 경험이 많아서 이 정도는 괜찮아”, “나는 현장 작업자가 아니고 관리자니까 괜찮아” 하면서 규정을 무시한다. 안전장구 착용은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 거추장스럽고 답답하다. 그러나 얼마간 참고 견디면 이내 익숙해진다. 안전의식은 말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몸속 깊이 배어 있는 습관으로 나타나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