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千佛千塔 이야기① 공주 마곡사(麻谷寺)

기사입력 2018-08-23 11:01

우리나라 열세 번째 세계유산, ‘한국의 산사 7곳’ 첫 번째

지난 6월 30일(현지시각), 바레인 수도 마나마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제42차 회의에서 한국의 산사(山寺) 7곳이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로써 한국은 열세 번째 유네스코 세계 유산을 갖게 되었으니 7곳 산사는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다.

당초 통도사와 부석사, 법주사, 대흥사 등 4곳만 등재될 듯하였고, 봉정사, 마곡사, 선암사 등 3곳은 보류될 처지였으나 세계유산위원회의 21개 위원국이 만장일치로 한국이 신청한 7곳 모두를 받아들여 등재되었다. 문화강국 대한민국의 쾌거가 아닐 수 없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사 7곳.(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사 7곳.(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등재된 7개 산사 외에도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대단한 절집들, 예컨대 송광사나 해인사, 화엄사, 직지사, 수덕사 등은 왜 누락되었는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하기 위하여 전국의 절집들을 대상으로 전통사찰, 산지입지, 국가지정문화재 보유 여부 등을 1차 선별기준으로 적용하여보니 전통사찰법에 의거 인정된 곳이 952곳이었으며, 이중 산지입지 조건을 충족시킨 곳이 785곳, 여기에 국가지정문화재 보유 기준을 대입하니 63곳이 일차로 정리되었다고 한다.

여기에 7~9세기 창건 여부와 창건 시기를 증빙할 자료를 확인해본 결과 다음 25곳으로 압축되었으니 관룡사, 귀신사, 금산사, 기림사, 내소사, 대흥사, 마곡사, 무량사, 무위사, 범어사, 법주사, 봉암사, 봉정사, 부석사, 불영사, 쌍계사, 선암사, 선운사, 수덕사, 용문사, 운문사, 장곡사, 전등사, 직지사, 통도사 등이었다.

마지막으로 선원(禪院)의 운영과 원래 지형을 유지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니 최종적으로 위 7곳이 선정되어 등재 신청되었다고 한다.

그러면 쟁쟁한 사찰들이 누락된 이유는 무엇인가. 삼보사찰 중 승보사찰인 송광사의 경우, 9세기 무렵 길상사라는 암자로 시작하였으나 지금의 대찰은 12세기 후반 보조국사 지눌에 의한 것이다. 7~9세기 창건에 한참 늦었으며 삼보사찰 중 팔만대장경을 보유한 법보사찰 해인사의 경우 9세기 창건의 기록은 확인되었으나 이후 고려시대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가 전혀 없다. 팔만대장경은 조선시대에 해인사로 옮겨진 것이며 특히나 근래 사찰의 원형을 변형시킬 만큼 많은 공사가 있었음이 그 이유였다.

또한 화엄사의 경우 고려부터 조선 초기까지 사찰의 중수나 중창 자료가 불충분하며 직지사나 범어사, 선운사 등은 건물의 상당 부분이 변형되거나 원형 유지가 애매한 점 등이 그 이유였다. 여기서 최근 유서 깊은 절집들의 무분별한 중창불사나 대규모 확장 건설공사가 역사성이나 문화적 가치에 반하는 일임이 드러났으니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 열세 번째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산사 7곳을 하나씩 답사해보기로 한다.


태화산(泰華山) 마곡사(麻谷寺)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의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자리 잡은 마곡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6교구 본사이다. 기록에 따르면 마곡사는 백제 무왕 41년(640)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고려 명종 때인 1172년 보조국사가 중수하고 범일대사가 재건하였다고 한다.

신라 보철화상 때 설법을 듣기 위해 계곡을 가득 메운 사람들의 형태가 삼밭의 삼대, 즉 마(麻)와 같다 해서 마곡사(麻谷寺)라 불렀다고 한다. 이후 도선국사가 다시 중수하고 각순대사가 보수한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 세조가 이 절에 들려 ‘만세에 망하지 않을 땅(萬世不忘之地)’이라 평가하고 영산전(靈山殿) 현판을 사액한 일도 있었다.

마곡사가 위치한 공주 유구 지역은 정감록 등 각종 비결서(秘訣書)에 전해오는 ‘십승지지(十勝之地)’에 해당되는 곳으로 그만큼 명당이라는 얘기이며, 춘마곡(春麻谷) 추갑사(秋甲寺)라고 하여 봄날 생기 움트는 나무와 봄꽃들이 아름다운 곳이라는 뜻이다.

마곡사에 아쉽게도 국보급 문화재는 없으나 5층 석탑(보물 제799호), 영산전(보물 제800호), 대웅보전(보물 제801호), 대광보전(보물 제802호)과 감지은니묘법연화경 제1권(보물 제269호)과 제6권(보물 제270호)이 있으며 범종과 청동향로 등 지방문화재와 세조가 타고 왔다가 두고 갔다는 연(輦)이 있어 오랜 전통과 유서 깊은 절임을 말해준다.

또한 마곡사는 김구 선생이 명성황후시해사건 때 일본군 장교를 살해 후 숨어들어 승려로 지내기도 했던 곳으로 해방 후 찾아와 심은 향나무가 지금도 자라고 있어 자주독립 정신의 표상이 되고 있는 곳이다. 불화(佛畵)를 그리는 화승(畵僧)들이 많이 활동하여 오늘날까지 화승들을 추모하는 다례제를 지내는 화소사찰(畵所寺刹)이다.

▲마곡사 배치도, 계류를 사이에 두고 북원과 남원으로 영역이 구성되어 있다. 북원은 큰 마당 가운데 14세기에 건립된 티베트식 상륜부를 갖춘 오층석탑이 있고, 남원은 작은 마당을 중심으로 영산전과 선(禪)수행공간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이밖에 마곡사의 여러 요사채와 고방등 생활공간이 잘 보존되어 승가 공동체의 전통적인 면모를 잘 보여준다.
▲마곡사 배치도, 계류를 사이에 두고 북원과 남원으로 영역이 구성되어 있다. 북원은 큰 마당 가운데 14세기에 건립된 티베트식 상륜부를 갖춘 오층석탑이 있고, 남원은 작은 마당을 중심으로 영산전과 선(禪)수행공간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이밖에 마곡사의 여러 요사채와 고방등 생활공간이 잘 보존되어 승가 공동체의 전통적인 면모를 잘 보여준다.

예전에 마곡사는 개울을 멀리 돌지 않고 허리를 뚝 잘라 옆구리로 진입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진입로를 잘 정비하고 주차장을 갖추어 놓아 누구나 자연스럽게 입구로 들어와 해탈문과 사천왕문을 지나 다리를 건너 북원 마당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됐다.

진입로 중간에 있는 일주문은 세운 지 얼마 되지 않았으나 사실상 해탈문(충남문화재자료 제66호)이 마곡사의 첫 관문인 셈인데, 정면 3칸, 측면 2칸에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정면 중앙을 개방하여 통로로 사용하면서 양편에는 금강역사상(인왕상)과 문수 및 보현동자상을 봉헌하였다.

▲해탈문, 해탈(解脫)은 자유 또는 해방을 뜻하는데 몸과 마음의 고뇌와 속박의 원인인 번뇌로부터 해방되는 것 또는 벗어난 상태를 말한다.(김신묵 동년기자)
▲해탈문, 해탈(解脫)은 자유 또는 해방을 뜻하는데 몸과 마음의 고뇌와 속박의 원인인 번뇌로부터 해방되는 것 또는 벗어난 상태를 말한다.(김신묵 동년기자)
▲해탈문에 모셔진 금강역사상, 인왕상이라고도 한다. 사찰이나 탑을 지키는 수문신장(守門神將)의 역할이며 입을 벌려 ‘아’하는 모습과 입을 굳게 다물고 방어하는 ‘훔’ 금강인데 아와 훔은 범어의 첫 글자와 끝 글자로 시작과 끝, 영원과 통일을 의미한다.(김신묵 동년기자)
▲해탈문에 모셔진 금강역사상, 인왕상이라고도 한다. 사찰이나 탑을 지키는 수문신장(守門神將)의 역할이며 입을 벌려 ‘아’하는 모습과 입을 굳게 다물고 방어하는 ‘훔’ 금강인데 아와 훔은 범어의 첫 글자와 끝 글자로 시작과 끝, 영원과 통일을 의미한다.(김신묵 동년기자)
▲해탈문에 모셔진 문수동자상, 보현동자상. 완전한 지혜 보살 문수동자와 진리와 수행의 덕 보현동자상은 각각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조각되었다.(김신묵 동년기자)
▲해탈문에 모셔진 문수동자상, 보현동자상. 완전한 지혜 보살 문수동자와 진리와 수행의 덕 보현동자상은 각각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조각되었다.(김신묵 동년기자)

해탈문을 지나면 사천왕문(충남문화재자료 제62호)이 나오는데 사천왕은 고대 인도에서 숭상하던 신으로 불교에 귀의하여 부처님과 수미산을 지키는 수호신이 되었다. 마곡사 사천왕상은 조선 후기 소조불로 봉안되었으며 발밑에 악귀상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눈길을 끈다.

이렇게 해탈문과 사천왕문을 지나 왼쪽의 영산전 영역은 나중에 보기로 하고 계류를 흐르는 다리를 건너니 마곡사의 중심영역인 오층석탑과 대광보전, 대웅보전이 나타난다.

▲수직으로 우뚝 선 5층 탑 뒤로는 제법 큰 규모의 주 불전인 대광보전이 자리 잡았으며 그 뒤편으로 겹쳐 보이는 2층 지붕이 대웅보전이다.(김신묵 동년기자)
▲수직으로 우뚝 선 5층 탑 뒤로는 제법 큰 규모의 주 불전인 대광보전이 자리 잡았으며 그 뒤편으로 겹쳐 보이는 2층 지붕이 대웅보전이다.(김신묵 동년기자)

오층석탑(보물 제799호) 꼭대기에는 보기 드물게 청동제 머리 장식을 얹었는데 고려 말 원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아 그들의 라마탑을 본떠서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1층 남쪽에는 자물쇠 모양을 새겼으며, 2층에는 사방에 불상을 새겼고 지붕돌 네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았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지고 5층 지붕돌에만 1개가 매달려 있다.

▲청동제 머리장 식이 특이하며 5층 지붕돌 한쪽에만 풍경이 애처롭게 매달려있다.(김신묵 동년기자)
▲청동제 머리장 식이 특이하며 5층 지붕돌 한쪽에만 풍경이 애처롭게 매달려있다.(김신묵 동년기자)

마곡사의 중심 법당인 대광보전(보물 제802호)은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이 서쪽에서 동쪽을 바라보며 모셔져 있는데 부석사 무량수전의 아미타불과 같은 형태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미타불은 서방극락세계의 주인으로 서쪽에 앉아계신다지만 비로자나불을 왜 서쪽에 앉혔는지는 알 수 없어 궁금하다.

▲동쪽을 보고 앉아계신 비로자나불 뒷면에는 백의수월관음도가 그려져 있다. 마곡사가 화승(畵僧)들의 계보를 잇고 있는 절집이라는 방증이다.(김신묵 동년기자)
▲동쪽을 보고 앉아계신 비로자나불 뒷면에는 백의수월관음도가 그려져 있다. 마곡사가 화승(畵僧)들의 계보를 잇고 있는 절집이라는 방증이다.(김신묵 동년기자)

대광보전 뒤에 솟아오른 2층 지붕은 대웅보전(보물 제801호)인데 안에는 석가모니와 서쪽에 아미타, 동쪽에 약사여래를 모셨는데 약사여래불이 약합을 들지 않고 아미타여래와 같은 수인을 하고 있다.

▲2층으로 지은 경우가 흔치 않아 보기 드문 대웅보전이다. 다소 좁은 공간에 들어앉아 답답한 느낌을 주지만 내부는 2층을 통으로 개방하여 천장이 높고 시원하다. 현판은 신라의 명필 김생의 글씨로 전해진다.(김신묵 동년기자)
▲2층으로 지은 경우가 흔치 않아 보기 드문 대웅보전이다. 다소 좁은 공간에 들어앉아 답답한 느낌을 주지만 내부는 2층을 통으로 개방하여 천장이 높고 시원하다. 현판은 신라의 명필 김생의 글씨로 전해진다.(김신묵 동년기자)
▲통으로 뚫린 2층 대웅보전 내부, 오른쪽 4개의 큰 기둥은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몇 번이나 만지고 왔느냐고 묻는다는 그 기둥이다.(김신묵 동년기자)
▲통으로 뚫린 2층 대웅보전 내부, 오른쪽 4개의 큰 기둥은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몇 번이나 만지고 왔느냐고 묻는다는 그 기둥이다.(김신묵 동년기자)

마곡사의 중심 영역 서쪽에는 백범 김구 선생이 머물다 간 백범당(白凡堂)이 있으며 그 옆으로는 1946년 이곳을 다시 찾은 김구 선생이 심은 향나무가 잘 자라고 있다. 마곡사 개울가에는 김구 선생이 삭발했던 삭발 바위가 있어 또 다른 명소가 되었다.

이렇듯 마곡사 이곳저곳을 둘러본 후에 돌아 나오는 길에 해탈문과 사천왕문 옆 영산전을 찾아본다. 영산전(보물 제800호)은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며 세조가 김시습을 만나러 찾아왔다가 못 만나자 현판 글씨를 써주었다고 한다.

▲단아한 모습의 영산전. 그 안에는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목불 일곱 구가 있는데 과거불 여섯 분과 석가모니이다. 천불을 함께 모셔 천불전이라고도 한다.(김신묵 동년기자)
▲단아한 모습의 영산전. 그 안에는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목불 일곱 구가 있는데 과거불 여섯 분과 석가모니이다. 천불을 함께 모셔 천불전이라고도 한다.(김신묵 동년기자)

세계유산으로 선정된 마곡사. 승가 공동체의 생활과 전통양식을 잘 보전하여 ‘한국의 산사’ 7곳에 포함되었고 불화를 그리는 유명 화승(畵僧)들의 맥을 이어가는 절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