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포스터가 밝고 환하다. 언뜻 알록달록 꽃들인 줄 알았는데, 예쁜 면 생리대들이 춤을 추고 있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생리컵이라는 낯선 물건들도 함께 놓여 있었다. 마치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것처럼.
포스터부터 대놓고 영화의 주제가 ‘생리’임을 드러내는 영화 ‘피의 연대기’. 인류의 절반인 여성들의 몸에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에 대한 내용이다. 50플러스서부캠퍼스에서 영화 상영과 함께 감독과의 대화 시간을 마련했다. 덕분에 영화의 후일담을 들을 수 있어 매력적이라 느꼈다.
그렇다면 ‘피의 연대기’라는 제목이 담고 있는 뜻은 무엇일까? 영화의 출연과 연출을 맡은 김보람 감독은 “여자들이 생리를 처리해 온 역사뿐만 아니라 내 몸에서 일어난 개인이 겪은 생리의 역사, 그리고 생리를 하고 있는 여자들의 연대 모두를 의미한다”라며 야무진 답변을 들려줬다.
우리 사회 담론에서 밀려나 있던 여자들의 은밀한 이야기 ‘생리’. 저소득층 여학생의 깔창 생리대 문제가 사회에 툭 튀어나오고부터 정치권에서도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
영화를 보며, 이제는 완경을 맞은 나의 생리 역사도 떠올랐다. 초경은 중학교 2학년 때였다. 엄마와 언니가 있었지만 딱히 알려주는 사람이 없어 쑥스럽고 당혹스러웠던 기억이 난다. 생리 주기는 정확한 편이었고, 생리통도 심하지 않은 것은 정말 다행이었다. 그러나 더운 여름에 생리를 하면 많이 불편하고 힘들었다. 생리통으로 하얗게 얼굴이 변하며 고생하던 친구들도 떠오른다.
영화는 이러한 내용을 무겁지 않게 톡톡 건드리며 쉽고 자연스레 몰입하게 만든다. 여자들 몸에서 일어나는 은밀한 이야기이지만, 세상에 환하게 드러내 놓고 보니 또 자연스럽다. 처음 사용법을 알게 된 생리컵이라는 이상한 물건도 신기하게 느껴졌다.
여성의 몸에서 일어나는 생리에 대해 남자들도 관심을 가져야
“남자들이 이 영화를 많이 보면 좋겠어요. 어떤가요?” 감독과의 시간에 내가 던진 질문이다. 이에 김보람 감독은 “독립영화, 다큐멘터리, 게다가 주제는 생리, 남자들이 싫어할 만한 3가지 요소를 다 가지고 있는 영화입니다. 간혹 여자친구 손에 끌려오는 남자들이 있기는 하지만, 남성 관객이 별로 많지는 않습니다”라며 웃으며 답한다.
여자마다 다양한 생리 증후군이 있다. 나는 여자들이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고통을 남자들이 좀 알았으면 한다. 여성은 그들의 친구, 동료, 애인, 아내, 이웃이 아니던가? 이 세상의 절반인 여성을 이해하고 함께 생활하는 데 이보다 더 좋은 첫걸음은 없으리라. 여성들도 남자들이 저절로 알아주기를 기대하지 말고 도움과 이해를 적극적으로 구해야 한다. 나는 생리 직전 우울감과 무력감을 많이 느꼈다. 이런 호르몬의 장난을 알고 있던 남편은 긴 연애와 결혼 생활 동안 매달 유난히 까칠해지는 나를 어느 정도 이해해주었다.
생리대는 필수품, 뉴욕시 공짜 생리대 법안 통과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 같아 다행이다. 영화에도 나오듯 2016년 뉴욕시는 공립학교·교도소·노숙자 보호소 등 공공화장실에 생리대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영화 제작진은 이 장면을 직접 촬영했다.
“모든 여성의 존엄과 보건을 위한 중대한 한 걸음”이라는 뉴욕시의 슬로건이 뭉클하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건강이 좋지 않으면 몸의 주기성이 깨져 언제 나올지 모르는 생리의 불안감에서 벗어나는 사람이 많아지리라. 우리나라도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들에게 생리대를 지급하는 지자체가 많아지고 있어 반갑다. 물론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생각의 변화도 곳곳에서 느낄 수 있다. 몇 년 전, 남녀공학 고등학교에 재직할 때 일이다. 보건 선생님은 생리대를 준비해오지 못해 쑥스러워하는 여자친구의 손을 끌고 보건실에 온 남학생들이 가끔 있다고 귀띔해주었다. “OO을 건드리지 마! 오늘이 그날이래~”하는 남학생도 있었다. 장난처럼 오가는 말에 친구를 위한 배려가 느껴졌다. 무엇보다 음지에서 양지로 나와 자연스런 몸의 현상 중 하나로 이야기되는 일이 좋아 보였다.
‘피의 연대기’ 같은 여자의 몸, 생리에 대한 다큐 영화가 제작되고, 함께 토론해보는 것도 진전의 신호이다. 여혐, 남혐 사회를 뛰어넘어 남녀가 살아가는 동반자로 서로의 특징을 잘 이해하는 것이 평화로운 삶의 첫걸음일 것이다.
그나저나, 영화가 적자라 고민이 많다던 감독의 말이 머리에 맴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