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베그패커(Begpacker)’구걸하는 여행자

기사입력 2018-06-08 15:42

시내 중심가 중앙로역에서 전철을 타려고 계단을 내려가는 중이었다. 오후 4시가 넘었고 날씨는 무더웠다. 무심히 내려가는데 계단 중간지점에 할머니가 백 원짜리 동전 두 개가 담긴 빨간 플라스틱바구니를 앞에 놓고 구걸하고 있다. 고개 숙인 채 챙이 넓은 썬 캡을 쓰고 있다. 웅크리고 앉은 모습이 마치 작은 돌하르방 같다. 내 앞에 가던 아이가 자기 주머니에서 천 원짜리 지폐 한 장을 꺼내 할머니 바구니에 넣었다. 지폐가 바구니에 담기자 할머니는 얼른 천원을 집어 자기 주머니에 넣었다. 천원이 사라진 바구니는 도로 백 원짜리 동전 두 개로 남았다.

천원을 놓고 내려가던 아이의 걸음이 멈칫하더니 되돌아 올라온다. 아이는 그 바구니에 천원을 또 넣었다. 이제 중학생이 된 것 같은, 하얀 티셔츠에 청바지를 입은 남자아이는 앳된 십대다. 자기가 건넨 천원이 너무 적다고 생각한 걸까. 번잡한 계단한쪽에 쪼그리고 앉아 오가는 이의 발걸음을 보고 있을 그 할머니가 안쓰러웠을까. 나이로 보자면 아이는 구걸할머니의 손자뻘 정도가 될 것 같다. 아이는 나와 엇갈린 방향으로 전철 타는 곳으로 걸어 내려갔다.

행색이 초라한 할머니에게 아이는 2천원을 기부했다. 할머니에게 그 돈은 먹고 살아야 하는 절실한 돈이 될 수 있다. 얼마 전 뉴스에서 ‘베그패커(Begpacker)'가 우리나라를 겨냥해서 들어온다는 기사를 보았다. 베그패커는 구걸하다의 베그(beg)와 배낭여행객을 뜻하는 백패커(backpacker)의 합성어이다. 여행을 위해 구걸하는 사람들을 베그패커라고 부른다. 생계 때문에 구걸하는 것이 아닌 것이다. 이들은 구걸하면서 ’프리허그‘를 제공하거나 자기들이 직접 만든 팔찌, 사진 등 물건들을 팔기도 하면서 여행비를 마련한다.

여행을 위해 구걸하는 건 우리 정서에는 왠지 낯선 모습이다. 내가 초등학교에 다니던 70년대 전후에도 동네에서 구걸하는 사람이 종종 눈에 띄었다. 때로는 밥 때가 되기를 기다려 찾아오는 걸인도 있었다. 이웃들은 걸인을 딱하게 여겨 아무런 댓가 없이 밥을 주기도 하고, 형편이 되면 돈으로 적선을 했다.

여행지에서 경비를 마련해가며 여행하는 사람들은 ‘배낭족’이다. 그들은 낭만주의자의 이미지를 갖고 있다. 그런데 베그패커들은 한국인의 거절하지 못하는 심성과 백인들에게 우호적인 면을 이용하며 한국 사람들을 만만하게 본다고 한다. 낭만을 즐기는 배낭족이라기보다는 낭만을 빙자한 얌체족에 가까운 것이다. 하루 수익이 꽤 되는데 얼마나 되는지 묻는 기자의 질문에 그것은 비밀이란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강남이나 홍대, 신촌, 종로 등에서 주로 활동하는 베그패커들. 북미나 유럽등지에서 온 그들은 ‘당신은 나를 도울 수 있습니다’라는 글을 바닥에 써 붙여 정에 약한 사람들의 동정을 구걸한다. 그렇게 모은 돈은 주로 유흥비에 탕진한다니 그들은 다른 나라에서 이미 강제퇴거대상이 되었다고 한다.

베그패커와 같이 구걸하는 형태도 다양해지는 현실이다. 지하도 계단에서 구걸하는 할머니에게 두 번이나 돈을 건넨 어린학생은 아마도 ‘굶주린 이웃’에게 주저 없이 자신의 것을 내주었을 것이다. 아이는 자신의 할머니를 떠올렸을지 모른다. 여행을 위해 돈을 벌려는 배낭족에게 조건 없이 도움을 주려는 순수한 동정이 베그패커로 얼룩이 묻지 않도록 잘 살펴볼 일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