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다키스트 아워’는 영국 해군장관 출신의 정치인 윈스턴 처칠이 전시내각의 총리로 임명되는 1940년 5월 10일부터 덩케르크 작전(다이나모 작전)으로 불리는 대규모 철수작전이 끝나는 5월 28일까지 19일간의 행적을 추적한다. 최악의 상황에서 내각을 이어받은 처칠이 반대 세력으로부터 받는 갖은 압력 속에서 현실과 신념 사이에서 갈등하고 고뇌하는 모습이 이 영화의 전부를 이룬다.
사실 이 영화를 보게 된 동기는 작년에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덩케르크’를 감명 깊게 보았던 영향이 크다. 당시 놀란 감독이 표현해낸 기적 같은 철수 장면이 떠오르면서 당시 영국 내의 상황이 궁금해진 것이다. 그러니까 두 편은 서로 이어진 작품으로 순서만 바꿔 보는 셈이다. 두 편 모두 같은 사건을 각기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지만, 도달하는 지점은 같다는 게 흥미롭다.
‘덩케르크’는 등장인물들의 생존을 위한 투쟁과 이름 없는 국민들의 눈물겨운 헌신이 돋보인다. 반면에 ‘다키스트 아워’는 이들의 운명을 좌우하는 정치 지도자들의 진흙탕 싸움이 전개된다. 사실 이 시점에서 무엇이 옳은지 불분명하다. 현저한 전력의 열세 속에서 히틀러에게 항복하고 희생을 줄이는 것도 나름 정당성이 있다. 그러나 처칠은 항복은 곧 노예의 삶을 의미한다며 결사항전의 의지를 다진다.
무수한 정치적인 공세 속에서 처칠의 흔들리는 신념을 잡아주는 존재는 다름 아닌 이름 없는 지하철의 시민들이었다. 물론 이 영화에서 거의 유일하게 역사적 사실이 아닌 픽션임이 분명한 이 장면이야말로 감독의 의중을 여실히 반영하는 지점일 것이다. 전쟁이라는 막중한 상황에서 어려움을 견디며 전쟁을 수행하는 주체는 결국 이름 없는 일반 국민들인 것이다. 처칠은 그들을 대변하며 용기를 얻는다.
처칠의 무기는 또 하나 있다. 그것은 그의 탁월한 언변이다. 이 영화가 아니더라도 처칠의 말과 관련한 일화는 무수히 많다. 정적을 제압하는 여유 있는 유머는 그의 트레이드마크다. 어디선가 접했을 법한 익숙한 그의 명연설이 감독 조 라이트의 뛰어난 연출을 통해 화면에 전개된다. 역광을 활용한 어두운 분위기의 의사당에서 행하는 마지막 연설은 이 영화의 백미다.
그렇다. 결국은 말의 힘이다. 처칠은 사실 과거 군사적 판단착오로 여러 전쟁에서 실패한 무장이었다. 그러나 결정적인 순간 말의 힘으로 일어섰다. 올바른 판단을 하였으면서 말로 표현하는데 서툴러 무대에서 사라진 정치가가 얼마나 많은가. 우리의 현실과 비교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우리는 언제쯤 자극적인 막말이 아닌 우아한 언어로 상대를 제압하고 국민을 설득하는 이런 정치가를 만날 수 있을까!
수많은 명언 중 “싸우다 패한 나라는 다시 일어설 수 있어도, 무릎 꿇고 굴복한 나라는 다시 일어설 수 없다.”는 말이 오늘의 우리 상황과 중첩되어 기억에 남는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처칠 역의 게리 올드만에 크게 빚지고 있다. 그가 옛날 <레옹>의 그 미치광이 형사였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