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년기자 페이지] 벗에 대하여…
새벽에 차 시동을 걸었다. 한탄강이 흐르는 전곡 원불교 교당을 찾아가는 길. 가는 내내 40년 전 초등학교 시절의 기억을 떠올렸다. 추수가 끝난 논에는 서리가 하얗게 내려앉아 있었다. 거대한 독수리들이 검은 무리를 이루고 있는 모습이 생소하고 두려웠다. 논길을 지나고 작은 마을의 고불고불한 길을 빠져나와 언덕을 넘으니 옅은 안개 속에 아담한 교당이 나타났다.
필자는 경주 인근 산골에서 살다가 초등학교 2학년 2학기 때 서울 제기동으로 이사 왔다. 그 친구는 초등학교 3학년 때 만났다. 4학년이 되어 또 이사를 했으므로 친구와 사귄 것은 1년 정도에 불과하다.
시골에서 학교 다닐 때는 성적도 좋았고 반장도 했다. 그러나 서울에 와서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했다. 경상도 사투리가 심했기 때문에 아이들 놀림감이 되었다. 심지어 담임선생님도 자꾸 책읽기를 시켰다. 자신감이 없어지고 더 내성적으로 바뀌었다.
한옥 집 문간방에서 온 가족이 살았다. 텔레비전이 동네에 몇 대 없을 때였다. 시골 촌뜨기에게 그들은 텔레비전도 보여주지 않았다. 필자는 언제나 그들 주위를 맴도는 외톨이였다.
그 친구와 어떻게 가까워졌는지는 기억에 없다. 어느 날 집에 놀러가자고 했다. 마당 한가운데 펌프와 꽃이 가득한 네모난 정원이 있었다. 정원을 둘러싸고 미음자로 지어진 큰 한옥집이었다. 유리알처럼 반들반들했던 마루의 감촉이 지금도 생생하다. 학교가 끝나면 늘 친구 집에 가서 어머님께서 내주신 과자와 과일을 먹으며 둘이서 텔레비전을 봤다. 친구는 바둑을 잘 두었다. 필자의 바둑 실력은 8급 정도인데 그때 배운 그대로다. 검은색 자가용도 있었는데 그 시절에 기사도 있었다. 잘사는 집이었다. 광나루로 가족 물놀이를 갈 땐 필자도 데려갔다. 그러나 4학년 때 우리 집이 면목동으로 이사하면서 친구와 연락이 끊어졌다.
그리고 40년이 흘러 필자가 오십이 되던 해에 문득 그 친구가 간절히 보고 싶어졌다. 세상을 좀 살아보니 남을 배려한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되었다. 갈빗대가 다 드러날 정도로 몸이 약했고 내성적이며 사투리를 쓰는 시골 촌뜨기를 챙겨준 친구도 고마웠고 늘 다정하게 대해주셨던 친구 어머님도 보고 싶었다.
다행히 친구 이름을 잊지 않았다. 친구가 어느 중학교로 진학했는지 겨우 알아냈다. 그 중학교에서는 개인정보를 지켜야 한다면서 친구에 대한 정보를 일절 알려줄 수 없다고 했다. 여러 번 사정했지만 허사였다. 혹시나 하는 심정으로 인터넷에 친구의 이름을 입력해보았다. 눈에 익은 한 사람의 얼굴이 검색되었다. 눈이 번쩍 뜨였다. 40년이 지났지만 그 친구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었다. 그는 원불교 스님이 되어 있었다.
교당 주차장에 이르자 가슴이 뛰었다. 그도 나를 알아볼까. 잠시 후 우리는 손을 맞잡았다. 시간이 되돌려진 듯 40년 전으로 돌아갔다. 마당 한가운데 네모난 정원과 펌프의 위치, 집의 구조와 마루에 있던 텔레비전, 바둑판이 놓인 자리를 종이 위에 그리는 필자를 그는 신기한 눈으로 바라봤다. 하늘 아래 누군가 수십 년간 자기를 잊지 않고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하고 고맙다고 했다.
그의 시집 안에서 어머님의 마지막 모습을 확인했다. 너무 늦게 그를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