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카와’라는 유능한 담당 의사가 항문 암 말기 환자인 갓 스무살 난 쇼타르란 청년의 고통스러움을 지켜보면서 안락사에 대한 의사로서의 고뇌를 섬세하게 보여주는 내용이었다. 아들이나 다름없이 키워온 이모까지 안락사를 간곡하게 부탁하지만 법적으로 금해 있는 안락사를 시도할 수 없어 고민 고민 하다가 환자가 잠깐 진통에서 깨어나는 순간, 본인의 동의를 얻어 케타민이란 진통제를 다량으로 투입시켜 안락사 시킨다.
그 후 일본 사회는 정치인과 의사들이 안락사 문제를 놓고 암투를 벌이는 중에 의문사 사건이 줄줄이 일어난다. 사라카와 의사는 양쪽 이익 집단 사이에 끼어 진정한 의료 행위가 무엇인가를 깨닫고 대형 병원 외과 과장 자리를 내 놓고 동네 보건소 같은 데서 환자를 보살피는 일에 몰두 한다는 것이 대강의 줄거리다.
인간에게 가장 아픈 이별은 동반자와의 사별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이별은 애증의 관계로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이나 대상에 대한 모든 흔적까지도 유골과 함께 묻어야 하는 형식이 곧 사별이다.
벌써 남편과 사별한지 4년이 되었다. 대장암 말기환자인 그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어떤 연명 치료도 거부한 채 한 달 일주일을 진통제만을 투여하며 이생에서의 이별을 준비했다. 삶의 문턱이 얼마나 높은지 뛰어 내리질 못하고 가픈 숨만 몰아쉬는 것을 지켜봐야했다.
필자와 아이들이 교대로 환자 곁을 지키면서 약효가 떨어지면 밤중에라도 즉시 간호사를 불러 주사를 놓게 했다. 점점 강도가 높아지는 마약 때문에 헛소리를 하고 혼수상태가 되다가 결국에는 정을 떼기 위한 행위인지 나를 때릴려고 벌떡 일어나기도 했고 배변을 밤새껏 쏟아내기도 했다. 그 와중에도 망고즙과 흰 죽을 입에 넣어주면 제비새끼처럼 홀짝홀짝 받아먹었다. 참으로 질긴 것이 생명이라더니.
가족 전체가 동의하면 산호호급기를 꽂지 않을 수 있었으나 아들의 반대로 이루지못했다. 우리 가족 모두 파죽음이 되어가면서 그의 마지막을 빨리 보내고 싶어 기도까지했다. “저 불쌍한 생명을 빨리 고통에서 해방시켜 평안하게 잠들게 해 달라”고. 그 다음 날 아침에 늘 하던대로 망고즙을 먹였더니 기도가 막혀 몇 시간 후에 숨을 거두고 말았다. 산소 호흡기를 꽂으면 아무것도 먹이지 말아야하는데 사전 지식이 없어서 결국 내가 안락사 시킨 셈이 되었다. 죄책감 보다 오히려 마음이 편안했다. 간병 할 때와 그를 떠나보낼 때의 심경을 표현한 필자의 졸시다
칼바람 스미는 12월의 창가 병실
한밤중 또,또,똥 그의 서툰 발음따라 팔이 치켜올라간다
저 바위의 기저귀를 어떻게 갈아야하나
돌돌돌돌 구심력에 끌려간 내 고향 마을을 가로지르는 샛강
냇물 따라 나도 돌돌돌 흘러간다
어느 철학자는 “한 번 담근 물에 두 번 발 담그지 말라” 했건만
나는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암반 끌어안고 돌돌돌 바윗돌 씻으며 가야하네
바다가 가까워 왔는지 질머진 똥짐 모두 내려놓는 화석 한 덩이
별자리를 찾아 떠난 그대
그와 나의 절취선에 폭풍이 인다
아직은 말랑말랑한 기억의 지층에서 소리쳐본다
새로운 영토를 찾아 아주 먼 여행을 떠난 그대
안녕하신가
응답하라
-송시월 시 <똥짐>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