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통신발달, 봉수대와 스마트폰

기사입력 2017-06-12 13:19

▲전국의 봉화가 최종 집결하는 남산봉수대 (백외섭 동년기자)
▲전국의 봉화가 최종 집결하는 남산봉수대 (백외섭 동년기자)
가뭄에 농민의 가슴이 타들어가는 초여름이다. 친구 몇 명과 성곽길을 따라서 남산에 올랐다. 하늘은 맑고 서울타워가 더 높게 보인다. 남산광장 북쪽에는 도심 쪽으로 평소 별 관심 없이 지나쳤던 남산봉수대가 있다. 때마침 근무교대식을 볼 수 있었다.

봉수대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옛날의 통신수단이다. 높은 산봉우리에서 봉화나 연기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일어나는 위급한 소식을 전달하던 곳이다. 밤에는 횃불인 봉화, 낮에는 연기를 피워 전국 각지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한양으로 신속하게 전달하였다.

“전국의 봉수대는 남산에 있는 5개소를 최종 목적지로 편제되었다. 남산봉수대는 중앙 봉수소로서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문화해설사의 설명에 무악ㆍ봉화ㆍ아차산 봉수대는 한 개이고 이곳은 왜 5개였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남산봉수대는 동쪽의 제1봉부터 서쪽 방향으로 제5봉에 이르는 다섯 개의 봉수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1봉의 봉수대는 함경도-> 강원도-> 광진구 아차산에 닿은 신호를 받았고, 제2봉은 경상도 해안ㆍ경상도 내륙-> 충청도 내륙-> 경기도 광주로 이어진 봉화를 받았다. 제3봉의 봉수대는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내륙-> 한성의 무악 동봉에 전해진 신호를 받았고, 제4봉은 평안도ㆍ황해도의 바닷길-> 경기도 육로-> 한성의 무악 서봉에 연결된 봉화를 받았으며, 제5봉은 전라도 해안-> 충청도 내륙-> 경기도 해안-> 강서구의 개화산으로 전달된 봉수를 받았다.

신호는 횃불이나 연기의 수를 조정하여 위급함의 정도를 나타냈다. 한 번 드는 것을 일거라 하여 평상시에는 일거, 해상이나 국경 부근에 적이 나타나면 이거, 변경이나 해안 가까이에 적이 나타나면 삼거, 적이 국경을 침범하거나 병선과 접전을 하면 사거, 적이 상륙하거나 국경을 침범한 적과 접전을 하면 오거를 올리도록 하였다.

옛 적 봉수제도를 생각하였다. 우선 위급한 정보가 모든 사람에게 공유되었다. 특정인을 위하여 기밀이라는 이유로 숨기거나 해킹할 수단도 없다. “안개ㆍ비ㆍ바람으로 기후가 나빠 봉수가 불가능해지면, 포성과 뿔 소리로 인근의 주민과 수비군에게 상황을 전달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 봉수대의 봉수군이 다음 봉수대까지 달려가 알리기도 했다.”는 해설에서 만지작거리던 스마트폰을 잠시 멈췄다. 통신수단 발달사가 한 곳에 있다.

“그 당시에 스마트폰이 있었다면?”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상상의 날개가 하늘로 치솟았다. 요즈음 미세먼지ㆍ오존 재난경보가 수시로 전파되었다가 해제되곤 한다. 하지만 정작 시급한 지진이나 대형사고 전파는 너무 늦는 일이 잦아서 불편하다는 이야기가 많다. 스마트폰 속 사진으로 남겨진 남산봉수대를 다시 생각하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