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는 '아들러 심리학'으로 열풍을 일으킨 일본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기시미 이치로가 쓴 책이다. 그는 20대에는 뇌경색으로 쓰러진 어머니를 간병했고 50대에는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꽤 오래 간병했다. 본인도 50세에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한때 아버지의 간병을 받았다. 이 책은 아버지의 간병 기록이다.
간병은 힘든 일이다. 간병인은 꽤 많은 보수를 받지만 워낙 일이 힘들다 보니 간병인을 구하기 힘들다고 한다. 남을 간병하는 일은 그나마 형식적으로 할 일만 하면 된다. 그러나 가족일 경우 특별한 감정이 더해져 더 힘들 수 있다. 저자는 “부모와 자식이라는 가면을 벗고 인간으로 마주하라”고 썼다. 오래 간병하다 보면 환자와의 지나간 과거는 물론이고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는 계기도 될 수 있으며, 자신의 여생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기회를 갖게 되는 것 같다.
간병하는 동안 아버지는 아들 앞에서 늘 잠만 잤다. “늘 잠만 주무시니 옆에 간병할 사람이 필요 없겠네요?” 했더니 ”네가 있어 편안히 잠을 잘 잔다“는 말에 찡했다.
치매 환자가 전혀 소통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소통이 될 때도 있고 안 될 때도 있다. 그러므로 소통이 될 때를 생각하고 환자를 대하면 안 된다는 것이 이 책의 교훈이다. 어제 얘기할 때는 멀쩡히 다 알아들었는데 하루 지나 전혀 다른 소리를 해도 이상하게 생각하거나 화내지 말라는 것이다. 화를 내면 본인의 심박 박동만 올라가고 좋을 게 없다는 말이다.
치매 환자는 금방 밥 먹은 것을 잊고 또 밥을 달라고 하거나 안 주면 굶긴다며 화를 내기도 한다는 얘기는 들었다. 이런 현상은 치매로 기억을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배가 부르면 음식물에 대한 욕구가 저절로 떨어지는 ‘만복 중추기능’이 약화되어 그렇다는 것이다.
저자는 간병이 힘들다고 화를 내거나 한숨을 쉴 필요도 없다고 말한다. 심리적으로 볼 때 간병인은 환자에게 “내가 이렇게 힘이 든다.”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내가 이렇게 힘든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어 하는 심정이 있는데 그럴 필요 없다는 것이다. 아무리 그래봐야 환자는 모를 것이니 소용없는 일이고, 주변 사람들에게는 힘들면 도와달라고 하면 된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치매는 시간의 경과를 잊어버리는 병이다. 간병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환자가 불쌍해 보이지만, 시간을 초월해 현재와 지금만 중요하게 여기는 치매 환자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가장 이상적인 삶을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며 저자는 이 책의 끝을 맺었다.
필자의 집안에는 치매 환자가 없다. 가족력으로는 그렇지만, 앞으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 어떻게 될지 모른다. 다행히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약이나 방법을 찾아낸다면 몰라도 나이 들면 서서히 다가와 피할 수 없는 질환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