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조하리 창문’으로 재능 끄집어 내기

기사입력 2017-01-16 11:26

▲조하리 창문 (변용도 동년기자)
▲조하리 창문 (변용도 동년기자)

‘조하리 창문’은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자기 발견 방법이다. 앞의 사진처럼 “타인이 아는 나와 타인이 모르는 나” “내가 아는 나와 내가 모르는 나”를 축으로 하여 4개의 창문으로 구분한다. 필자는 이 이론을 취미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보았고 실제 경험이 이를 뒷받침해주었다.

조물주는 인간을 창제할 때 평등을 주었다 한다. 잘할 수 있는 재능, 즉 끼도 마찬가지지 싶다. 어릴 때부터 그 끼를 발견하여 키워온 사람은 성공한 삶을 살고 있다. 물론 이 경우는 부모나 학교 선생이 그 재능을 알아보고 키워준 경우가 많다. 예전에는 성공 직업의 폭이 좁았다. 대통령이 되거나 판사가 되기를 희망했다. 한때는 군인으로서 장성의 꿈을 꾸기도 했다. 시대가 바뀌어 지금은 스포츠맨이나 연예인을 꿈꾸고 그 외에도 자기 나름의 다양한 미래 희망을 이야기한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있다는 점에서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명문대학을 가기 위해 시험 성적을 올리기 위한 준비에 매달려온 지난 날이었다. 그런 결과는 창의성이 가장 뒤처진 나라로 낙인이 찍히게 되지 않았나 싶다. 그뿐만 아니라 은퇴를 한 베이비붐 세대들 또한 날로 늘어나는 한가한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다. 어느 조사에서 할 수 있는 취미활동이 없어서 집안에서 뒹굴뒹굴하게 되어 ‘삼식이’로 부인들의 잔소리를 듣는다 했다. 여가활동을 위한 준비를 못 해서다. 서구인의 경우는 은퇴를 무척이나 즐거워한다. 미리미리 준비를 해왔기 때문이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자기 인생의 출발점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과연 잘할 수 있는 끼가 없을까? 우리 세대는 전 반생의 삶에서 가족이나 직장을 위하여 매달렸다. 생존경쟁의 틈바구니에서 여가생활은 늘 뒷전이었고 자기가 하고 싶은 꿈도 접어두기 예사였다. 그런 세월을 살다 보니 접어둔 꿈 자체도 까마득하게 잊고 말았다. 시니어 세대는 그동안 잊고 살았던 꿈을 펼치며 살아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고 있다. 우선은 은퇴로 말미암아 자기 마음대로 쓸 수 있는 한가한 시간이 주어졌다는 점이다. 수명도 늘어나 그 시간이 길다. 다시 말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시간이 충분하다는 점이다. 직장인으로 살 때 늘 시간에 쫓기던 때와는 사뭇 다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날마다 일요일을 사는 셈이다. 하릴없이 무료하게 보내는 시간은 고통이다. 장수시대에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돈이 없이, 아프면서 오래 사는 것보다 하릴없이 오래는 사는 것이라 한다. 1980년대 초에 인기리에 불렸던 팝송 ‘다니엘 분’의 'Beautiful Sunday' 가사처럼 아름다운 일요일, 기다려지는 그런 일요일이어야 한다.

취미활동이나 평생학습 또는 봉사활동 등의 여가활동이 필요하다. 그런 일 중에서 은퇴자들이 가장 많이 희망하는 분야가 취미활동이다. 그러나 실제는 텔레비전 시청이 1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 이유는 경제적 이유도 있지만 할 수 있는 취미가 없어서라는 은퇴자도 많다.

자기가 잘 할 수 있는 취미개발이 필요함은 당연하다. 다행스럽게 꾸준히 해오고 있는 취미가 있다면 문제가 아니지만, 그렇지 못하면 만들어야 한다.

간혹 “지금 배워서 뭐하려고?”라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앞으로 보내야 할 노후 시간이 너무 길다. 먹고 자고 배설하고 꼭 해야 할 의무적 시간을 제외한 순수 여가가 상상 이상이다. 해가 갈수록 늘어난다. 또 나이가 들면 신체적 변화로 잠자는 시간도 줄어들어 여가는 더 늘어나는 꼴이어서 더욱 그렇다.

어떻게 취미를 개발할 것인가? 필자는 60살에 사진을 배우기 시작했고 지금은 사진작가로 후반생을 활기차게 보내고 있다. 시작 시점에서 환경은 열악했다. 사진 솜씨는 초보자 그대로였고 장비 또한 똑딱이라 부르는 소형 카메라가 전부였다. 처음엔 단순한 취미로 그냥 한번 해보려고 했을 뿐이다. 사진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 만난 한 여인이 발견해준 필자의 사진 재능을 믿고 사진작가에 도전하게 되었다. 그 계기를 통하여 삶의 새로운 방향이 열린 셈이다. 새로운 사람과의 교류로 자신이 모르고 있는 재능을 발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조하리 창문’ 과 같이 ‘스스로는 모르고’ 있으나 다른 사람이 볼 때 잘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그 재능을 다른 사람을 통하여 발견해 내는 방법이다. 그러기 위하여 그동안 자주 만나던 동창이나 직장인보다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이 필요해진다. 기존 친분이 있는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게 타성에 빠져있게 마련이어서 새로운 시각으로 보지 않는다. 새로운 사람은 또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문이 열려 있어서다. 자기는 모르는 자신의 재능을 다른 사람을 통해서 발견하는 ‘조하리 창문’도 이용해볼 만 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