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가 되고 나서도 1년에 한 번쯤은 찾아가고 있지만 웅장함과 신비스러움은 점점 시들어가고 있는 것 같다. 경주에서 지진이 난 후에 찾아간 유적지는 매스컴에서 방송되는 사실들과는 대조적으로 보였다. 일부 흙담이 진동으로 갈라지거나 떨어진 곳도 있었고 오래된 건물 지붕의 기와도 흘러내린 곳이 있었으나 아주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다.
해마다 가을 단풍이 물들 때면 경주 시내와 유적지는 밀려드는 차량과 여행객들로 혼잡했고 식당은 줄을 서서 기다려야 겨우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지진 여파인지 이번에는 문화 유적지를 찾는 사람이 거의 없어 문화해설사의 안내를 독차지하다시피 했다. 해설사의 열띤 언변에 도취되어 그 어느 때보다도 알찬 여행을 할 수 있었다.
보문단지를 지나 교리 한옥마을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도보로 교촌마을로 들어가니 그곳에서도 문화해설사가 반갑게 맞아준다. 교리 김밥집도 여행객이 없어서인지 문이 잠겨 있었다. ‘21세기의 최 부자로 살아가기’라는 스토리가 있어 최 부잣집을 둘러보았더니 최 부잣집의 가훈이 눈에 들어온다.
1. 흉년에는 땅을 사지 않는다.
흉년은 가난한 사람에게는 견디기 힘든 고통이지만 부자에게는 부를 축적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하지만 이는 가진 사람이 할 도리가 아니라고 보았고 정당한 방법이 아니면 부를 축적하지 말라는 교훈이 담겨 있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깊이 생각해봐야 할 대목인 것 같다. 인간은 영원히 살 수 없다. 반드시 끝이 있다. 그러나 욕심은 끝이 없다. 그 사실을 알면서도 욕심을 버리지 못하는 동물이 인간이다. 다 같이 행복한 아름다운 사회가 지켜질 수 있도록 우리 시니어가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2.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조선시대에는 과객(나그네)이 부잣집에 들르면 며칠씩 혹은 몇 주일씩 묵고 가기도 했다고 한다. 운송수단과 통신이 발달되지 않았던 시대여서 과객을 통해 전국의 중요한 정보도 얻고 또 전국의 여러 곳에 그들의 인심을 전달해 중요한 일이 발생했을 때 좋은 여론을 형성하기도 했단다. 최 부잣집에서도 1년에 소비하는 쌀이 3000석 정도였는데 그중 1000석은 과객을 대접하기 위한 쌀이었다고 한다. 오늘날 부정부패로 부를 축적한 사람들도 이런 얘기를 듣기도 하고 글을 통해 보기도 했을 텐데 베풀기에도 인색한 그들의 욕심은 끝이 없다. 중요하고 가치 있게 여기는 것들이 도대체 무엇인지 좀 묻고 싶다.
우리 시니어들은 부를 축적하기보다는 여생 동안 봉사를 생활화하면서 살아가면 좋겠다. 봉사는 하루아침에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만큼 내가 가진 것들을 나누고 사회에 환원한다는 생각으로 생활한다면 좀 더 멋진 노후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