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비엥 아침시장에선 기분 좋은 미소를 만났다. 나이 든 아주머니가 노오란 메리골드 꽃과 바나나잎을 이쑤시개로 꽂아 꽃장식을 만들고 있었다. 사람들은 그 곳에서 대여섯 개의 꽃장식을 샀다. 나는 사람들이 꽃장식을 사가는 모습을 유심히 지켜보았다. 아이 손을 잡고 나온 남자는 꽃장식을 사서 오토바이에 걸어놓고 장을 봤다. 곧이어 아주머니가 다가와서 그 만큼의 꽃다발을 사갔다. 꽃만드는 아주머니 앞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았다.
“하우머치?” 다가가서 물었다. 잠시 올려다보더니 “2000낍” 이라고 작게 말했다. 이게 뭐하는데 쓰는 거냐고 물으니 두 손을 모으고 절하는 시늉을 했다. 호텔 앞 제단, 오렌지주스 옆에 놓을 생각으로 2000낍을 주고 꽃장식을 하나 샀다. 아주머니는 돈을 건네 받으면서 호의에 찬 미소를 보여주었다. 꽃을 사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침시장은 먹거리가 가득했지만 여행자들이 살만한 건 거의 없었다. 그래도 무언가 사고 싶어 이리저리 다니다가 바게트 빵 파는 아가씨를 발견했다. 바게트를 수북히 쌓아놓고, 연유를 비닐 봉지에 담아 팔고있었다. 얼마냐고 물으니 수줍어 하며 손가락 세 개를 폈다. 3000낍이냐고 물으니 고개를 끄덕이는데 자신이 없어 보였다. 그 사이에 새로운 손님이 와서 2000낍을 내고 빵을 사갔다. 나는 못 본 척 하고 3000낍을 냈다. 빵값을 들켜버린 빵장수 아가씨는 얼굴이 빨개진 채 어색하게 웃으며 1000낍을 돌려주었다.
2000낍이면 우리 돈으로 300이 채 못 되는 돈이다. 라오스에선 이 돈으로 겉은 바싹하고 속은 부드러운, 파리바게트에서 파는 바게트 보다 훨씬 맛있는 바게트를 맛볼 수 있다. 바게트를 담은 투명 비닐봉지를 한 손에 받아들고, 또 한 손은 빵장수 아가씨에게서 돌려받은 1000낍 때문에 난처해졌다. 1000킵을 돌려줄까 하다가 모른 척 하고 발길을 옮겼다. 아침시장에서 돌아오면서 순진한 빵장수 아가씨가 관광객 앞에서 뻔뻔스러워지는 날이 올까 생각해 보았다. 그날이 머지 않았으리라 생각된 건 루앙프라방에서 꽝시폭포 갈 때 만난 툭툭이 기사 때문이었다.
꽝시폭포에 갔다가 시간이 초과됐다고 툭툭이 기사는 추가요금을 요구했다. 분명 올-데이라고 말했다고 설명했지만 끈질기게 웃돈을 요구하는 툭툭이 기사 때문에 불쾌해졌다. 라오스 사람 특유의 웃음과 순진해 보이는 어투, 조금은 이상한 영어발음 등은 이때까지 만났던 라오스 사람들과 모두 같다고 생각했는데, 옳지 못한 방법으로 관광객 주머니를 노린다는 점이 싫었다. 관광객들 틈에서 순수함을 도둑맞은 건지도 모를 일이다. 툭툭이 기사를 생각하면 바케트 파는 아가씨의 어수룩함은 오히려 애교스럽게 느껴졌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라오스 사람들은 친절하고 따뜻했다. 라오스에서 만난 사람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사람은 방비엥에서 투어를 함께 했던 가이드다. 10년 넘게 가이드 생활을 했다는 그는 한국말과 영어를 교묘히 섞어서 한국사람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영어를 구사했다.
블루라군에서 짚라인을 하기 위해 가이드는 안전수칙을 설명하고 구명조끼와 안전줄을 매주며
“익(스) 큐즈미...”
를 연발했는데 여간 귀여운 게 아니었다.
“엄마, 괜찮아요?”
그 가이드한테 가장 많이 들은 말이다. 투어를 함께 한 10여 명 모두가 20대였고 필자만 중년이었다. 가이드의 특별관리(?) 대상이 된 것이다. 짚라인을 하면서 나무를 옮겨갈 때마다 가이드는
“엄마, 괜찮아요?”
혹은
“엄마, 괜찮아요”
라며 내게 용기와 힘을 주고 신경을 써주었다. 그럴 때마다
“엄마, 괜찮아”
라고 대답하고 씩씩하게 발걸음을 옯겼다. 그러면 가이드는 활짝 웃었다. 더운 여름날 나무 위에서 비지땀을 흘리면서도 웃음을 잃지 않고 끝까지 샹냥했던 가이드는 필자가 라오스를 여행하며 만났던 많은 라오스 사람들처럼 순진하고 따뜻한 마음을 지닌 사람이었다. 나는 그의 손에 팁을 넉넉히 쥐어주며 고마움을 표시했다.
라오스 여행을 하며 청정의 아름다운 자연을 즐기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재미도 좋았지만 친절하고 온화한 미소의 라오스 사람들이 무척 마음에 남았다. 낮은 목소리로 속삭이듯 얘기하며 환한 웃음을 보이는 그들 마음 속에는 선한 부처님이 하나씩 들어있는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