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영화와 책으로 본 '채식주의자'

기사입력 2016-06-20 17:39

▲영화 '채식주의자'의 한 장면. (강신영 동년기자)
▲영화 '채식주의자'의 한 장면. (강신영 동년기자)
영화 '채식주의자'는 2009년에 만들어졌다. 한강의 동명 소설이 한국인 최초의 ‘맨부커상’을 수상하게 되자 최근에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다. 그 덕분에 최근 TV에서 여러 번 재방영되었다. 그런데 필자는 이 영화를 볼 때마다 곯아 떨어져서 제대로 다 본 적이 없었다. 어떤 때는 TV를 틀었을 때 시간이 안 맞아 중간부분부터 보다가 잠들었고 어떤 때는 거의 끝부분을 보다가 잠들었다. 첫날은 처음부터 봤는데 중간 광고 시간에 잠시 긴장을 푼 사이에 잠이 들어 못 봤다. 그러다가 드디어 네다섯 차례 만에 처음부터 끝까지 제대로 본 것이다. 그만큼 이 영화가 재미는 없다는 얘기이다.

그러나 문예영화 또는 예술 영화는 지루한 것을 참고 봐야 한다. 말이 안 되든, 리얼리티가 떨어지든 제대로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 영화의 바탕이 된 소설이 엄청난 큰 상을 받아 이미 내용은 수준 높다고 검증이 되어 좋은 작품이니 이해하려고 애를 써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이 영화의 제목이 ‘채식주의자’이니 채식주의자 여성을 주인공으로 알고 본다. 그러나 책은 그가 아닌 남편, 형부, 언니의 입장에서 썼다. 이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가족의 입장에서 그의 채식주의를 이해하려고 해야 하고 형부가 처제에 대한 성적인 욕망도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영화나 책 모두 3부작으로 되어 있다. 각각 다른 시기에 써서 발표했고 이번에 셋을 영화와 책으로 모았다. 그렇다고 딴 사람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은 같고 이야기도 서로 연관되어 이어진다. 1부 ‘채식주의자’, 2부 ‘몽고반점’, 3부 ‘나무 불꽃’이다.

영화에서는 채식주의자 영혜 역으로 채민서, 형부 민호 역에 현성, 그의 부인 지혜 역에 김여진이 나온다. 채민서는 채식으로 깡마른 몸을 연기하기 위해 8kg을 뺐으며 현성은 민호 역을 위해 반대로 10kg을 늘렸다고 한다.

1부 ‘채식주의자’에서는 영혜가 갑자기 채식주의자가 된 이야기를 알듯 모를듯하게 보여준다. 책에서는 기르던 개가 영혜를 물어 아버지가 그 개를 오토바이에 매달고 달려 탈진해 죽게 하고 식구들이 모두 모여 그 고기를 먹는다는 얘기가 나온다. 책을 읽지 않으면 이 부분은 스쳐지나가기 쉽다. 영화에서는 대화에서 지나가는 말로 개를 죽였고 아무 거부감 없이 육개장 먹듯이 그 개고기를 먹는 것으로 처리했기 때문이다. 책과 영화는 이런 차이가 여러 군데에서 나온다. 그래서 반드시 책도 읽어야 이해가 되는 것이다. 1부에서는 고기를 거부하는 영혜에게 아버지가 강제로 고기를 먹이려다가 안 되니까 뺨을 내리치는 장면이 충격적이다.

이 영화는 한 달 만에 3억5000만 원 정도의 저 비용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세트를 만들자니 돈이 많이 들어 20차례의 로케이션 촬영으로 끝냈다고 한다. 임우성 감독은 영화를 처음 만든 감독이라 유명세도 없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선댄스영화제 월드시네마드라마 경쟁작에 초대받은 수작이 되었다.

3부작 중 가장 이색적인 것은 단연 2부 ‘몽고반점’이다. ‘몽고반점’은 2005년 이상문학상으로 뽑히기도 했다. 예술과 외설이 뒤섞인 기이하고 흥미진진한 내용이다. 채식주의 때문에 이혼 당한 처제와 비디오 예술작가 형부와의 작업 내용이다. 처제의 나신에 꽃 그림을 그리고 다른 남자를 등장시키지만, 결국 자신도 몸에 꽃그림을 그리고 처제와 뜨거운 정사를 나눈다. 그렇지 않아도 위험한 관계인 처제와 형부의 관계, 그리고 처제를 벗기고 그 몸에 붓으로 꽃 그림을 그리는 애무 같은 과정, 자신도 나신에 꽃 그림을 그리고 처제와 결합하는 과정은 관능적이다. 맨부커상 수상작이 아니라면 음란영화나 음란 소설로 읽일 수도 있다. 형부가 하는 작업은 그림이 아니고 비디오이기 때문에 보는 사람은 비디오 속의 주인공인 누구인줄 알아 볼 수 있다. 아무리 예술이라지만 이런 모험이 가능할까 싶다.

3부 ‘나무 불꽃’은 마무리이다. 거식증과 정신 분열증이 겹친 영혜는 결국 죽어간다. 죽는 장면은 없지만, 강제로 코를 통해 음식을 주입시키는 것도 거부하니 살 방법이 없다. 그는 왜 채식주의자가 되었을까는 이해하기 어렵다. 꿈 때문이라고는 하나 꿈은 꿈일 뿐인데 현실에서 그대로 하고 있으니 병이다. 물구나무를 서고 있으면 나무가 뿌리를 땅에 내리듯이 되고 다리를 벌리면 가지가 벌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란다. 꿈에 나타난 얼굴은 매번 누군지 모르지만 다른 얼굴로 나타나는데 자신의 내장이란다. 어릴 때 자신을 물었던 개를 죽여 그 고기를 먹은 것이 영향을 줬는지도 모른다. 어린 시절부터 부인를 폭행하던 거친 아버지 때문인지도 모른다. 어쨌든 난해한 부분이다. 문화영화는 이렇듯 애매하지만, 여운이 길게 남는다.

‘채식주의자’라는 작품이 한국인 최초의 맨부커상을 타게 된 것은 대단한 일이다. 한글로 된 소설을 영어로 번역한 작가의 역량도 대단하다. 필자가 보기에도 어려운 한국적인 분위기와 용어들을 어떻게 해석했을까 궁금하다. 특히 2부 ‘몽고반점’은 저자가 여자인데도 남자가 쓴 것으로 했는데 남자의 성 심리를 세밀하게 표현한 부분이 놀라웠다. 저자는 1970년생이니 앞으로도 더욱 기대되는 작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