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금강산에서 길을 찾다 '소정 변관식 전'

기사입력 2016-05-24 18:06

▲성북미술관에서 열리는 '소정 변관식 전' 모습.
▲성북미술관에서 열리는 '소정 변관식 전' 모습.
“금강산 찾아가자 일만 이천 봉~” 어릴 적 이 노래를 부르면서 궁금한 점이 많았다. ‘정말 산봉우리가 1만 2천 개나 될까? 산이 대체 얼마나 큰 거야? 그 정도면 산맥이라고 해야 되지 않을까?’ ‘그 많은 봉우리는 누가 센 걸까?’ 등이다. 연전에 어느 신문 칼럼에서는 1만 2천 봉은 봉우리 수가 아니고 금강산 속 절들의 부처님 숫자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게다가 ‘볼수록 아름답고 신기한 산’이란다. 물론 노랫말이라 미화시켰겠지만, 여간 궁금한 게 아니다. 가 볼 수 없으니 더 답답하다. 마음속 깊은 곳에 묻어 둔 이런 생각을 다시 끄집어낸 것은 금강산의 화가 ‘소정 변관식의 40주기 전’이다. 그림으로나마 의문을 풀고 대리만족이라도 해볼 양으로 성북미술관에 들렀다.

성북미술관은 해마다 이름난 화가의 기획전뿐만 아니라 예술 영화 상영도 해서 자주 찾는 곳이다. 위치도 성북동 언덕배기라 조용하고 새소리도 들리니 퍽 평화롭다. 그러나 더 큰 즐거움은 끝난 후에도 있다. 출출한 배에 얼굴 크기만 한 옛날 왕돈까스냐 감칠맛 넘치는 돼지 불고기냐 하는 이 지역 명물을 고르는 것도 성북동을 찾는 적지 아니한 이유이다.

익히 알려져 있듯이 변관식의 산수화는 적묵법(옅은 색 먹부터 짙은 색 먹으로 그 위에 먹을 쌓아가는 방법)과 파선법(진한 먹을 튀기듯 찍어 선을 파괴하는 방법)을 사용해 금강산의 깊은 산중과 그 기백을 힘차게 드러냈다. 작가의 대표작 <외금강 삼선암 추색>을 보면 한가운데 힘차게 솟은 봉우리가 하늘을 향해 쭉 뻗은 기상이 그의 기법과 잘 어우러진 걸작이다.

그의 산수화 중 재미있는 것은 대부분 하늘 향해 쭉쭉 뻗은 산세 사이에는 쬐끄만 집이 한두 채 있고 사람들도 간간이 있다는 점이다. 사람 중에는 지팡이를 45도쯤 뻗쳐 들고 도포 자락 휘날리며 어딘가를 바삐 가는 선비도 있다. 평민들의 모내기, 아낙의 새참 나르는 모습 등 그 시대의 풍속도 담겨 있다. 계곡 물은 산세에 비해 마냥 부드럽게 흐른다.

하지만 후딱 보아서는 알 수 없고 숨은 그림 찾듯 유심히 들여다보아야만 보인다. 여기서 작가의 마음이 보인다. 일제강점기 암울한 시절 묵묵히 금강산을 그리며 세월을 낚는 모습이다. 그의 사진 속 굳게 다문 입은 그 시절 독립운동가의 모습을 닮았다. 그 강인한 정신 속에 부드러움과 해학은 쬐끄맣게 그림 속에 숨어 있다. 그의 말대로 ‘욕심 없이 지묵에 싸여 살아온 나의 지난날’이 그림에 녹아 있다.

문득 아버지 경순왕이 나라를 들어 고려 왕건에게 바치자 모든 것을 버리고 금강산에 숨어든 마의태자가 떠오른다. 그의 뜻이 어떻건 간에 금강산은 한 나라와 바꿀만한 폭과 깊이를 지닌 명산임에 틀림없다. 어쩌면 한평생을 금강산에 바친 화가의 마음도 그렇지 않았을까. ‘고희가 지나 7년이 지났는데도 그림에 대한 정열이 더욱 강렬해진다.’라는 작가의 고백은 그런 의미에서 금강산에 바치는 헌사일 것이다.

금강산의 한 귀퉁이나마 그림으로 보니 그 속살을 살짝 엿본 듯 갈증이 조금은 풀린다. 옛 그림과 먹의 정취도 좋지만, 숨은그림찾기도 참 재미있었다. 그러나 일만 이천 봉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풀리지 않았다. 봉우리를 세다가 어느덧 숫자를 잃어버렸다. 그렇다. 그것은 꿈의 숫자다. 봉우리 세기는 다음번 전시에서 다시 도전해 보기로 하고 미술관 문을 나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