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기부는 주고 받음이다 Part 3] GIVE만이 기부가 아닌 시대

기사입력 2015-12-22 10:30

선행하고 보상받는 ‘기부 & 테이크(Take)’시대 왔다

아무 조건 없이 주는 것이 기부라지만, 주는 것이 있는데 받는 것까지 있다면 훨씬 더 좋은 법이다. 이제는 기부도 그렇게 변하고 있다.


100점 만점에 35점. 전 세계 145개 조사 대상국 중 64위.

11월 영국 자선지원재단(CAF)이 발표한 ‘세계 기부 지수 2015’에 드러난 대한민국의 기부활동 성적표다. 기부 액수가 아닌 기부활동에 중점을 둔 이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기부에 참여했다’는 응답 비율이 15만 명 중 34%인 것으로 조사됐다. 빼어난 성적표라고 할 수는 없지만, 의미가 없는 것도 아니다. 2010년 동일한 조사에서 ‘기부에 참여했다’는 응답 비율이 27%로, 153개국 중 81위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7%포인트 오른 수치이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꾸준히 기부활동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려준다.

미국과 영국 같은 선진국에서 기부는 소외된 사람을 위해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자연스러운 문화로 자리 잡았다. 아직 우리나라의 움직임은 그에 비해 미미하다고 할 수 있지만, 기부활동에 대한 욕구가 조금씩 사회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

매스 미디어와 통신의 발달은 기부의 문화도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다. 과거에는 ‘돈이 있는 사람이 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했던 기부가 이제는 통신의 발달과 함께 일상생활로 침투하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기부는 ‘특별함’이 아닌 ‘일상 또는 습관’으로 다가오고 있다.

과거에 누군가가 좋은 마음으로 기부를 하더라도 ‘이미지 관리를 위해’, ‘미래의 비즈니스를 위해’라는 시선으로 기부를 인식했던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남’이 아닌 ‘내’가, ‘돈’이 아닌 ‘실천’으로 손쉽게 기부를 하고 있다. 2015년, 기부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2015 네팔 지진피해 긴급지원, 마을 및 학교 지원 모습(아름다운가게 제공)
▲2015 네팔 지진피해 긴급지원, 마을 및 학교 지원 모습(아름다운가게 제공)


‘기부&테이크(Take)’로 진화하는 기부 문화

기부 문화에도 새로운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기부의 형태와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 스마트한 시대답게 소셜 기부와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을 이용한 기부가 늘고 있다. 또한 기부를 한 만큼 원하는 물품을 받을 수 있는 이른바 ‘기부&테이크(Take)’ 형태의 기부가 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기부자의 경제적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가 지난해 10월 제14회 기부문화심포지엄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사람들이 기부를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나의 경제적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몰라서(36.4%·2013년 기준)’였다. 또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연구센터가 올해 발표한 <기부 및 사회 이슈 트렌드 분석>도 이를 뒷받침한다. 자료에 따르면 한국 사회의 개인 기부 참여는 전반적으로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경제 여파로 인해 여전히 높지 않은 수준이며, 심지어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소셜 기부는 경제적인 부담이 덜하고, 참여하기 쉬운 형태의 기부 문화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셜 기부는 SNS상에서 댓글을 달거나 공유를 하면 기부에 참여하게 되는 간단한 방식부터, 특별한 플랫폼이나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등을 이용하는 방식까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소셜 기부는 다양한 캠페인을 홍보하는 데 용이하고, 1원부터 100원까지 소액으로 시작할 수 있어 적은 돈으로도 기부를 실천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는 데 한몫했다.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기부는 대부분 어떠한 물품을 구매했을 때, 그 수익의 일부를 기부하는 형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구매자인 동시에 기부자가 되는 셈. 기부에 대한 합당한 보상품을 받고 선행도 할 수 있는 1석 2조의 효과를 누리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비프렌드, 마리몬드 등이 이러한 방식으로 온정을 전하고 있다.

앱을 이용한 방식도 있다. 앱만 설치하고 실행만 해도, 기부자는 자신의 돈을 전혀 쓰지 않고 기부에 참여할 수 있다. ‘빅워크’라는 앱은 자신이 걸어 다닌 만큼 기부가 된다. 앱을 설치하면 GPS를 이용해 사용자의 걸음 거리 10미터당 1원이 기부된다.

이런 소셜 기부와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기부가 사랑을 받는 것은 경제적인 부담이 덜하다는 이유뿐만이 아니다. 기부금이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상황에 놓인 수혜자에게 돌아가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이러한 방식의 기부가 증가하고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2014년 위키트리 설문조사 결과, ‘기부를 했을 때 자신이 낸 기부금의 사용 경로와 과정을 알고 싶다’고 말한 응답자는 68%에 달했다.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의 기부는 후원단체에 기부를 하면 그뿐, 기부를 한 금액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몰라 기부에 대한 보람을 느끼기 힘들었다. 그러나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 기부금이 쓰이는 ‘마리몬드’와 하반신 장애 아동을 위해 기부를 하는 ‘빅워크’와 같은 방식은 그 쓰임이 분명해 기부자로 하여금 그 결과물에 대한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미국의 크라우드 펀딩은 2008년부터 시작돼 공익적 모금에 성공하고 있는데, 필요한 자금을 모아주는 대신 3~5%의 수수료를 받는다. 이후에도 세계적으로 200여 개 소셜 펀딩 업체가 나타나 성공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디고고’와 ‘킥 스타터’가 있다. ‘인디고고’는 2008년 세워진 회사로 전 세계 누구나 모든 분야에 대해 제안을 할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2만7000여 개의 프로젝트를 성사시킨 바 있다. 2009년 설립된 킥스타터는 7만5000달러의 모금을 해 많은 이들의 꿈을 이뤄주기도 했다. 이들은 매년 모금액이 4배 이상 성장하며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심영훈 서울시복지재단 자원개발팀장은 “한국의 집단주의 문화와 결합한 소셜 기부가 발전의 궤적을 그려 나간다면 새로운 기부문화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라며 “쌍방향 소통과 실시간 정보 공유 등 소셜 미디어의 특징과 한국 네티즌들의 적극성, 보상을 통한 참여유도 측면 등을 고려할 때, 소셜 기부는 향후 우리 사회의 새로운 기부 문화 트렌드로 주목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해비타트 자원봉사자들이 희망의 집짓기 충남 천안 현장에서 가벽을 2층으로 올리고 있다.(한국해비타트 제공)
▲한국해비타트 자원봉사자들이 희망의 집짓기 충남 천안 현장에서 가벽을 2층으로 올리고 있다.(한국해비타트 제공)


기부 문화 변화의 중심에 신중년 있다

경제적으로 여유롭고, 문화적 욕구가 충만한 신중년들이 기부 문화의 중심에 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연구센터가 올해 발표한 <기부 및 사회 이슈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2011년에 비해 2013년에 전반적으로 기부 참여 비율이 감소했지만, 유일하게 60세 이상의 참여율이 24%에서 25.4%로 약 1.4%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부나 봉사의 현장에 신중년들의 발길이 늘고 있는 것을 실감하는 곳이 있다. 사람들의 기증품을 팔아 수익의 일부를 기부하는 ‘아름다운가게’다. ‘아름다운가게’의 전승희 간사는 “시간기부나 재능기부의 형태로 자원 활동을 하시는 신중년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분들은 장기적이고 정기적으로 참여와 기부를 한다”고 말했다. 신중년의 기부 참여가 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전 간사는 “사회 참여에 대한 순수한 욕구가 있고, 기증·기부 문화 등의 공익 문화와 가치를 전파하는 데 자부심을 느끼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아름다운가게의 정기 활동자 중 45%가 40~60대 이상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 젊은 층에 비해 삶의 변동이 적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신중년이 기부 문화 선도에 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선 셈이다. 전 간사는 “신중년층은 재능기부나 참여의 형태로 지역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지역 커뮤니티 발전에 대한 의견을 참여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학연·지연·혈연은 그만! 요즘 중년의 관계 맺기 트렌드
  • 중장년의 '어른 공부'를 위한 공부방, 감이당을 찾다
  • 중년 들어 자꾸만 누군가 밉다면, “자신을 미워하는 겁니다!”
  • “은퇴 후 당당하게” 명함 없어도 자연스러운 자기소개법은?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