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켜줘서 고맙습니다. 당신들을 잊지 않겠습니다.”
2002년 6월 29일 월드컵 3,4위의 열기로 뜨거웠던 그날, 나라를 지키기 위해
청춘을 바친 이들이 있다. 바로 ‘제2연평해전’에서 대한민국을 지켜낸 참수리 357호 27명의 용사들이다. 그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고마움을 표하고자 한 영화 <연평해전>의 김학순 감독, 진심과 열정을 담아 진한 감동을 선사한 그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글 이지혜 기자 jyelee@etoday.co.kr
Q.연평해전 당시, 무엇을 하고 계셨나요?
광화문에서 월드컵 응원하는 사람들을 카메라에 담고 있었어요. 그날 그 일이 일어났는지 잘 몰랐어요. 세상은 온통 월드컵 분위기였으니까요. 방송에서 ‘제2연평해전’에 대해 잠깐 언급이 있었던 것 같은데 반복적으로 이어지진 않더군요. 언론에서 크게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월드컵 축제에 비해 조용히 지나간 것 같습니다.
Q.이 사건을 영화로 다루고자 마음먹은 때는 언제인가요?
‘제2연평해전’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된 것은 2008년쯤이었는데 지인과의 대화 중 ‘제2연평해전’이 언급됐고, 그것에 대해 더 찾아보게 되면서 당시의 상황과 생존 대원들, 그리고 유가족의 이야기를 접했습니다. 가장 슬펐던 것은 자식과 남편을 잃은 유가족들의 아픔이었어요. 그것은 남북이 분단된 이 땅에서 벌어진 현실이고, 그들은 우리와 다를 바 없는 보통 이웃이었습니다.
Q.이렇게 오랜 기간(7년)에 걸쳐 제작하게 될 것을 예상하셨나요?
이렇게 오래 걸릴 줄은 꿈에도 생각 못 했지만, 쉽게 제작할 수 있으리라는 것 역시 예상하지 않았어요. 제 힘으로는 극복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았죠. 영화제작비 마련, 군의 도움 등 갈 길이 멀었던 것입니다. 그렇지만 하나씩 해결해나가기로 했어요.
대한민국 크라우드 펀딩 사상 최고 금액이 모였습니다. 사건을 모르는 어린 학생들까지 후원했다고 하던데요.
어린 학생들이 무슨 마음으로 이 영화에 후원을 하겠다고 했을까 곰곰이 생각해봤어요. 그들은 자기가 태어난 땅, 자신이 속한 사회를 결코 외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됐죠. 그리고 그들의 마음속에는 아직 우리가 남북으로 나뉘어 있다는 사실과 나라를 지키겠다는 마음, 나라를 위해 희생된 사람들에 대한 존경심과 고마움, 그러한 것들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Q.그런 아이들에게 우리 중장년들이 전해줄 수 있는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글로벌 시대이기 때문에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불의와 정의, 전쟁과 평화, 헐벗음과 부유함 등에 대한 소식들을 어린 학생들이 과거의 기성세대보다 훨씬 많이 그리고 자주 접할 수 있어요. 그러나 그러한 학생들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죠. 다른 한쪽에서는 아직도 반목과 대립, 몰이해 등 우리 사회에 만연한 의심과 부정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사는 이 땅의 소중함과 그것을 지키고자 하는 열망, 그것을 지키다가 희생된 사람들에 대한 미안함과 고마움을 잘 간직하는 것입니다. 즉, 그 희생이 헛되지 않게 하려면 살아남은 이들이 그들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겠죠. 이를 통해 자라나는 아이들은 굳이 애국이라는 말을 거론하지 않아도 마음속에 자연스럽게 이 땅의 소중함을 알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싹트게 되는 것입니다.
Q.리얼리티에 가장 공을 들였다고 하셨는데, 어떤 노력이 숨어 있을까요?
리얼리티를 살린다는 것은 현장감 있는 장면을 만들어 낸다는 뜻입니다. 현장감은 겉으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총을 쏘고 뛰어다니고 폭탄이 터지는 것은 보이는 현장감입니다. 전쟁의 공포와 두려움을 표현해내는 것은 보이지 않는 내면입니다. 그것이 장면에 담겨야 진정한 현장감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사실 통속적인 전투 장면은 마치 <람보>처럼 겉으로 드러난 현장감입니다. 그러나 현대의 여러 전투영화를 보면 그 당시 군인들의 두려움과 고민이 많이 보입니다. 그들은 ‘람보’가 아니라 인간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죠. 즉, 파편을 맞고 쓰러질 때의 감정을 표현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다른 영화에서 그렇게 하더라가 아니라 그 배우 자신이 정말 그 상황에서 파편을 맞았다고 가정했을 때 느끼는 감정과 행동을 요구했던 것이죠.
Q.연평해전, 천안함 사건, 세월호 사건 등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사건들이 있죠. 영화인으로서의 사명감, 소명의식 등은 어떻게 발현될 수 있을까요?
글을 쓰는 사람은 글로 표현하고, 정치인은 사건을 잘 수습하고 더 나은 국가와 사회를 만들려고 애를 쓰죠. 영화인이 가장 잘할 수 있는 것은 영화를 통해 표현해내는 것입니다. 즉, 그 역사적 현실을 피부로 느끼고 사회에 무언가를 기여하기 위해 그들이 가진 재능을 영화적 표현에 투입하는 것입니다.
<연평해전>을 통해 발전적이고, 긍정적인 사회를 위해 내가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생각해 봤어요.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닌 진정한 나라 사랑을 어떻게 영화로 표현해야 할까? 어떻게 해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할 수 있을까? 끊임없이 생각했던 것 같아요. 거기엔 용기도 필요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얘기를 하면 ‘구태의연하다’, ‘이념적이다’라고 오해하거나 딱딱한 이야기들을 꺼내기 십상이거든요. 그러나 제가 믿고 있는 힘은 기본과 원칙에 충실하자, 근본을 잊지 말자, 그리고 모든 생각과 판단의 근거는 상식과 보편성에 의거하자입니다. 거기엔 이념도 편견도 개입해선 안 된다는 전제가 있습니다.
<연평해전>에서도 이러한 찬반과 호불호는 나타날 수 있지만,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말해야 하는 것이 무엇일까 고민했어요. 그것은 ‘정치도 이념도 아닌 바로 인간의 이야기를 하자’였죠. 남북이 갈라진 현실에서 인간이기 때문에 슬퍼할 수밖에 없고 인간이기 때문에 공감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해보자 한 것이 영화 <연평해전>입니다.
<영화 정보>
영화 '연평해전' 장르 휴먼 감동 실화 감독 김학순 주연 김무열, 진구, 이현우 개봉 2015년 6월 11일 제작 ㈜로제타 시네마 배급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