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노년의 디딤돌, 공공 노후 돌봄 플랫폼

“노후는 개인, 혼자의 몫이 아닙니다.”
2024년부터 전국 모든 지자체에 설치·운영이 의무화된 노후준비지원센터(이하 노후지원센터)는 고령화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돌봄 패러다임을 반영한 결과다. 급증하는 독거노인, 약화된 가족 돌봄, 끊어지는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노인의 삶은 점점 더 외롭고 취약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노후지원센터는 국가와 지역사회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공 노후 돌봄 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적 돌봄의 필요성, 제도 의무화로 이어져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한국은 향후 10년 이내에 85세 이상 고령자와 독거노인 수가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변화는 기존 복지정책 이상의 선제적 대응을 요구한다. 단순히 장기 요양 등 고비용 돌봄 서비스에 의존하기보다 건강하고 자립적인 노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예방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정부는 2021년 ‘노후준비지원법’을 개정하고, 3년 뒤인 2024년 전국 광역·기초지자체가 각각 ‘광역·지역 노후준비지원센터’를 지정·운영하도록 의무화했다. 이는 노후 준비를 개인의 선택이나 책임에만 맡기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국가와 지방정부가 함께 개입해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현재 국민연금공단 본부에는 중앙노후준비지원센터가 설치돼 있으며, 전국 112개 지사와 9개 지자체가 지역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자체 맞춤형 노후지원센터 운영
현재 9개의 지자체와 국민연금공단 40개 거점 지사가 노후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과 협력해 전문 상담사 양성, 표준 진단 도구 보급, 서비스 질 관리 등 통합 체계를 마련했다.
서울 성동구는 서울시 최초로 ‘성동지역 노후준비지원센터’로 지정받아, 지역 기반의 특화된 노후 지원 모델을 구축했다. 성동50플러스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이 센터는 ‘노후 준비 진단 집단상담’, ‘노후 준비 아카데미’, ‘선배시민 아카데미’, ‘평생월급 아카데미’ 등 중장년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준비를 지원한다. 특히 재무 상담은 국민연금공단 노후준비서비스팀과 협력해 2회 이상 1:1 개인별 상담을 제공하며, 일자리 연계와 활동 정보 제공까지 확장된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지역 법무법인, 민간기업, 복지기관과 협력해 법률·건강·일자리 등 다섯 가지 노후 준비 영역(재무, 건강, 여가, 대인관계, 일)에 대한 통합적 상담·교육도 제공한다. 2024년 1월에는 ‘노후 준비 정보 한마당’을 열어 중장년층 3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민간 11개 기업과 연계해 실제 일자리 탐색 기회를 마련하는 등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건강하고 빵빵한 영역별 노후 준비’ 특강 시리즈같이 지역 내 수요를 반영한 교육을 진행 중이며, 향후 외부 전문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진단·상담·사후관리 체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러한 사례는 각 지역이 고유의 특성과 주민 수요를 반영해 노후지원센터를 ‘지역 맞춤형 통합 서비스 거점’으로 발전시켜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지역 간 서비스 편차 해소, 고령층 대상 서비스 접근성 제고, 디지털 격차 완화 등은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이다. 특히 단순한 홍보나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노후 준비 생태계’로 정착할 수 있는 운영 모델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