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1971년생 중장년층, 달라진 소비 성향

초고령사회를 맞이한 가운데, GG(Grand Generation)가 소비시장의 블루오션으로 떠올랐다. GG란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은퇴 후에도 왕성한 경제, 사회, 여가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1950년부터 1971년(55~74세)까지의 시니어를 의미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발간한 ‘GG 마켓 공략 보고서’에 따르면 “시니어 시장의 양끝은 부유층과 경제력이 낮은 층으로 양극화 되어 있으나, 보통의 시니어는 새로운 가치관, 생활 방식을 가졌다”고 강조하면서 시장 선점을 위한 7가지 공략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GG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특징은 스스로를 시니어로 인지하지 않고 생물학적 신체나이보다 10년 이상 젊은 감성나이로 생활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GG를 대상으로 신제품 개발 및 마케팅을 할 때, 대상 고객군보다 연령을 낮춘 감성나이(Mind-aging)를 기준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GG는 젊게 보이기 위해 건강 관리와 외모 가꾸기에 아낌없이 투자한다. 콜라겐, 히알루론산 등 이너뷰티 시장은 2025년 2조 원 규모로 전망되고 있으며 건기식, 케어푸드, 메디푸드 등 개인 맞춤형 식단과 보조식품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은 GG가 외적·내적 아름다움을 관리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마케팅의 승부수로 보인다.
또한 GG는 MZ세대 못지않게 디지털 친숙도를 보이는가 하면, 가치 소비를 하는 경향을 보인다.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돈보다 시간이 더 중요해지는 시기가 찾아오면 상대적 가치를 주는 상품과 서비스 중심의 상향 소비를 추구하게 된다”며 “GG는 자신을 위한 과시적, 투자적 소비 성향을 보이기도 하고, 여행과 새로운 경험 추구에 대한 의지도 강하다”고 밝혔다. 특히 은퇴를 앞둔 프리시니어들은 자동차, 프리미엄 가전, 명품 등 고가 내구재 소비에 과감해 백화점의 이미 중요한 고객이다.
또한 GG는 돌봄에 의존하지 않고 ‘내 노후는 내가 책임진다(self-aging)’는 가치관이 정립돼 있다. 이에 개인 맞춤형 케어식단 구독 서비스, 가사 및 쇼핑 대행 등 서비스 산업 확대 및 학습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더불어 GG는 가족 이외에도 친구, 이웃과의 관계 등을 통해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며, 사회적 나이 듦(social-aging)에 대한 욕구가 크다.
노은정 동국대 교수는 “특히 기대수명의 증가로 20~30년 이상 혼자 오래 사는 1인 가구의 패턴이 일반화되면 소비 방식과 삶의 패턴이 완전히 달라질 수밖에 없다”며 “시니어 마켓이 향후 큰 소비 집단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MZ세대 일변도의 고객군 수정이 요구되며, GG의 바람직한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를 선도해 제시하는 기업이 시장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근무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그동안 기업들이 고령 소비자를 오로지 돌봄의 대상이라는 큰 묶음으로 묶어 하나로 인식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소득이나 니즈가 다양한 마이크로 시장임을 인식하고, 연령별, 생애주기별, 라이프 스타일별로 세분화하고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