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 2년 연속 악화… 10명 중 4명 빈곤층

기사입력 2025-02-10 08:09

남성보다 여성, 고연령일수록 빈곤율 커

(어도비 스톡)
(어도비 스톡)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2년 연속 악화됐다. 2023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4명은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38.2%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다.

그간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2019년 41.4%, 2020년 38.9%, 2021년 37.6%로 꾸준히 감소하다가 2022년 38.1%, 2023년 38.2%로 다시 높아지고 있다. 2년 연속 상승세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인구 중 전국 가구의 균등화 중위소득 50% 이하인 인구의 비율을 뜻한다. 2023년 빈곤선은 중위소득 3757만 원의 절반인 약 1879만 원이다. 즉,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4명은 연간 기준 1879만 원 이하로 생활한다는 의미다.

노인 빈곤율은 전체 빈곤율보다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전체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14.9%로 노인 빈곤율보다 낮았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 31.8%, 여성 43.2%로 여성 노인의 생활 형편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층으로 갈수록 빈곤율은 높아졌다. 66~75세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이지만, 76세 이상은 52.0%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다. 이는 고령층으로 갈 수록 연금 등 노후 대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다. OECD의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전기’처럼 일상에 녹아들 금융AI,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
  • 아직 늦지 않은 60대 노후준비 “연금 다층화와 현금흐름 핵심”
  • “50대, 은퇴 준비 마지막 골든타임” 은퇴 전후 50·60 재테크 전략
  • 은퇴 전 40·50의 노후 자산 마련, 미래 준비 해법은?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