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辛 아닌 新’ 떡볶이① 근본 있는 음식이었네

기사입력 2021-07-28 18:12

▲떡볶이는 예나 지금이나 사랑받는 음식이다.
▲떡볶이는 예나 지금이나 사랑받는 음식이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라는 책이 있을 만큼 떡볶이는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음식이다. 궁중의 격식 있는 명절요리에서 서민의 음식이 되기까지 이 변화의 뼈대에는 서민의 삶과 문화가 함께했다. 대한민국과 더불어 산전수전을 겪으며 변화하고, 더 나아가 세계에서 사랑을 받는 K떡볶이. 떡볶이의 역사와 함께한 시니어들의 추억을 따라 K떡볶이의 모든 것을 살펴본다.

“너 떡볶이 또 주문했어? 요즘 떡볶이는 채소도 하나 없고, 왜 이렇게 비싸기만 해?”

60대 A 씨는 딸이 시킨 떡볶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육수 맛을 풍부하게 돕는 채소도 없고, 식감을 살리는 각종 사리도 몇천 원씩 돈을 내고 추가해야 한다. 자극적인 매운맛에 영양가는 없어 보인다. 그런데 30대 딸에 따르면 요즘 사람들이 이런 떡볶이를 많으면 일주일에 두세 번씩 먹는다고 하니 신기하기만 하다.

떡볶이는 원래 빨갛지 않았다

60대 A 씨는 옛날과 많이 다른 ‘요즘 떡볶이’를 보며 그 시절을 회상한다. A 씨 기억에 뚜렷하게 남아있는 떡볶이는 신당동에서 먹었던 고추장 떡볶이다. 가스버너에 얹힌 프라이팬, 동그랗게 올라오는 육수 거품, 다양한 야채들, 빨간 양념.

그런데 떡볶이의 과거를 조선 시대까지 거슬러가면, A 씨 기억과도 차이가 크게 나는 떡볶이를 만날 수 있다. 원래 떡볶이는 붉은색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떡볶이에 대한 최초 기록은 ‘시의전서’로 남아 있는데, 궁중에서 흰떡과 등심살, 참기름, 간장, 파, 석이버섯, 잣, 깨소금 등을 재료로 사용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떡볶이에는 평민들이 구하기 어려운 비싼 식자재들이 사용됐으며, 간장으로 간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덧붙여 당시에는 떡볶이라는 이름 대신 떡찜, 떡잡채, 떡전골 등으로 불렀다.

즉 과거 떡볶이는 가래떡을 기본으로 갖가지 비싼 재료를 넣고 간장으로 볶았다. 오늘날 우리는 이를 ‘궁중 떡볶이’라고 부른다. 궁중 떡볶이는 잡채를 만드는 방식과도 비슷해 잡채에서 떡볶이가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고추장 떡볶이의 살아있는 역사, 마복림 떡볶이

명확한 유래를 알기는 어려우나 매콤한 고추장 떡볶이는 6·25 휴전 직후 1953년 마복림 할머니 손에서 탄생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전쟁 피난살이에 먹고살기 힘들던 시절, 마복림 할머니는 집안의 귀한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당시 개업한 한 중국 음식점을 찾았다. 맛있게 먹는 식구들을 보던 할머니는 음식을 앞에 두고도 중국 요리에 손을 대지 못했다. 대신 가장 만만해 보이는 개업식 떡을 먹다가 실수로 짜장면 그릇에 떡을 빠뜨린다.

춘장이 묻은 떡은 생각보다 맛이 좋았다. 마복림 할머니는 비싼 춘장 대신 고추장을 이용해 '고추장 떡볶이'를 개발했다. 이날의 실수가 ‘국민 간식’ 고추장 떡볶이를 만들어 낸 셈이다.

처음에는 연탄불에다 큼직한 떡을 고추장에 범벅을 해서 한 개씩 팔았다. 어느 날 한 여학생이 라면을 가져와 끓여 먹는 걸 보고 라면도 넣었다. 그리고 가스가 들어오면서 지금과 같이 떡과 채소, 각종 사리를 넣고 뽀글뽀글 끓이는 신당동 즉석 떡볶이로 변신했다.

▲신당동 떡볶이 골목이 지금처럼 골목을 이루게 된 건 1970년대 후반부터다.(한국관광공사)
▲신당동 떡볶이 골목이 지금처럼 골목을 이루게 된 건 1970년대 후반부터다.(한국관광공사)

그 시절 청춘들의 무대, 신당동 떡볶이 골목

마복림 할머니 가게를 선두로 신당동에 떡볶이집이 늘어나면서 본격적으로 떡볶이 골목이 조성됐다. 중구청 자료집에 따르면 이 시기 신당동 골목에는 떡볶이집이 40여 개 있었다. 학생들은 허름한 골목 안 누추한 가게에 빼곡히 들어차 떡볶이를 즐겼다.

신당동 떡볶이 골목이 유명해진 것은 MBC ‘임국희의 여성 살롱’이란 프로그램에 소개된 뒤부터다. 1970년대 중반 떡볶이집 한 곳이 뮤직박스를 설치하고 DJ를 고용해 인기를 끌면서 신청곡을 받아 음악을 들려주는 DJ 문화까지 상륙한다. 당시 DJ는 어린 소녀들에게 아이돌과 같은 우상이었고, 심지어 라디오에 소개되기도 했다.

더불어 정부에서는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가루 장려 운동'을 펼친다. 이때부터 밀가루를 사용한 떡볶이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밀가루로 만든 떡볶이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했다.

연예인 못지않은 DJ가 음악을 틀어주던 문화공간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즐길 수 있었던 떡볶이. 젊은 학생들의 호응을 크게 받으며 국민 간식으로 거듭났다. 70·80년대 학창 시절을 보낸 이들에게 떡볶이는 돌이키고픈 청춘의 한 페이지다.

▲신당동 떡볶이는 수십년 세월이 흐르면서 심심풀이 간식이 아닌 한 끼 식사로 충분한 하나의 요리로 자리잡았다.(한국관광공사)
▲신당동 떡볶이는 수십년 세월이 흐르면서 심심풀이 간식이 아닌 한 끼 식사로 충분한 하나의 요리로 자리잡았다.(한국관광공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 2025년 초고령사회, 新노년층 등장… “73세까지 근로 원해”
  • “돌봄 골든타임 앞으로 5년” 천만 노인, 어떻게 감당할까?
  • [2025 노후 트렌드⑤] 노후 소득이 달렸다, ‘연금빌리티’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