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가 만난 사람들]
1990년대 농구대잔치는 한국 농구의 최전성기였다. 당시 뛰어난 실력과 준수한 외모로 유명했던 이상민, 문경은, 서장훈 등은 ‘오빠부대’로 불리는 팬덤을 구축했다. 이들이 소속된 연세대를 농구대잔치의 전설로 만든 이가 바로 감독 최희암(67)이다. 명감독으로 이름을 떨치던 그는 2009년 인천 전자랜드 감독을 끝으로 코트를 떠났다. 이후 경영인으로 변신하여 현재 고려용접봉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그를 만나 농구인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영인으로서의 변신에 관해 얘기를 나눴다.
농구대잔치 흥행의 중심에는 연세대가 있었다. 최희암 감독은 17년간 연세대 감독으로 팀을 이끌며 대학팀 최초로 우승컵을 거머쥐는 기록을 세웠으며, 세 차례의 우승을 통해 감독으로서의 실력을 증명했다. KBL 출범 이후 프로팀과 대학팀을 오가며 감독 생활을 이어오다 2009년 돌연 은퇴하고 경영인으로 변신했다.
“2009년 당시 전자랜드와의 재계약이 불발되면서 은퇴 이후의 삶을 고민했어요. 농구 코트를 떠나기로 했지만, 아쉬움이 컸죠. 그래서 대학에서 농구를 가르치거나 농구와 관련된 자문을 하려고 맘먹고 있던 시기였어요. 그때 고려용접봉으로부터 제의가 왔어요. 뜻밖의 제의라서 놀랐죠. 선배들과 아내와 상의했는데, 다들 ‘OK’ 사인을 주더군요. 아내는 감독과 같은 자영업자가 아니라 안정적으로 월급을 받는 정규직이 된다고 좋아했어요. 저도 인생 2막으로 다른 길을 가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았어요.”
그의 영입을 적극적으로 추천한 이가 바로 홍민철 고려용접봉 회장이었다.
“나중에 전해 듣기로는 홍민철 회장이 저의 열정적인 모습을 높이 평가하셨다고 해요. 전자랜드 감독 시절, 홍 회장과 그의 동생인 홍봉철 전자랜드 구단주와 함께 우연히 저녁 식사를 몇 번 같이한 적이 있어요. 당시 저는 숙소에서 출퇴근했기 때문에, 집에 안 가고 식사를 마친 후 숙소로 갔어요. 감독 할 때 출퇴근 시간이 아까워서 늘 숙소 생활을 했거든요. 그 시간을 아껴서 전술을 한 번 더 짜거나, 선수들 훈련을 1분이라도 더 시키고 싶었어요. 저도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이런 태도를 좋게 봐주신 것이 아닐까요?(웃음)”
반복과 숙달 그리고 다롄
오랫동안 한 분야에서 일하다 다른 분야로 전환한다는 것. 그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농구인이 아니라 경영인으로 첫걸음을 내딛는 순간 어떤 심정이었을까?
“농구인 출신은 적응력이 빨라요. 우리는 코트에서 점프도 하고, 뛰기도 하고, 구기 종목처럼 볼도 다루고, 필요하면 몸싸움도 해야 해요. 그래서 훈련할 때 다양하게 연습하고, 숙달될 때까지 반복하죠. 반복과 숙달이 몸에 뱄어요. 경영도 마찬가지예요. 업무를 파악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만, 일단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숙달되면 잘할 수 있다고 믿었어요. 현대건설 다닐 때도 6개월은 업무를 집에 가지고 가서 했는데, 이후에는 2시간이면 다 끝냈어요.(웃음) 어렵겠지만 ‘한번 해보자’ 이런 맘으로 시작했어요.”
경영인으로서의 첫 무대는 국내가 아니라 중국이었다. 고려용접봉에서 첫 부임지는 바로 중국 다롄이었다. 중국 다롄의 법인장으로 가게 된 것이다. 한국이 아닌 중국에서의 생활은 분명 쉽지 않았을 터.
“일단 젊을 때 회사 생활을 잠깐 해봤기 때문에 경영이 낯선 분야는 아니었어요. 다만 능력상 잘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이 있었죠. 게다가 해외라서 소통이 쉽지 않잖아요. 첨엔 걱정을 좀 했는데, 나중에 지나고 보니 결과적으로 오히려 다행이었어요. 경영도 처음이고 언어의 벽도 있었기 때문에 큰 흐름만 제시하고, 이외의 세세한 사항은 현지 직원들을 믿고 전적으로 맡겼죠. 만약 한국에서 일을 시작했다면, 발의 위치조차 하나하나 지시했던 농구 감독 때처럼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썼을 거예요. 경영자로서 나무가 아니라 숲을 보는 힘을 그때 많이 길렀어요.”
몇 줄의 이력으로 사람의 모든 것을 쉽게 판단할 수는 없지만, 무시할 수는 없는 법. 운동선수 출신이라는 경력은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비경영인 출신이 취임했을 때 내부의 반응이 궁금했다.
“일단 얼굴을 아니까 기본적으로 호의적이었어요. 내부 직원이나 외부에서 사람을 만날 때 쉽게 다가갈 수 있었어요. 농구가 좋은 대화거리가 됐죠. 중국에 있을 때는 경쟁회사 임직원 중에 저를 좋게 봐주셨던 분이 참고할 수 있는 경영 노하우 같은 것을 은연중에 공유해줬는데, 그런 걸 통해 많이 배웠어요. 배운 걸 회사에 적용하면 다들 ‘운동선수가 어떻게 그런 걸 생각하지?’ 하는 반응을 보이더군요. 또한 실수해도 많이 용인해줬어요. 운동을 오래 해서 잘 몰라서 그렇다고 하면서요. 또한 홍 회장을 포함한 임원진이 코치를 많이 해주셨어요.”
임시대행으로 시작한 17년
사실 그는 선수로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쟁쟁한 선수들 사이에서 살아남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20대 후반에 은퇴를 결심했던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은퇴 후 평범한 직장인으로 살기도 했다.
“농구 선수로서 아쉬움은 있었지만, 내 길이 아니라 판단하고 재빨리 다른 길로 나섰어요. 현대건설 다닐 때는 이라크로 파견근무도 나갔어요. 하지만 당시 이라크 현장이 워낙 위험해서, 한국으로 돌아와 안정적인 중학교 체육교사를 준비했어요. 그러다 우연히 정기 연고전을 앞두고 연세대 감독대행을 맡아달라고 하는 거예요. 사실 직장 다닐 때 방학마다 어시스턴트 코치로 후배들을 종종 가르치고 있었거든요. 그냥 잠깐만 맡아야지 했는데, 무려 17년이나 할 줄은 몰랐어요.(웃음)”
당시 연세대 선수들은 그를 ‘두 얼굴의 사나이’로 불렀다. 혹독한 훈련을 하기로 유명한데, 이와 달리 실전에서는 부드럽게 선수를 대했다.
“여자배구의 전설이라 불리는 이창호, 전호관 감독으로부터 감명을 받았어요. 훈련할 때는 선수들한테 엄청 혹독한데, 경기장에서는 아무 말씀도 안 하셨대요. 경기장에서 선수들한테 고래고래 소리 지르는 감독은 평소에 훈련을 덜 시킨 거라고. 그때부터 저도 경기장에선 최대한 부드럽게 대했지만, 훈련은 정말 혹독하게 했어요. 더러 도망가는 애들도 생길 만큼요. 물론 혹독하게 대하지만 마음이 쓰이는 부분도 있었죠. 저마다 버틸 수 있는 역량이나 성격이 다르잖아요. 잘 따라오지 못해 힘들어하는 애들을 보면 맘이 아팠죠.”
혹독한 훈련 덕분이었을까? 그는 농구대잔치 시절 연세대 감독으로 우승을 세 번이나 했다. 감독으로서 바라본 우승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비결은 없지만, 원리는 있어요. 농구는 철저한 팀 게임이에요. 감독이 욕심 부린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한 선수만 기량이 탁월하다고 되는 것도 아니죠. 물론 재목이 좋은 선수를 데려오는 것도 중요하죠. 다만 재목이 훌륭한 친구들이 서로 잘 조화를 이루면서 게임을 치러야 이길 수 있어요. 결국 코트에서 넣어야 할 골대는 하나고, 이기는 팀도 하나죠. 코트에 들어서면 최선을 다해야 이길 수 있어요.”
*②편으로 내용이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