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치매 예방을 위해 눈 감고 생활해보기

기사입력 2020-11-18 09:32

▲치매예방을 위해 냄새로 음식이름 알아맞히기(사진 조왕래 시니어기자)
▲치매예방을 위해 냄새로 음식이름 알아맞히기(사진 조왕래 시니어기자)
나이 들면서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이 치매다. 자신을 스스로 돌보지 못하고 가족에게 짐이 되다가 저세상으로 떠나는 슬픈 병이다. 치매나 건망증은 사람의 뇌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도서관에 가보면 고령사회로 가는 길목을 반증하듯 뇌와 관련한 책들이 무척 많다. 동네 도서관인데도 100권은 넘는 것 같다. 더욱 놀란 것은 저자가 대부분 의사가 아니라 유명 저널리스트다. 이분들이 기자나 작가정신을 발휘하여 의사 또는 환자를 만나고 각종 논문들을 찾아서 증상과 예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뇌와 관련한 여러 권의 책을 읽어보니 내용은 대동소이(大同小異)했다. 다만 기억력 훈련법으로 버스에서 내려 집으로 올 때 익숙한 길이니 눈을 감고 감각에 의존해 걸어보는 훈련을 하라는 문장을 읽었다. 시각장애인의 삶이다. 현대인들은 TV, 휴대폰 등 시각을 많이 쓴다. 또 물건을 사러 가면 바코드로 자동 계산을 하니 도무지 머리를 쓸 일이 없다. 이제 계산기가 없으면 쩔쩔매게 된다. 구구단도 가물가물하고 초등학생 수준의 산수도 암산으로 계산하기가 어렵다. 그러면 머리는 언제 쓰는가? 두뇌가 싫어하는 걱정할 때만 쓴다. 그러니 스트레스만 쌓인다.

 

시각장애인은 눈으로 사물을 볼 수 없으니 기억력, 소리, 촉감, 후각 등 일반인보다 더 많은 오감 정보를 통해 사물을 이해한다. 손으로 만져보는 행동은 기본이다. 손을 많이 써야 두뇌에 좋다는 것은 이제 상식이다. 건강한 사람은 눈으로 모든 정보를 알아차리니 다른 감각기관은 퇴화되어간다. 엘리베이터 층수 표시에 시각장애인용 점자 글자가 있는데 일반인의 촉감으로는 숫자를 느끼지 못한다. 그만큼 촉감에도 무디어져 있다.

 

그렇다면 시각장애인은 치매나 건망증 환자가 정말 없을까? 궁금해서 내가 잘 아는 '시각장애인 복지관' 팀장에게 물어봤다. 내 질문에 황당해하면서도 시각장애인이 치매 환자인 경우를 못 봤다고 한다. “야~ 이거 획기적 사건이다” 하고 시각장애인 중에 건망증 환자는 있냐고 물어봤더니 건망증에 대한 통계가 없어서 자세히는 모르지만 일반인들보다 기억력이 좋다고 한다. 방송에서도 시각장애인들이 아기 분유도 타서 먹이고 익숙하게 물건들을 꺼내 요리하는 걸 봤다. 농사짓는 시각장애인도 있는데 넓은 들판에서 자신의 논밭을 기억하는 것도 놀라운데 같은 풀 종류인 잡초와 채소를 구별하는 걸 보고 입이 떡 벌어졌다. 내 경험을 볼 때 글자를 모르는 문맹자들이 기억력이 더 좋다. 그들은 글을 모르니 필사적으로 외우려고 한다.

 

거실에 여러 가지 장애물을 두고 눈으로 사진 찍듯 찍어 기억력으로 암기한 후 촉감을 동원해 피하는 훈련을 해보니 효과 만점이다. 가끔 안전한 곳에서 눈을 감고 촉감으로, 소리로, 냄새로 이동하는 훈련을 해보면 두뇌 훈련에 아주 좋을 것 같다. 한쪽이 약하면 다른 쪽이 약한 쪽을 보강해준다. 눈을 덜 쓰는 훈련, 매일 조금씩 해보면 좋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