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남한산성 성곽을 거닐며

기사입력 2020-10-05 15:44

▲인조가 세자와 함께 항복하러 나간 서문.(사진 조왕래 시니어기자 )
▲인조가 세자와 함께 항복하러 나간 서문.(사진 조왕래 시니어기자 )
세계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가 지정한 남한산성(사적 제57호)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있다. 찾아가는 길은 서울, 성남, 하남, 광주로 넓게 퍼져 있다. 현재 위치에 따라 전철도 가능하고 승용차나 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는 등 접근성이 아주 편리하다. 산세도 험하지 않아 남녀노소 많은 사람이 즐겨 찾는다.

남한산성은 한성백제의 온조가 처음 쌓았다고 알려져 있기도 하고 통일신라 때 당의 침공에 대비해 쌓은 주장성이라고도 한다. 성다운 성은 이괄(李适)의 난을 겪은 뒤 인조 2년(1624)에 지금처럼 다시 고쳐 쌓았다. 인조는 총융사 이서(李曙)에게 산성의 축성을 명령했는데, 성의 규모는 전체 둘레가 11.76km(본성 9.05km, 외성 2.71km)다.

(사진 조왕래 시니어기자 )
(사진 조왕래 시니어기자 )

수많은 등산객이 남한산성을 오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경치에 취해 우리 민족의 수치인 병자호란을 잊을까 두렵다. 병자호란은 조정이 외교정책에 실패해 조선의 왕이 청나라 황제에게 항복한 전쟁이다. 일국의 주권국가인 왕이 신하의 예를 보여주기 위해 곤룡포를 벗고 검은 호복을 입은 채 차가운 돌계단에서 무릎을 꿇었다. 우리는 삼전도의 수치를 잊으면 안 된다.

불과 3개월의 침략 기간이었지만 포악한 청나라 군대에 수많은 백성이 죽었다. 나는 김훈 작가의 소설 ‘남한산성’을 읽으며 한숨짓고 눈물을 흘렸다. 병자호란은 왜! 일어났으며 당시의 조정은 어떻게 대처했는지 남한산성을 오르는 수많은 등산객은 곱씹어봐야 한다.

광해군은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양다리 외교정책으로 평화를 누렸으나 인조반정으로 집권한 조정세력은 명나라와만 친하게 지내 후금의 불만을 초래했다. 첫 번째 전란인 정묘호란은 인조 5년(1627년)에 있었다. 군사력이 약한 조선은 후금을 형으로 모신다는 선에서 화해를 했다. 그 후 세력이 더 강해진 후금은 나라 이름을 청이라고 고치고 명나라를 공격하기 전에 후방을 튼튼히 하기 위해 조선을 속국으로 삼는 군신관계를 요구했다.

▲역사를 머금은 성벽.(사진 조왕래 시니어기자 )
▲역사를 머금은 성벽.(사진 조왕래 시니어기자 )

조정에서는 죽으면 죽었지 청의 속국은 될 수는 없다며 거절했다. 결국 인조 14년(1636년)에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인조는 강화도로 들어가 청군과 싸워보려 했지만 섬으로 가는 길목을 청군이 먼저 점령해버려 인조 일행은 하는 수 없이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장기전을 계획하려 했다. 하지만 청나라 군대 10만여 명이 쳐들어와 남한산성을 포위했다. 산성 안의 조선 군대는 1만3000명이었고, 식량은 절약해도 50일 정도 버틸 양에 불과했다. 말 먹이가 부족해 초가지붕의 짚까지 걷어내야 했고 추위에 군사들의 발은 동상으로 부어올랐다. 부녀자는 겁탈을 당했고 수많은 백성이 청나라 군사에게 목숨을 빼앗겼다. 굶어죽는 백성 또한 부지기수였다. 장기전은 명분이지 애당초 불가능했다.

이때 목숨을 내놓고 여러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청과 협상을 해서 나라와 백성을 살려야 한다고 인조를 설득한 주화파 최명길이 있었다. 전쟁이 더 길어지면 더 많은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인조는 국왕이라는 명분보다는 백성을 살리기 위해 항복이라는 수모를 받아들여야 했다. 마침내 1637년 1월 30일, 인조는 세자와 함께 서문을 나와 삼전도까지 산길을 걸어내려 갔다. 그리고 추위에 떨면서 청 황제를 기다렸다. 울고 있는 신하들을 차마 보지 못해 외면하면서 늦게 도착한 청 황제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 두 손을 땅에 대고 이마가 닿도록 절을 하는 3배 9고두례(三拜九敲頭禮, 한 번 절할 때마다 머리를 땅바닥에 세 번 부딪치는 행위를 세 번 반복하는 방식)를 행하면서 인조의 이마는 피멍이 들었다고 역사는 기술한다.

역사적으로 우리 민족의 4대 수치를 꼽으라면, 첫 번째가 임금이 무릎을 꿇고 항복한 병자호란의 삼전도 수치이고, 두 번째가 왕이 백성을 버려두고 도망을 간 임진왜란, 세 번째는 조정의 무능으로 나라를 송두리째 일본에 넘긴 한일합방, 네 번째는 동족끼리의 전쟁인 6.25전쟁을 든다. 모두가 백성의 잘못이 아니라 위정자들의 무능에서 파생된 비극이다.

힘이 없으면 외교력이라도 있어야 한다. 실리 없는 명분 싸움으로 허송세월할 때 죽어나가는 것은 백성뿐이다. KBS 방송국에서 추석 특집으로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라는 방송을 했다. 나훈아는 어려울 때 나라를 구한 사람들은 위정자들이 아니고 평범한 보통의 국민이라 했다. 이 말은 많은 사람의 공감을 불러왔다. 역사는 돌고 돈다. 과거를 거울삼아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남한산성을 오르며 위정자들이 심기일전해서 밖으로는 외세에 굴복하지 않을 힘을 기르고 안으로는 국민들이 편안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하길 염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