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국 제약회사 길리어드의 ‘렘데시비르’가 선두 자리를 차지했다.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 코로나19 치료제로서 일부 효능이 인정돼 긴급 사용을 승인받았다. 우리나라도 렘데시비르의 긴급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
렘데시비르는 원래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 중이었던 항바이러스제다. 에볼라는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 발병해 2년간 1만 명이 넘는 사망자를 냈다. 치사율이 90%에 가까워 바이러스가 퍼진 지역에 큰 공포를 일으켰다. 1979년 아프리카 콩고의 에볼라 강 유역에서 처음 발견된 뒤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했지만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은 더뎠다.
김승섭 교수가 쓴 책 ‘우리 몸이 세계라면’을 보면 전 세계가 에볼라 백신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이유를 알 수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제약회사가 신약을 개발했을 때 거둬들일 수 있는 이윤은, 어떤 약을 개발할지와 그 약을 만드는 데 필요한 지식을 생산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그래서 어떤 지식은 생산되고 어떤 지식은 생산되지 않는다고 한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다국적 제약회사들은 이윤을 낼 수 없다고 판단했고 백신 개발에 미온적이었던 것이다. 유럽이나 미국 등지에서 전염병이 돌아야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한다는 얘기는 안타깝지만 현실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WHO가 주최한 세계보건 총회 화상회의에서 치료제와 백신은 인류 공공재로서 전 세계에 공평하게 보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눈앞에 보이는 자국의 이익이나 정치적 이해관계를 좇는 나라들 때문에 쉽지 않을지도 모른다. 백신을 개발한 나라에서 비싼 값을 요구할 수도 있고, 백신을 무기화해 권력을 휘두를 수도 있다.
백신 개발 전쟁에 뛰어든 전 세계 제약회사들은, 질병을 이길 힘은 백신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연대와 협력에 있다는 걸 잊지 말았으면 좋겠다. 잘사는 나라 못사는 나라 따지지 않고 인류애를 발휘할 수 있는 곳에서 치료제 개발의 기쁜 소식이 들려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