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관이 ‘액티브 시니어’를 ‘활동적 장년’으로 공식적으로 선정하면서 졸속으로 선정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 4월 27일부터 29일까지 열린 ‘새말 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도로 검토해서 선정한 말이라고 했다.
또한 ‘새말모임’은 어려운 외국어나 신어가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대체어를 제공하기 위해 국어 전문가 외에 외국어, 교육, 홍보‧출판, 정보통신, 언론 등 다양한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로서,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조직이니 믿음이 간다.
여기서 ‘널리 퍼지기 전’에 라는 부분에서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이미 ‘액티브 시니어’라는 단어는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는 말이다. 2011년 2월의 동아일보에서 “건강한 식습관과 긍정적인 사고방식 그리고 일주일에 세 번 이상 꾸준히 요가를 수련한다면 젊고 활동적인 ‘액티브 시니어’가 될 것이다,” 또 2011년 10월의 중앙일보에서 “최근 점차 연장되고 있는 경제활동 연령이나 사회참여 기회로 미루어 봤을 때 ‘액티브 시니어’의 사회참여는 더 활발해질 것이다.” 이미 사용한 지가 10여 년이 된 말이다.
최근에 이곳에서 만들어낸 우리말 대체어를 살펴보면 ‘프랜차이즈’를 ‘가맹점’이라고 알기 쉽게 한 말도 있지만, 외래어를 우리말로 번역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는 말도 있다. 그렇게 느끼는 주된 이유는 ‘액티브 시니어’처럼 이미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말일 때 더하다.
말은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아서 시대에 따라 만들어지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어떤 면에서는 외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외래어는 외래어 그대로 사용해야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는 느낌을 받는다. 외래어지만 이미 우리의 안방을 차지하고 입에 익어버린 말을 뒤늦게 고치려 든다면 어색할 수 있다. 아래 표에서 대체어가 오히려 어렵다는 느낌을 받는 것은 이미 그런 외래어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한편 문체부와 국어원은 ‘액티브 시니어’처럼 어려운 용어 때문에 국민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이러한 용어를 ‘활동적 장년’처럼 쉬운 말로 발 빠르게 다듬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이나 방송에서 외래어를 사용하고 문체부와 국어원이 뒤따라가며 고칠 것이 아니라 한발 앞서서 선도적으로 대체어를 개발하는 작업을 이끌어 갔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