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영화가 무서운 이유 중의 하나는 괴롭히는 적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나를 해치는 적이 눈앞에 있는데 그자가 보이지 않는다면 그 공포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증권가의 오래된 말에는 ‘소문에 사고 사실에 판다’는 게 있다. 인간의 불안 심리를 잘 표현한 말로 들린다.
실제와 상관없이 사실이 아닌, 혹은 사실 이전에 세상에 떠도는 안개와 같은 불안이라는 심리는 인간의 운명을 좌우한다. 한 나라의 미래를 결정하기도 한다. 위정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런 불안 심리는 안정을 해치는 매우 위험한 사태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불안한 심리와 사실을 잘 관리하지 못해 나라를 위험에 빠뜨린 일은 역사 속에 비일비재하다. 대표적인 것이 임진왜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온 정사와 부사의 보고가 달라 온 나라가 혼란에 빠졌다. 정사 황윤길은 전쟁이 난다는 견해였고 부사 김성일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쟁을 벌일 위인이 못 된다고 했다.
김성일이 그런 잘못된 보고를 하게 된 이유로, 당파 간 대립 관계도 작용했지만, 백성들이 불안해 할 것이란 명분도 있었다. 불안을 다스린답시고 사실을 외면한 판단이 국가를 위기로 몰아넣은 사례다.
그만큼 불안과 공포는 안정을 해치는 위험한 것이고 국가의 흥망성쇠까지 가르는 것이니 정서를 잘 관리하는 것이 정치의 요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때로는 사실을 은폐하면서까지 공포를 억누르려고 시도하기도 한다. 중국의 흔한 사례처럼 언론을 통제하면서까지 진실을 감추고 위험은 끝났다고 강변하는 경우다. 정치적으로 혼란을 없앴으니 일시적으로는 잘하는 통치로 포장할 수 있겠으나 막대한 희생은 언젠가 치러야 한다.
실체가 없는 불안은 얼마 안가 사라지고 만다. 그러나 근거 있는 대부분의 불안은, 지진을 앞두고 부산한 동물들의 움직임처럼 그것이 일어나고야 말리라는 것을 감지하는 본능적인 움직임이다. 그런 느낌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려 하거나 선의로 포장된 안이함은 참극을 불러온다.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는 그러한 정책 실패를 낱낱이 기록한 현장 보고서다.
결국, 많은 재난은 인재라는 결론에 귀결된다. 불안은 사실의 여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의 소통이 막힐 때 감염된다. 수백 년간의 페스트 공포가 과학으로 극복되었듯이 과학적 진실의 햇빛만이 ‘코로나 불안’의 안개를 물리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