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지역은 육지보다 겨울철 평균 온도가 다소 높아 감귤 재배의 적지다. 겨울철에도 영하의 날씨로 거의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제주도에서는 노지에서도 감귤재배가 가능하다.
제주도 감귤농장의 규모는 21,520 Ha. 여기에서 1년에 60만 톤 안팎의 감귤이 생산된다. 제주 농업에서 감귤이 차지하는 비중이 50% 가까이 된다.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과일로 겨울철 전 국민이 충분히 먹을 수 있다. 올해는 제주도에 비가 많이 오고 태풍이 잦아서 시장에 나와 있는 감귤의 껍질 외피가 다소 곱지가 못한 것도 있다.
감귤의 종류는 하우스귤과 금귤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감귤 하면 노지 재배로 생산되는 온주밀감을 말한다. 온주밀감은 크지도 작지도 않은 지름이 3.5cm에서 4.5cm 정도 크기의 감귤이 최상품이다. 너무 크거나 너무 작아도 상품으로 취급받지 못하고 등외품(等外品)으로써 파치로 처리하곤 한다. 파치는 별도로 농협 등에서 수매를 해서 생과용이 아닌 초콜릿이나 쥬스, 음료공장 등으로 출하된다.
감귤나무의 특성은 상록활엽수 교목으로 키는 3m 정도까지 키운다. 이것보다 더 높게 키울 수도 있으나 작업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대부분이 3m 이하로 키우고 있다. 감귤 꽃은 5월에 개화하고 11월에서 12월 사이에 익으면 수확하게 된다. 감귤은 '단위 결과'라고 하는 특징을 가진 과수로서 나무가 꽃이 피고 수정이 되지 않아도 열매를 맺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온주밀감이 씨가 없는 것은 수정이 되지 않고도 바로 과일이 크기 때문에 씨가 없는 것이다.
감귤나무를 키우는 과정은 매년 3~4월에 전지 전정을 하고 비료를 1년에 3번 3월과 6월, 9월경에 준다. 그리고 7~8월경에 병충해의 피해를 입었거나 과일이 너무 크거나 작아서 정상적이지 못한 과일을 대상으로 적과를 실시한다. 제초작업은 수시로 과수원의 상태를 보면서 작업을 한다. 병충해 방제와 병충해 예방을 위하여 농약은 1년에 3번 정도 살포한다.
감귤 수확철인 11월과 12월엔 제주도민들이 대부분 바쁘게 움직인다. 농장의 규모가 크고 일할 수 있는 가족이 부족한 농장에서는 노동력을 얻지 못해서 애를 먹는다. 갈수록 감귤 수확철 노동력 확보가 어려워진다. 그래서 육지에 나가 살고 있는 자녀들도 감귤 수확철에는 고향집에 와서 수확 일을 도와주곤 한다.
칼을 쓰지 않고 손으로 쉽게 먹을 수 있고 비타민C도 많이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도도 높은 감귤이 겨울 최고의 과일이라고 제주도민들은 자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