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차 마시는 도예가 모임 ‘다유(茶裕)’

기사입력 2019-11-15 08:57

찻물이 담기는 그릇에 참의미를 더하다

▲왼쪽부터 시계 방향 이성현, 문찬석, 최민록, 이청욱(권지현 기자)
▲왼쪽부터 시계 방향 이성현, 문찬석, 최민록, 이청욱(권지현 기자)

차는 오묘하다. 차의 맛과 향을 살리는 것은 찻잎과 물, 그릇, 그리고 사람이다. 최고의 맛을 찾아가는 여정이 즐거워 차를 마시게 된다. 특히 차는 담아내는 찻그릇이 있어야 하고, 찻그릇 또한 차가 담겨야 존재의 이유를 드러내게 된다. 찻그릇의 고마움을 아는 차인과 차의 맛을 보다 깊게 담아내고자 하는 도예가가 넉넉한 마음으로 만나 차를 나누게 됐다. 차를 마시는 도예가들 모임 ‘다유(茶裕)’다.

▲최민록 작가의 전시실
▲최민록 작가의 전시실

‘다유’는 경기도 여주시에서 활동하는 도예가 모임이다. 찻그릇을 빚는 이들의 모임은 선향다례원 구자완 원장의 권유로 시작해 10년 넘게 차와 함께하고 있다. 현재는 유만 이청욱, 유담 문찬석, 유장 최민록, 아얼 이성현 작가가 다유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을 만나기 위해 찾아간 곳은 최민록 작가의 도자기 작업장 겸 전시장인 민토. 흙이 켜켜이 쌓인 작업장을 통과해 밖으로 난 철 계단을 올라가니 다양한 찻그릇이 진열돼 있는 전시장이 모습을 보였다. 차인답게 전시장 안은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었다.

문찬석 구자완 원장님을 만나 뵙기 4~5년 전부터 여주의 ‘도자기를 사랑하는 모임’ 도예가 20명 정도가 이미 모여서 차를 마셨습니다. 도자기 관련 연구를 하는 모임이었는데 차에 대해서도 많은 얘기를 해보자고 해서 시작했죠. 구 원장님은 2005년 여주도자기축제 행사장에서 만났습니다. 그 인연이 모임 다유로 이어진 것이죠. 2007년 9월부터 정식으로 차를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구자완 원장은 차생활을 오래하다 보니 찻그릇이 필요했고 차를 좀 아는 사람들이 찻그릇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었다. 이후 다유 회원들은 구 원장으로부터 우리나라 차를 기본으로 중국 차, 일본 차 등 각 나라 차의 역사를 배워나갔다. 행다(行茶) 실습도 꾸준히 했다. 제다(製茶)하는 곳에도 찾아갔다. 녹차잎을 하나하나 직접 따고 무쇠솥에 덖어 1년 치 녹차도 만들고, 발효차인 황차를 만드는 과정도 체험했다. 여주 출신인 구 원장은 고향 도예 작가들에게 본인이 쌓아온 차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나누어주면 한층 더 높은 예술 세계에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매주 서울과 여주를 오가며 차 공부를 이어갔다.

구자완 원장 다유를 통해 여주의 도자기를 알리고 싶어서 제안했습니다. 도예가들이 차를 알아야 찻그릇을 더 잘 만들 테니까요. 그리고 다유 회원들과 서울에서 만나 함께 전시회에 가서 감상도 하고요. 10여 년 함께 공부를 하면서 알게 모르게 차원이 높아진 것이 사실입니다.

다유의 도예가들은 구 원장에게서 다호(茶號)를 받았다. 차를 3년쯤 공부하면 선생으로부터 받게 된다고. 이들이 다호를 받던 해, 구 원장 산하 차회의 돌림자가 넉넉할 유(裕)자였기 때문에 유장(裕匠), 유만(裕滿), 유담(裕潭) 등의 호가 내려졌다. 차생활을 하는 사람으로 정식 인정을 받았다는 의미다.

▲2017년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서 열린 제7회 다유 장작가마 페스티벌에서 헌다(獻茶)를 하는 다유 회원.(다유 제공)
▲2017년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서 열린 제7회 다유 장작가마 페스티벌에서 헌다(獻茶)를 하는 다유 회원.(다유 제공)

이청욱 배우고 익혔으니 이제 차인이 된 것이죠. 저희는 차를 마시는 도예가입니다. 다유의 근원은 차를 통해 도자기를 보다 더 깊이 있게 알아가자는 의미에서 출발합니다. 술보다는 차를 마시면서 만나는 것이 훨씬 좋잖아요. 정식으로 배우면서 그 깊이를 알아가는 중입니다.

차 맛을 알기 전에는 찻그릇에 대한 차인들의 평가에 중심이 흐트러지기도 했다. 예술가로서 어떤 것이 옳고 그른 것인지 갈피를 잡기 위해 애쓰기를 반복했다. 차생활을 하면서 찻그릇을 빚고 대하는 마음이 많이 변했다.

최민록 차를 배우기 전에는 찻그릇을 주문하는 사람들의 의견에 좌우되는 일이 많았습니다. 도예가도 결국은 도자기를 만드는 제조자잖아요. 이용자의 요구에 귀 기울여야만 했습니다. 차를 배우게 된 이유는 찻그릇을 보러 오시는 분마다 선생이시더라고요. 지역마다, 사람마다 의견이 참 많이 달랐습니다. 차를 모르던 제 입장에서 기준을 정하는 게 어려우니 수긍하며 작업해왔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차나 그릇에 대해 의견을 나눌 수 있어서 좋습니다. 차 도구에도 유행이 있어요. 예를 들어 예전에는 크고 투박한 문경 쪽 다기가 유행했다면 요즘은 중국 차를 많이 마시게 되면서 다기도 작아지고 잔도 좀 더 얇아졌어요. 그런 변화들을 가늠하는 것도 쉽고요. 차 공부 이후 다양한 찻그릇을 만들고 있습니다.

다유 활동을 하면서 가장 의미 있는 행사는 ‘장작가마 문화제’다. 원래는 다유 회원들의 작품을 감상하는 ‘다유 브랜드 데이’ 행사로 5년여 이어오다 좀 더 전통적인 방법으로 도자기 굽는 모습을 재연해보자는 의미로 확장했다. 여주 신륵사의 전통가마에서 구워낸 찻그릇을 꺼내고 감상하고 저렴하게 판매도 한다. 특히 이때 헌다례(獻茶禮,제례의 한 순서라는 의미 외에도 종교적 대상에게 예배의 한 행위로서 차를 올리는 것) 시연을 다유 회원들이 직접 한다는 점. 차 공부를 하는 인구 대부분이 여성이기 때문에 남성 차인이 시연하는 모습은 ‘장작가마 페스티벌’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올해 행사는 아프리카 돼지열병 파장으로 전면 취소됐다고.

▲장작 가마와 그곳에서 꺼낸 작품들.(다유 제공)
▲장작 가마와 그곳에서 꺼낸 작품들.(다유 제공)

이청욱 다유 회원의 기본은 차를 배운 사람으로서 차 도구를 만드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저희만큼 시간도 낼 수 있어야 해요. 차도 마셔야 하고 행다 연습도 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또 새로운 작품에 대한 의견도 나누고 다례 행사가 있으면 동작도 맞춰봐야 합니다. 이런 작업들 외에도 할애해야 할 시간이 많습니다. 가끔 저희가 행사에서 행다 혹은 헌다례 시연을 할 때도 있거든요. 차가 어려운 게 아니라 시간을 내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성현 다유 회원으로 활동하고 싶어 하는 분들이 더 계시지만 전문적으로 차 도구를 빚는 분이 드뭅니다. 회원 기본 조건에 안 맞는 분들의 가입을 허락해드리지 못할 때는 저희도 많이 아쉽습니다. 다유 회원이 되기를 원한다면 차생활도 해야 합니다. 다유는 이런 기본적인 요건들이 충족 안 될 때는 신입회원으로 가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여주가 도자기로 유명한 도시이기는 하나 찻그릇을 만드는 작가들보다 생활자기를 만드는 이가 훨씬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수요가 있어야 공급이 활발해지는데 여주는 문경이나 이천 같은 곳에 비해 차 마시는 인구가 적고, 전문 차인 단체가 미미한 수준이라고 다유 회원은 입을 모았다.

최민록 여주에는 차 마시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 같아요. 차 모임이 아주 드물죠. 그래도 차과 관련해서 명성왕후 탄신제와 여주문화원에서 차 봉사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 여주에서 차를 중심으로 모이는 사람들은 다유밖에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변이 확대되는 것도 참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행위를 해도 홍보도 안 되고 즐기는 사람이 없으면 이 일이 재미없어질 수도 있겠죠.

찻그릇을 제대로 만들기 위해 수년간 차를 배운 사람들의 모임인 다유 작가들과의 만남. 한참을 앉아 차를 마시는 도예가가 엄선한 차를 나눠 마셨다. 차를 이해하는 작가가 우리의 흙으로 빚고 장작 가마에서 구운 찻그릇이 상에 올라왔다. 그리고 이 찻그릇에 우려먹는 차 맛이란? 말로 표현이 가능하겠는가! 감동 그 자체다.

▲최민록 작가의 작업장 내부
▲최민록 작가의 작업장 내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