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
- [Trend&Bravo] 중장년 재취업 효자, 돈 되는 자격증 TOP5
- 2025-10-16
-
- 미리 알아두면 도움 될 절세 금융상품 관련 개정안
- 2025-10-16
-
- “비대면 진료, 의료사각지대 노인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
- 2025-10-15
-
- 정은경 장관 “요양보호사, 장기근속장려금 대상·금액 확대 검토”
- 2025-10-15
-
- ‘브라보 마이 라이프’, 시니어 정책·산업 전문위원단 68인 위촉
- 2025-10-15
-
- "115세도 일한다" 노인일자리 대기자 22만명 넘어
- 2025-10-15
-
- 대한은퇴자협회, 제80회 유엔의 날 기념 ‘광진문화예술축제’ 개최
- 2025-10-15
-
- 70대, 비누 안 쓰고 물로만 손 씻는 비율 높아…손 씻는 시간 10.9초
- 2025-10-15
-
- [챗GPT 브리핑] 65세 이상 노인, 독감·코로나19 동시 무료 접종 시작
- 2025-10-15
-
- 서울시, 중장년 인생 전환 우수사례 공모전 ‘내 인생의 체인지업 시즌3’ 개최
- 2025-10-15
-
- 정은경 장관 “생계형 고령 범죄 방지 대책 필요”
- 2025-10-14
-
- 노벨경제학 수상자의 당부…“韓 초고령화 문제 해결 핵심은 개방성”
- 2025-10-14
-
- 보건의료 ‘심각’ 위기경보 1년8개월 만에 해제되나
- 2025-10-14
브라보 인기뉴스
-

- 육아 노하우에 전문성을 더하다
- 평생 해온 육아 경험을 사회적 가치로 살릴 방법은 없을까.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양성 과정에 중장년 여성들의 참여가 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가족도 자격을 갖추면 정부지원금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손주를 돌보며 일하는 시니어가 늘고 있다. 일과 돌봄 두 마리 토끼를 잡았더니 기쁨은 배가 됐다. ‘첫 번째 선생님’이라는 자부심 “아기가 세상에 처음 나왔을 때 만나는 첫 번째 선생님이 바로 저예요.” 신생아의 작고 따뜻한 손을 매만지는 순간 여전히 가슴이 벅차오른다는 1965년생 고미랑 씨는 웃으며 이
-

- AI가 돕는 인생 기록법…시니어의 자서전 혁명
- 요즘 시니어 사이에서는 ‘자서전 쓰기’가 새로운 배움의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글로 정리하며, 나아가 세상과 나누는 일. 그것은 단순한 글쓰기 교육이 아니라 ‘나를 배우는 시간’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여기에 AI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방식의 자서전 쓰기 교육이 등장했다. 기술이 묻고, 기억이 답하다 많은 시니어가 “내 삶을 한 권의 책으로 남기고 싶다”고 말한다. 그러나 막상 펜을 들면 어디서부터 써야 할지 막막하다. 인생의 이야기를 어떻게 구조화할지, 어떤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풀어야 할지 혼자서는 쉽지 않기
-

- 시니어에게도 열린 코딩의 세계
- “요즘 초등학생들은 코딩을 배운대.” 이제 코딩은 특정 직업군의 기술이 아니라 사고력을 익히는 하나의 언어로 자리 잡았다. 초등학교 교실마다 블록 코딩, 스크래치, 인공지능 모델 만들기 등 ‘미래형 학습’이 빠르게 정착 중이다. 이런 흐름이 비단 어린이들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해력으로서 코딩을 배우는 시니어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 세상 읽고 생각 훈련하는 ‘코딩’ 지난 9월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에듀테크코리아페어’ 현장. 다양한 코딩 교구와 소프트웨어를 체험하는 부스 사이로, 프로그램 일정을 꼼꼼
-

- 세포가 하나하나 살아나는 발레
- 거울 앞에 선 시니어들의 표정이 환하다. “입꼬리 올리고, 발끝도 세워요!” 강사의 구령에 맞춰 몸을 들어 올리는 순간, 무겁던 몸과 마음이 가벼워진다. 태안 백화노인복지관의 ‘시니어 발레’ 교실은 흔한 배움터가 아니다. 나이 앞에 망설이지 않고 도전하며 여전히 아름답게 살아가는 이들이 비상하는 무대다. 나이 거스르는 ‘상승의 예술’ 충청남도 태안군 백화노인복지관은 종합 복지 전문기관으로, 만 60세 이상 지역 주민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글 문해와 영어·일본어 등 어학 영역부터 서예·실버 민요·트로트 교실·캘리
브라보 추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