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rend&Bravo] 자녀 둔 아빠들이 말한 현실 유형 5
- 2025-11-28
-
- 퇴직을 앞두고 궁금한 질문(퇴직금 편)
- 2025-11-28
-
- [브라보 모먼트] "눈은 감겼지만, 가슴은 열려있었다"
- 2025-11-28
-
- ‘고추장 버터 비빔밥’ 같은 K-푸드와 K-콘텐츠
- 2025-11-28
-
- [시니어 민간자격증] 시니어라인댄스지도사, 인기 이유는?
- 2025-11-28
-
- 국민연금 감액 기준 완화…초과소득 200만 원 미만 감액 폐지
- 2025-11-27
-
- 노인 의료비·학대 모두 급증...‘오래 살지만 더 취약한 노년’
- 2025-11-27
-
- 노인일자리, 10개월간 761만 원 벌 수 있는 활동은?
- 2025-11-27
-
- 작년 고독사 사망자 3924명…‘60대 남성’ 가장 많아
- 2025-11-27
-
- 복지부, 내년 노인일자리 115만 개 모집… 역대 최대 규모
- 2025-11-27
-
- [AI 브리핑] 교통약자 1600만 명 넘었다…총인구 31.5%
- 2025-11-27
-
- 놓치면 손해! 65세 이상 혜택(문화ㆍ여가편)
- 2025-11-27
-
- 우리집 가까이서 만나는 '서울체력 9988 체력인증센터'
- 2025-11-27
'비바 브라보 손주사랑합창단', 프리 창단식...합창단원 모집
‘비바 브라보 손주사랑합창단(단장 한성환)’이 정식 창단을 앞두고 본격적인 활동에 시동을 걸었다. 28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이투데이 빌딩에서 합창단의 ‘프리(pre) 창단식’이 열렸다. 코리아 킨더코어(Korea Kinderchor, 빈소년합창단 인증기관)가 ‘VIVA! BRAVO’를 슬로건으로 새롭게 출범하는 ‘비바 브라보 손주사랑합창단’은 국내 최초로 시니어 합창단과 아동 합창단이 함께 유럽 연주 투어를 준비하는 세대 공감 예술 프로젝트다. 한성환 단장은 “시니어가 가장 행복한 시간은 사랑스러운 손주와 함께 노래할 때라고 생
“치매 바로 알자” 하나은행 PB 전원 ‘기억친구’ 교육 이수
치매 대응·금융보호 역량 강화…자산관리그룹 임직원 40명 ‘기억친구 리더’ 수료 하나은행-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 치매안심금융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하나은행이 시니어 맞춤 금융서비스 강화를 위해 PB 인력의 치매 대응 역량을 대폭 높이고 있다. 하나은행은 8월 금융권 최초로 치매 전담 조직인 ‘치매안심 금융센터’를 신설한 데 이어, PB 300여 명이 치매 인식개선 교육 과정인 ‘기억친구’ 프로그램을 전원 이수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달에는 자산관리그룹 임직원 40명이 ‘기억친구 리더’ 자격 과정을 모두 수료했다. 기억친구는 서
브라보 인기뉴스
-

- UBRC의 시대…노후, 다시 캠퍼스로 돌아가다
- 대학연계형 은퇴자 주거단지(UBRC, 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는 ‘노후에도 캠퍼스에서 배우며 사는 삶’이라는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미국에서 시작된 이 모델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를 동시에 겪는 한국 사회에서 대학, 고령층,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CCRC에서 UBRC로, 배움이 있는 노후 은퇴자 주거단지(CCRC,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는 단지 내에서 건강 변화에 따라 주거 형태를 바
-

- 다시 쓰는 이력서, 도전도 배우는 용기 필요
- 퇴직 후 중장년은 그간 미뤄왔던 배움의 갈증을 채우며 온전히 자신을 위한 삶을 꿈꾼다. 하지만 중장년 상당수가 경제적 자립의 벽 앞에서 끊임없이 일자리를 찾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이제 이력서 작성과 면접 태도, 직장 내에서 젊은 상사와 협업하는 방식 역시 ‘배움’이 필요하다. 풍부한 경험은 중장년의 강점이다. 하지만 이를 언제 어떻게 꺼내 보이느냐에 따라 재취업의 성공을 좌우한다. 실제로 통계청과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50세 이상 구직자의 평균 구직기간은 10개월 이상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길다. 또 중장년층 재취
-

- 배우면 돈 되는 유용한 자격증 6선
- 은퇴 이후의 삶은 더 이상 ‘쉬는 시간’이 아니다. 많은 시니어가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자격증을 준비하며 ‘일하는 노년’을 선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생계 때문만이 아니다. 사회와의 연결, 자기 효능감, 그리고 인생 2막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다. 남성들은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살려 전기·용접·지게차 등 기술형 자격을 선호한다. ‘몸으로 익힌 기술은 은퇴하지 않는다’는 믿음 아래, 그들은 다시 산업현장과 시설관리, 공공 일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반면 여성들은 돌봄·미용·조리 같은 생활밀착형 자격증 취득이 월등히 높은 편이다. 이는
-

- “디지털 사무원에서 탐정까지” 다시 배우는 이색 직업
- 새로운 것을 배우는 즐거움이 일로 이어질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배움이 곧 기회가 되는 시대, 시니어 세대에서도 새로운 직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일도 있었어?” 싶을 만큼 신선하고,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일들이다. 배움을 통해 성장하고, 그 성장이 다시 일로 이어지는 인생 2막의 문을 열어보자. AI와 초고령사회라는 두 흐름은 시니어 일자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기술이 일상을 빠르게 바꾸는 시대, 인생 후반부에도 배움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흔히 들어본 직업이 아닌 완전히 새
브라보 추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