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두드림⑧ 컨설팅·중개 분야 편 인터뷰
대기업에서 30년간 영업관리, 제품개발, 마케팅 등의 업무를 해온 임태상(61) 씨는 퇴직 후 3~4년을 쉬며 제2직업을 모색했다. 별다른 준비 없이 퇴직하면서도 막연히 ‘뭔가는 하겠지’ 했는데, 그렇게 공백기가 길어지고 말았단다. 사업을 벌이자니 위험부담이 클 것 같았고, 최대한 직장생활의 경험을 살리고 싶었다. 그러던 중 경영 컨설턴트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경영지도사 자격증을 준비했다.
임태상 씨가 도전한 '경영지도사' 분야는 경영 컨설턴트로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국가전문자격이다. 경영지도사는 마케팅, 생산관리, 인적자원관리, 재무관리 등으로 나뉘고, 기술지도사는 기계, 생명공학, 생산관리, 정보처리, 전기전자, 환경 등으로 세분화된다(2차 시험의 경우 지도 분야별로 구분해 실시). 응시 자격에 나이, 전공 등의 제한은 없지만, 1차에서 경영학을 비롯한 중소기업 관련 법령 및 외국어 등 객관식 시험과, 2차에서 전문 분야 논술(약술) 시험을 치러야 해 공부 분량이 만만치 않다.
임태상 씨 처럼 관련 분야 종사자라면 어느 정도 유리하리라 여기지만, 자격시험을 위한 이론을 익히고 암기해야 하기 때문에 실무와는 또 다른 맥락이다. 그 역시 관련 전공에 이전 직장에서의 업무도 일맥상통하니 어렵지 않겠다고 판단했지만, 막상 시험은 또 다른 문제였다.
“대학에서도 상경계열을 전공했고, 회사 일도 관련 분야였으니 해볼 만하다고 생각했죠. 30년 만에 시험공부를 시작했는데 굉장히 어렵더라고요. 암기가 잘 안돼 애를 먹었어요. 주변에 자격증 딸 거라고 소문을 냈던 터라, 체면치레하느라 포기할 수도 없었죠.(웃음) 도서관 열람실에서 하루에 10시간 이상을 보냈던 거 같아요. 그렇게 2년 정도 투자해 경영지도사를 취득했습니다.”
자격증 취득, 끝이 아닌 시작
그렇게 어렵사리 취득한 자격증이지만,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컨설팅 계약을 위해 프로필을 돌리고, 젊은이들과 나란히 면접을 보며 경쟁 속에 뛰어들어야 했다. 근래 정부에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투자, 영업 관리 등의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고, 인공지능, 스마트사업 등 신산업이 등장하면서 경영 컨설턴트의 인력 수요가 늘어났다는 건 반가운 상황이다. 그러나 임태상 씨는 "젊은 세대와 경쟁에서 중장년이 유리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대기업이나 고수익을 내는 프로젝트에 욕심내기보다는 지자체나 공공기관에서 수행하는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대상 컨설팅, 또는 청년기술창업 멘토 등에 참여하며 전문성을 쌓는 것이 경력관리에 효율적"이라고 조언했다.
“맨땅에 헤딩하는 심정으로 무보수로 진행하거나, 금액을 낮춰 컨설팅하며 경험을 쌓았어요. 프로보노(pro bono, 전문성을 활용해 소외계층을 돕는 일) 활동도 꽤 도움이 됐죠. 경영 컨설턴트로 활동한 지 4년 차인데, 이제 어느 정도 안정궤도에 접어든 것 같아요.”
애당초 그는 이 일을 오래할 계획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 ‘가능한 한 오래 일하기’로 생각이 바뀌었다고. 자신의 경험을 살려 도전했던 일인데, 그 경험이 다른 사람들에게 꽤 쓸모 있게 발휘되는 것에 기쁨과 보람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 일의 가치를 깨달았거든요. 주로 소상공인들이나 어려운 환경에서 사업하시는 분들을 상대하는데, 제 작은 지식과 경험도 꽤 큰 힘이 된다는 걸 알았어요. 관련법이나 지원 정책 등을 몰라 어려움을 겪기도 하니까요. 특히 젊은 창업자를 돕고 소통할 때 더 보람을 느끼죠. 그들에게도 금전적인 해결책을 주고, 동시에 저 역시 소득이 생기니, 그야말로 ‘윈윈(win-win)’할 수 있는 일이라 즐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