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인생은 살고 싶으면 마음의 문을 열어야 한다. 마음은 소통의 문이요 관계의 문이기 때문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가면을 쓰고 사는 것이고 또 하나는 약점이 있어도 드러내놓고 당당하게 사는 것이다. 어떤 선택을 하는가는 자신에게 달려 있다. 마음의 문을 여는 자물통은 안으로 잠겨 있어 자기 자신밖에는 열 수 없기 때문이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며 세상과 소통하려는 사람은 밝게 살아가지만, 감추고 사는 사람은 힘들게 산다. 심지어 사람을 피하고 스스로를 고립시켜 우울증에 빠져 지내다가 세상을 등지는 사람도 있다. 우리는 멋지게 자신의 약점을 극복하고 살아가는 사람을 볼 때 힘차게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
팔다리가 없는 장애를 갖고 태어났다면 어떻게 했을까? 자신을 비관하고 부모를 원망하며 괴로워하지 않았을까? 물론 그럴 수도 있다. 이 사람도 처음엔 그랬다. 그래서 8세가 되던 해 세상을 떠나기로 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삶의 두려움을 떨쳐버리고 세상과 소통하며 자신을 드러냈다. 팔다리가 없어도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다 하늘의 뜻이 있다는 말씀을 듣고 새로운 삶을 사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닉 부이치치 이야기다. 그의 삶은 좋은 조건에 건강한 몸을 갖고도 힘들게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용기와 힘을 주고 있다. 장애에도 좌절하지 않고, 골프 수영 등 끊임없는 도전으로 우리에게 감동을 준다.
일본의 오토다케 히로타다도 역시 팔다리가 없는 장애인이다. 그러나 그는 장애는 “신체적 특징의 하나일 뿐”이라며 당당히 자기 삶을 살아간다. ‘오체 불만족’을 쓴 작가로 유명한 그는 와세다대학교 정경학부 정치학과를 다녔다. 책가방을 메고 계단도 혼자 올라간다.
이 두 사람은 자신의 약점을 솔직하게 드러내놓음으로써 세상과 멋지게 소통하며 당당하게 살아간다. 미국인들이 존경하는 대통령 중 한 사람인 루즈벨트는 미국의 대공황을 뉴딜정책으로 벗어나게 했고 네 번이나 대통령에 당선되는 기록을 세웠다. 그는 휠체어에 의지해야 했던 소아마비 환자였다. 세계적 천재 과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도 루게릭병으로 2년 시한부 선고를 의사로부터 받았지만 의지로 그 병을 이겨냈고 아인슈타인 이후 가장 존경받는 우주 물리학자로 존경받으며 생을 마감했다.
행복은 누가 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개척하는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닫힌 마음을 열고 세상과 소통할 때 진정한 행복이 찾아온다. 행복해지고 싶으면 마음을 열고 세상과 만나야 한다. 그 문은 아무나 열 수 없다. 내가 열어야 한다. 내 인생의 주인은 바로 나 자신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