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를 대한민국 상위 0.1%로 키우려는 부모의 욕망을 그린 JTBC 드라마 ‘SKY 캐슬’. 우리 교육 현실과 맞닿은 드라마 속 이야기에 비난과 공감의 목소리가 공존했다. 이에 안타까움을 드러내는 한 사람이 있다. 바로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이소연과 가수에서 국제변호사가 된 이소은의 아버지 이규천(李圭天·66)이다. ‘SKY 캐슬’ 엄마들도 탐낼 만한 두 딸의 행보에 자녀교육 방법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그리고 그는 ‘나는 천천히 아빠가 되었다’를 통해 넌지시 그 대답을 남겼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농림 부문 R&D 전문관리 기관장 등을 지냈던 이규천은 전문 분야의 정책서 등은 써왔지만 자녀교육에 관한 책은 처음이라고 했다. 이는 2017년 SBS ‘영재발굴단’에 둘째 소은과 출연한 것이 계기가 됐다. 중장년 세대의 자녀뻘이라면 익히 알 만한 이소은은 가수로 활동하다가 로스쿨 진학 후 현재 국제상업회의소 국제중재법원 뉴욕 지부에서 부의장으로 일하고 있다. 그녀에게 성공 비결을 묻자 “부모의 남다른 교육 덕분”이라 답한 것이 화제가 되며 자연스럽게 이규천 내외에게도 관심이 쏠린 것이다.
“방송 이후 여러 출판사에서 책을 내자는 제안을 해왔어요. 우리 부부가 교육 철학으로 꼽은 ‘방목’에 대해 쓰자는 거였죠. 사실 방목은 아이들이 다 자라고 돌이켜보니 그랬다는 거지, 애초에 정해둔 교육 방식은 아니었어요. 계획과 목표를 잡으면 결국 판에 박은 듯 아이를 키우게 되거든요. 아내와 서로 말하지는 않았지만 다행히 ‘아이의 영혼을 자유롭게 하자’는 마음은 통했던 것 같아요.”
부모 수업의 스승은 자녀다
집필 결심 후 ‘아빠의 믿음’이라는 제목으로 초고를 완성할 무렵, 그는 깨달았다. 아직도 자신은 아빠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말이다.
“나만 키운 게 아니더라고요. 애들도 날 키웠고, 함께 성장한 거죠. 자식은 다섯 살, 열 살, 스무 살, 결혼해 엄마가 돼도 그때마다 새로운 문제를 안고 나타나요. 아빠로서도 처음 겪는 것이 많으니 함께 고민하고 공부할 수밖에요. 그렇게 아이의 문제를 해결하다 보면 부모도 새로운 경험을 통해 성숙해지죠. 서서히 변화하고, 천천히 아빠가 되어가는 거라고 생각해요. 결국 부모 수업에서 스승은 자녀이더군요.”
그렇게 바뀐 제목이 ‘나는 천천히 아빠가 되었다’이다. 책이 나오기 전 ‘금수저 집안이다’, ‘부모가 무관심한 거다’ 등등 오해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책을 읽어본 이는 알게 된다. 그는 금수저도 아니고, 무심한 아빠는 더욱 아니라는 것을.
“아이가 줄리아드 음대 나왔다고 하면 다들 우리가 부자인 줄 알아요. 자랑처럼 들릴까봐 우려스럽지만, 큰딸이 고등학교와 대학은 자기 노력으로 장학금 받아 다녀서 저는 돈으로 해준 게 별로 없어요. 경제적으로도 어려울 때였고요. 근데 만약 금전적으로 아낌없이 지원했다면 더 크게 성공했을까요? 글쎄요. 오히려 그런 결핍이 딸이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됐다고 봐요. 아이들에게 ‘고생도 선택해서 하면 행운’이라는 말을 했어요. 피아노 안 치면 고생 안 해도 되지만, 하고 싶으면 힘들어도 매일 연습할 수밖에 없잖아요. 자기가 선택한 진로니까 어려워도 잘 이겨낸 거죠. 우리 부부는 아이를 ‘어떻게 키울까?’보다는 ‘어떻게 도울까?’를 고민했고요.”
방목을 위한 믿음과 절제
인터뷰를 하는 동안 이규천은 ‘자녀를 키운다’는 표현을 쓰지 않으려 노력했다. ‘아이는 스스로 자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이가 자기 결대로 잘 자라기 위해 필요한 교육 방식은 ‘방목’이었다.
“자녀를 방목하는 게 쉽지 않아요. 자꾸 간섭하고 싶거든요. 그때마다 저는 ‘아이를 위한 것인가? 나를 위한 것인가?’ 질문을 해봐요. 가령 아이가 실패했을 때 화를 내기보다는 상황을 의연히 받아들이고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둬야 해요. 자신의 실패가 부모에게 실망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 아이는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죠. 또 실수를 했을 때 아이도 자기 잘못을 대부분 인지합니다. 그런 상황에 구태여 잔소리를 더하는 건 의미 없을 뿐더러, 결국 부모의 답답한 마음을 푸는 행위밖에 안 되더라고요.”
방목은 이상적인 교육 방식처럼 보인다. 그러나 막상 해보려면 실천이 어려운 것이 문제다. 그는 지켜보고만 있는 일이 쉽지는 않다며 ‘믿음’과 ‘절제’가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한다.
“저도 애들이 잘되길 바라는 마음에 다그치고 싶을 때가 있죠. 그러나 참는 거예요. 절제는 믿음 없이는 어려워요. 잘못된 방향으로 가더라도 기다리면 언젠가 돌아오더군요. 절대 조급해하면 안 돼요. 기다리느냐 못 기다리느냐는 결국 아이에 대한 부모의 믿음에 있습니다.”
근래 조손가정이 늘며 부모와 자식 간에 손주 육아로 인한 갈등도 생겨났다. 이 또한 자녀들의 교육 방식을 존중해야 한다고 그는 말한다.
“클린턴, 힐러리 부부가 손주가 생기고 아침마다 외우는 말이 있대요. 바로 ‘개입하지 말자’예요. 간섭하기 시작하면 나와 자식의 관계는 틀어지기 마련이니까요. 지금껏 부모·자식으로 잘 지내왔는데 손주 녀석 때문에 사이를 망가뜨릴 필요는 없잖아요. 저도 딸이 조언을 구하면 ‘아빠라면 이렇게 하겠는데? 한번 잘 생각해봐’ 하는 정도에서 그쳐요.”
아빠의 인생 궤적을 함께한 아이들
책에서도 그는 자녀교육에 관해 특별한 묘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대신 가족의 일화와 아이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통해 자기 삶의 궤적을 더듬었고, 그 속에 녹아든 자신의 교육 철학을 자연스럽게 드러냈다.
“방법적으로 풀려니 막상 쓸 말이 없더라고요. 가만 보면 제 인생 대부분을 딸들과 함께했잖아요. 이런저런 경험 속에서 내가 어떤 생각을 했고, 아이들과 어떤 방법으로 해결했는지 보여주면 간접적으로 우리 가정의 교육 방식을 들려줄 수 있으리라 여겼습니다.”
그는 책에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아내 그 길을 걸어가는 사람은 행운아’라며 ‘딸들이 백세시대를 밥벌이만 위해 살면서 지루하게 보내기를 바라지 않는다’고 썼다. 이미 딸들은 행운아의 반열에 오른 듯한데, 정작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았을까?
“요즘 매일 오전에 카페에서 독서를 즐기는데, 사고의 폭이 점점 넓어지는 걸 느껴요. 정치학, 행정학을 전공했으니 나와 가족을 넘어 사회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해보는 것도 좋겠더라고요. 열심히 책 읽고 공부하면서 뭔가 해답을 얻으면 그때 책 한 권 더 써봐도 괜찮겠다 싶어요. 75세쯤 그러려고 하는데, 앞으로 10년은 그 즐거움으로 살아가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