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낙의 그림 이야기]
우리에게 익숙한 학(鶴)은 두루미목(目), 두루밋과(科)에 속하는 대형 조류다. 겨울이면 북녘 시베리아, 중국 동북부, 몽골에서 날아와 한반도나 일본 홋카이도 등에서 겨울을 나는 전형적인 철새다. 몸무게는 6500~9500g, 몸길이는 135~145cm로 몸집이 비교적 크며, 다리는 회색이다(‘한반도 조류도감’, 송순창·송순광, 김영사, 2005).
그런데 학은 우리에게 가깝게 다가오는 새가 아니다. 독수리처럼 무섭지는 않은데 어딘지 접근하기가 녹록지 않다. 자태가 조금은 ‘거만’하면서도 우아한 것을 높이 여겨서인지 오래전 우리 선조는 학을 우리가 사는 지상과 하늘 사이를 오가며 메신저 역할을 하는 영(靈)적인 새로 생각했다. 이를 아주 선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고려시대 청자다. 구름 사이를 오르내리는 학 무늬를 상감으로 매병에 새겨 넣은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瓷象嵌雲鶴文梅甁)’이 바로 그것이다(사진 1).
이와 관련해 필자는 구름 사이를 평화롭게 오르내리는 학을 보면서 머리에 붉은 모자(cap)가 없어 늘 아쉬웠다. 왜냐하면 학을 영문으로 표현하면 ‘Red Crowned Crane’이기 때문이다. 그러던 차에 이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고려 1100년을 기념하기 위해 연 전시회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에서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보지 못했던 ‘붉은 모자’를 쓴 학을 보았다(사진 2).
물론 조선시대 그림에서는, 특히 병풍(屛風) 화폭에서 ‘붉은 모자’를 쓴 학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런데 왜 도자기에서는 ‘붉은 모자’를 쓴 학을 보기 어려운 걸까? 이는 도자미술사 연구자들이 풀어야 할 과제가 아닌가 싶다. 여하튼 ‘진짜 학’을 만나 기쁜 전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