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도시 피렌체에 대해 누가 소개 좀 해 주시죠.” “아, 피렌체는 꽃의 도시죠. 영어식으로 플로렌스인데 이탈리아어로 피렌체죠. 도시 문장도 꽃이고.” “이 도시는 뭐니 뭐니 해도 메 부자의 도시죠.” “메 부자라뇨?” “메디치! 다니다 보면 온통 메디치의 흔적이잖아.”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곳은 상인과 길드의 도시죠. 그들이 이 도시를 건설했죠.” “아닙니다. 이곳은 근대 과학의 발상지죠. 갈릴레이가 이 도시에서 근대과학의 기틀을 만들었습니다.” “역시 실망시키지 않는군. 하하하.”
여러분도 이미 눈치 채셨겠지만, TV 프로그램 ‘알쓸신잡’ 이야기다. 매주 이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금요일이면 TV 앞에 앉는다. 이 프로그램을 기획한 나영석PD는 다 아시다시피 예능계의 스타 PD다. 원래 KBS에서 ‘1박2일’을 연출하며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tvN으로 옮기며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삼시세끼’, ‘윤식당’, ‘꽃보다 할배’ 등 손대는 프로마다 대박을 터뜨리고 있다. 나PD는 어느새 새로운 예능 장르를 개척한 선구자이며 이미 한 예능계 문파의 맹주가 된 느낌이다.
나PD의 기본 바탕은 ‘여행’이다. 영리하게도 이 시대의 로망이 된 ‘여행’ 콘셉트를 바탕에 깔고 등장인물들이 마치 대본 자체가 없는 듯이 수다를 떨고, 뜬금없이 밥을 해 먹거나, 식당을 차려 운영한다. 또한 요즘 드라마 외에는 거의 보이지 않던 시니어 배우를 등장시켜 생각지 않은 웃음과 감동을 선사한다. 코미디언이 나와야만 웃음을 끌어낸다는 그동안의 고정관념을 깨고 배우나 가수들이 모여 연기 아닌 일상을 보여줌으로써 재미를 유발하는 발상이 창의적이고 신선했다.
그런 나PD가 드디어 교양에 접목한 것이 바로 ‘알쓸신잡’이다. 처음엔 대중적으로 유명인이 아닌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등장해 과연 재미를 유발할 수 있을지 의아했으나 역시 나영석은 성공작을 만들어냈다. 물론 재미있는 상황설정이나 구성원들의 말솜씨에 기인한 바 있었지만, 어쩌면 뜻밖에도 시청자의 교양에 대한 갈증이 이 프로의 성공 요인이 아닌가 한다. 과거 TV를 ‘바보상자’라 칭하던 때가 있었는데 세월이 지나 시청자의 지적 수준이 그들을 추월한 지 오래다.
무엇보다 이 프로의 성공이 우연은 아니라는 증거가 프로그램 이름에 들어있다. ‘알쓸신잡’이란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기한 잡학사전”을 줄인 말인데 본디 ‘알아두면 쓸 데 있다’와 ‘알아봐야 쓸데없다’는 것이 논리적 표현인데 이를 마구 잘라 붙여 논리를 비트는 묘한 재미를 준다. 그들이 비록 어려운 전문적인 세계에 대해 떠들지만, 못 알아들어도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의도를 절묘하게 드러낸 데서 시청자들에게 지적 만족과 정서적 쾌감을 동시에 전하는 것이다.
그 ‘알쓸신잡’이 드디어 해외로 진출했다. 인류문명의 발상지인 그리스를 거쳐 르네상스의 본고장 피렌체와 근, 현대 최대 비극의 중심지인 독일로 향한다. 거치는 곳마다 등장 패널들의 수다가 이어진다. 때로는 개인적 취향과 감성을 드러내고, 때로는 그곳에 형성된 문화와 문명의 배경을 이야기한다. 알아봐야 별 쓸데는 없다. 그런데도 묘하게 몰입된다.
본디 쓸데없는 것이 위대하다는 것을 일깨운 이는 노자(老子) 선생이다. 이 세상이 쓸 데 있고 실용적인 것만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우리 문명은 인간의 쓸데없는 호기심이 만든 것 아닌가. 오늘날 현대문명이 이다지도 삭막하고 우리의 노년이 이렇게 쓸쓸한 것은 ‘알아두면 쓸데없는’ 어린애 같은 호기심을 잃었기 때문인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