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졸업 전까지 까까머리를 강요당하는 시대를 살아왔다. 이른바 ‘탈개인화 시대’였다. 성장이 필요했던 시절 국부 통치 하를 살던 사람들은 가시적 통제를 받아야 했는데 그것이 바로 탈개인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군중 혹은 집단 속에서 때때로 자신의 정체성을 자각하지 못하는데 이 현상이 탈개인화다.
멋 부릴 수 없던 앞머리 1cm 수렁
고등학교 때는 ‘스포츠머리’라고 하여 앞머리 1cm가량 기르는 것이 허용됐다. 교문에 들어설 때마다 규율부가 하는 일이 머리 단속. 고학년이 되면 규율부와 친해져서 허용치를 약간 웃돌기도 했으나 그래 봤자 까까머리였다. 교련 선생이 불시 단속이라도 나서면 규정 위반한 학생의 머리 한가운데에 시원하게 바리캉(헤어클리퍼)으로 만든 고속도로(?)가 나는 참사가 빚어지곤 했다. 그 한풀이었을까.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보니 장발이 유행했다. 하지만 군사독재 정권은 미니스커트와 함께 장발도 경범죄로 단속했다.
고등학교 시절 사대부고 여학생과 잠시 만난 적이 있다. 사대부고 학생은 긴 머리에 멋진 베레모까지 써서 세련의 극치를 달렸다. 짧은 머리 때문인지 나는 도무지 그녀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교복을 벗어 던지고 사복을 입어도 짧은 머리 때문인지 ‘미성년자’라고 이마에 쓰여 있는 것만 같았다. 짧아도 너무 짧은 머리카락 때문에 기운 빠졌다. ‘미성년자 관람 불가’ 영화는 물론 그 당시에는 학생들이 못 가는 곳이 많았다.
장발 단속, 또 까까머리, 그리고 유니폼 시절
성년이 된 이후 얼마 되지 않아 군대에 입대하고 나니 또다시 까까머리가 됐다. 군복까지 입으니 힘을 못 썼다. 민간인과 군인이 같이 걸어가면 ‘사람 한 명과 군인 한 명이 간다’고 했다. 군인은 사람으로 취급받지 못한 것이다. 가슴 뛰는 외출 때면 군복을 다려 입고 구두도 광을 있는 대로 내서 멋을 내고 나갔지만, 군인은 군인일 뿐이었다. 지나가는 사람들의 시선이 군인에게는 머물지 않았다. 군대야말로 탈개인화 현상을 강요해야 하는 집단이었다. ‘조국 수호’라는 대 명제 아래 명령에 복종한다. 적과 대치했을 때 탈개인화가 안 되어 있으면 목숨 걸고 적과 싸울 수가 없기 때문이다. 건설회사에 다닐 때는 늘 청색 점퍼를 입었다. 회사에서 무상 지급해주는 유니폼이었지만 편했다. 건설 현장이 어디나 그렇듯이 해 뜨면 일하고 해가 져도 불 켜놓고 일하던 시절이었으므로 오직 일에만 몰두하라는 분위기였다. 예비군복을 입었을 때가 가장 편했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예비군복을 입으면 정체감은 잠시 잊게 되고 만취에 무단 방뇨 정도의 웬만한 일탈은 사회적으로도 인정해주던 시절이었다. 머리를 자르고 유니폼을 입는 것은 탈개인화 현상의 대표적인 통제 수단이었다.
탈개인화와 멀어진 현재의 삶
이제는 누군가 나에게 유니폼으로 탈개인화를 강요할 일은 없을 것이다. 정체성을 유지하고, 하고 싶은 대로 살면 된다. 부모님이 하지 말라던 것, 학교에서 하지 말라던 것 다 무시하고 대중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일이라면 거리낄 것이 없다. 모두 그런 사람들만 모이다 보니 개성이 너무 강해 의견 통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에 봉착할 때가 있다. 모임 후 음식점 하나를 골라도 서로 입맛과 취향이 달라 음식점 하나 결정도 어려울 때가 많다. 특히 탈개인화 현상을 겪어 보지 않은 또래 여성은 의견 일치가 더 어렵다. 최근 서울시교육청이 중·고교 학생의 교복과 두발 자유화를 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시대의 요구사항이기도 하지만, 이를 통솔하는 교사들은 골머리 꽤 아플 것이다. 지나고 어른이 되고 나이가 들고 보니 통솔하는 입장에서 탈개인화가 일정 부분 좋은 부분이 있었구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