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상관측 이래 가장 뜨거운 여름이 가고 있다. 구름 한 점 없이 청명한 하늘이 원망스러운 여름이었다. 강이 바닥을 드러내고 호수가 말라 땅이 갈라졌다. 한국에 일하러 온 아프리카 사람들 사이에 한국 날씨가 더워서 못 살겠다는 유머가 돌 정도였다. 온열 병 환자 중에 사망자도 많이 발생했다. 농작물은 타들어 가고 가축들도 집단 폐사했다. 기온은 매일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식수공급이 중단된 지역도 생겼다. 급기야 태풍만이 이 비상사태를 잠재울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매스컴에서는 북태평양에서 매번 태풍이 발생할 때마다 한반도 상륙 가능성을 보도했다. 중국이나 일본으로 방향을 틀 때는 모두 안타까워했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고 했던가. 말이 씨가 된다고 했던가. 아무튼, 우리가 간절히 원했던 대로 더위도 잠재우고 비도 가져올 수 있는 태풍 솔릭이 한반도로 향했다. 문제는 솔릭의 행보가 심상치 않았고 제주도를 비켜 가면서 보여준 위력은 한반도를 덮치면 그 위력이 어마어마할 수 있겠다는 불안을 키웠다. 서남 해상에서 그 속도를 4㎞까지 줄이며 폭우와 강풍을 휘몰아칠 때는 더 큰 공포가 밀려왔다. 한반도의 허리인 수도권을 가로 지르면서 어마어마한 바람과 폭우를 쏟아부으면 가공할 만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연일 매스컴에서 떠들어댔다. 강풍에 대비하려면 창문을 엑스자 모양으로 테이프를 붙이는 것보다 사방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를 붙이는 게 효과적이라고 그림까지 보여주면서 공포를 조장했다. 과거 사라호 태풍부터 한반도에 엄청난 피해를 준 대형 태풍의 피해 영상 자료들도 총출동했다. 태풍이 상륙하는 지점이 태안반도, 군산, 평택 등으로 수시로 바뀌면서 상륙 지점 주민들을 불안하게 했다. 전국의 학교는 휴교령이 발령됐다. 모 방송국에서는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태풍의 진로를 따라가면서 그 생생한 피해 현장을 보도하겠다는 야심 찬 태풍 실시간 중계 계획을 발표했다.
그 모든 예측과 달리 태풍 솔릭은 방향을 급선회해서 목포 인근으로 상륙했다. 상륙하기 전에 이미 많이 약화되어 한반도를 지날 동안 예상보다 적은 피해를 남겼다. 일부 매스컴에서는 수도권에 피해를 주지 않아서 그나마 다행이라고 했다. 수도권에만 사람이 사는 것도 아닌데 그런 방송맨트를 듣고 있자니 영 불편했다. 농작물 피해는 피해가 아닌지도 묻고 싶다. 농작물 피해는 곧 농민들의 피해로 직결된다. 더 기가 막힌 것은 그렇게도 기다렸던 태풍 솔릭이 가뭄 해소에는 역부족이라고 아쉬워들 했다. 기대했던 만큼의 비가 오지 않아 해갈에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농민들이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을 방송에서 여과 없이 내보내는 것도 듣기 불편했다. 원하고 원해서 태풍 솔릭을 보내줬는데도 우리는 불평불만을 그치지 않았다. 인간사도 그렇지 않은가. 도움이 절실한 누군가에게 필요한 도움을 줬더니 고마워하기는커녕 충분한 도움이 안 되었다고 불평불만 하는 것과 다를 게 없다. 이번 늦여름 물 폭탄은 그런 의미에서 자연의 응징 같다. 그리도 원하던 태풍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얼마나 물을 더 줘야 만족하는지 보자’하는 자연의 응징 말이다.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다. 매년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나 용하게도 매년 장마가 오고 태풍이 와 주어서 가뭄이 어느 정도 해소되곤 했다. 물관리를 잘 한 게 아니고 운이 따랐기 때문이다. 올해처럼 장마가 짧고 더운 날씨가 길어지면 식수도 부족한 지경이 된다. 농민들은 여름 내내 작물에 물 대느라 고생한다. 그러나 이번처럼 곡식이 익어갈 때 내리는 늦여름 물 폭탄은 농사를 완전히 망쳐버린다. 질병관리본부의 올바른 손 씻기 홍보영상을 보면 무려 6단계의 방법으로 30초 이상 손을 씻으라고 권장하고 있다. 수돗물을 틀어놓고 30초 동안 받아보니 세면기 하나가 가득 차 넘치는 정도의 양이다. 매번 이렇게 많은 양의 물을 쓰면서 손을 씻어야 질병으로부터 안전한지는 모르겠지만, 부처마다 물관리에 대한 개념도 엇박자라는 생각이 든다. 올여름처럼 식수도 고갈되는 가뭄은 앞으로도 빈번히 일어날 것이다. 한반도가 아열대 기후로 바뀌어 가는 징조는 여러 가지 자연현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머잖아 국토의 사막화를 걱정해야 할지도 모른다. 유럽 여러 마을을 여행하다 보면 빗물을 저장하고 활용하는 시설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런데 정작 물 부족 국가에 사는 우리는 빗물 활용을 거의 하지 않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양호한 도로포장 상태는 빗물이 잠시라도 머물 수 없는 구조다. 작게는 개별 건물에서부터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빗물관리 계획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