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제21대 왕 영조가 효성이 지극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는 7세 남짓 어린 나이에 무수리로 입궁했다. 그 후 숙종에게 성은을 입기까지 15년 동안 궐내에서 온갖 천한 일을 도맡아 하며 힘들게 살았다. 어머니가 침방 나인 시절에 세누비가 가장 힘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영조는 평생 누비옷을 걸치지 않았다고 한다.
기록에 의하면 영조는 어머니를 떠올릴 때마다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생모인 숙빈 최 씨 외에도 중전마마인 인현왕후를 비롯해 어머니로 모셔야 하는 분이 많았기 때문에, 마음 놓고 어머니를 어머니라 부르지 못했다. 평생을 애처롭게 그리워한 어머니가 죽은 뒤에는 사당을 지어 극진히 모셨다.
종로구 궁정동 1번지에 가면 영조가 재위 기간 중 200번이 넘게 찾으며 어머니를 그리워했던 ‘육상궁’이 있다. 근래에 들어선 육상궁보다 칠궁(七宮)이란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조선 역대 왕들의 친어머니로서 왕비에 오르지 못한 7인의 신위를 모시고 있다. 육상궁 외에 경종의 생모 장희빈의 대빈궁,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 씨의 선희궁,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 씨의 경우궁 등 현재 총 7개의 궁이 있으며, 이를 통틀어 ‘서울 육상궁’이라 부른다.
이곳은 원래 경복궁 후원이었지만, 부근에 청와대가 들어서며 경복궁 담장 밖에 위치하게 됐다. 건물 앞에는 정문과 재실이 있고, 건물을 둘러싼 정원에는 정자와 소나무, 연못, 축대 등이 어우러져 사당이라기보다는 잘 가꿔진 정원 모습이었다.
문화해설사의 안내에 따라 7명의 신위를 모신 5채 신당을 둘러봤다. 드라마 속에서 왕을 사이에 두고 암투하던 후궁들이 한 담장 안에 잠들어 있다고 생각하니 그 모습이 낯설게 느껴졌다. 청와대 인근에 이렇게 아담하고 정갈한 공간이 존재한다는 게 놀라웠다. 일반 시민들에게는 존재 자체가 가려져 있었기 때문에 알지 못했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청와대 특별 관람객에게 제한적으로 개방하던 칠궁을 6월부터 시범 개방했다. 청와대 관람을 하지 않더라도 화~토요일 매일 5회(오전 10‧11시, 오후 2‧3‧4시), 회당 60명씩 무료로 볼 수 있게 됐다. 입장일 6일 전 경복궁 누리집 웹사이트에서 예약하면 참여할 수 있다.
칠궁을 관람하고 나오는 길에 청와대 사랑채 1층에서 열리는 청와대소장품 특별전을 둘러보자. 청와대가 수집한 작품들과 그에 얽힌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정권이 바뀜에 따라 수장고를 오가다가 처음으로 일반에게 공개된 전혁림 화백의 ‘통영항’도 전시했다. 4·27 남북정상회담 때 판문점에서 남북 정상이 앉았던 곳을 재현한 포토존도 있으니 기념사진을 남기기에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