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규의 心冶데이트]
국립발레단장을 맡고 변방의 한국 발레를 르네상스 시대로 이끈 최태지의 업적과 지금의 아름다운 모습이 중첩되어 한량 이봉규는 살짝 주눅이 들었다. 한국의 대표 발레리나 최태지와 올해 마지막 데이트를 했다.
1959년생이라는 것이 믿겨지지 않는 가녀린 몸매와 청초하면서 귀족같이 우아한 최태지와 마주하니까 오드리 헵번의 조용하고 아름다운 카리스마가 연상된다. 이봉규의 눈에 포착된 최태지의 기품에 한량도 살짝 주눅이 들었을까? 라운지에서 만나자마자 “왜 그렇게 젊어 보여요?”라고 따져 물었다. 그녀는 “모자라게 살아서 그럴까요?”라며 웃음으로 내쳐버린다. 시작부터 의문의 1패를 당한 꼴이다. 아름다운 외모뿐만 아니라 내공의 깊이까지 느껴진다. 어설픈 한량이 차분하게 분석해보면 아마 평생 발레를 해서 세포조직도 건강하고 정신적으로도 좋은 에너지를 한껏 받아 아직도 아름다운 젊음을 유지하는 것 같다.
정작 본인은 “발레리나 현역 활동에서 은퇴한 후에도 레슨하면서 항상 거울을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거울 앞에서 젊은 무용수들과 같이 있으면 긴장하기 때문에 자기관리를 자연스럽게 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살이 퍼지게 놔둘 수가 없다는 것. 그녀의 성공은 어쩌면 이 같은 승부근성 때문일 것이다. 내일모레면 육십을 바라보는 나이다. 거울 앞에 선 전성기의 젊은 무용수들을 보며 경쟁심이 우러러 나온다니 부럽기 그지없다.
20년 전에 미국 워싱턴 D.C.에서 발레리나 문훈숙을 인터뷰한 적이 있는데 그때도 뭔지 모를 압박감을 느꼈다. 육십이 되어 최태지와 마주앉으니까 그때보다 몇 배 더 한 발레리나의 기품에 눌리는 것이 감지된다. 국립발레단을 12년간 이끌며 아시아 최고의 발레단으로 성장시킨,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발레리나 출신의 최태지 단장의 업적과 아름답게 나이 먹은 모습이 중첩되어 그럴 것이다. 그녀는 최근 광주시립발레단장에 임명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최태지’ 이름만으로도 발레단이 주목받다
국립발레단장을 역임했던 그녀인지라 관계자들은 조심스럽게 국립발레단과 유니버설발레단으로 양분되는 한국 발레 무대가 광주시립발레단을 포함하는 3강 체제가 될 것임을 전망하기도 한다.
최태지라는 이름만으로 광주시립발레단은 일약 중앙의 두 발레단과 비교 대상으로 언급되기 시작했다는 것. 이로써 최태지·문훈숙·강수진으로 이어지는 세 스타 발레리나 출신 단장들의 대결은 현재진행형이다.
최태지는 1959년 일본 교토에서 태어나 가이타니 발레학교, 프랑스 프랑게티 발레 아카데미, 미국 조프리 발레 스쿨 등에서 발레를 전공했고, 한국인 최초로 로잔국제발레콩쿠르와 모스크바국제발레콩쿠르 심사위원에 위촉되었다. 그야말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발레를 발전시킨 산 증인이다.
하지만 발레의 명성만큼 그녀의 인생은 화려하지 않았다. 첫 번째 남편과 이혼하고 두 번째 남편과는 사별한 아픔을 간직한 채 살고 있다. 지금은 성장한 두 딸과 함께 주말이면 서울에서 살고 주중에는 혼자 광주의 한 오피스텔에서 지낸다. 실례를 무릅쓰고 어려운 질문을 던졌다. “이혼과 사별 중에 어느 것이 더 아프냐?”고 물으니, 그녀는 “눈물도 안 나올 정도로 사별이 슬펐다”고 대답한다. 발레를 하지 않았으면 견디지 못했을지도 모른다고 부연한다. 사별한 지 5년 정도 되었기에 지금은 상처가 어느 정도 아물었다.
발레 인생도 굴곡이 많았다. 결혼 후 발레를 그만두려고 80kg까지 일부러 살을 찌웠다. 그런데 뉴욕에서 첫 아이를 낳고 산후우울증에 시달리면서 치료를 위해, 그리고 자기 자신을 찾기 위해 발레학원에 등록했다.
국립발레단의 수석 무용수 출신이 뉴욕이라고는 하지만 허름한 대중 발레학원에 수강생으로 등록할 정도로 절실했다.
그렇게 다시 시작한 발레 생활 3~4개월 만에 몸도 마음도 가벼워졌다.
그 후 곧바로 한국에 들어와 국립발레단에 다시 복귀했다. 아이를 낳고 활동한 국내 최초의 발레리나가 되었다. 둘째 아이를 낳고 체중이 또 80kg으로 늘었다. 다시 발레를 시작했다. 발레로부터 도망치고 싶어 그만두면 어느새 또 발레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그녀는 “발레는 내 운명!”이라고 힘주어 말한다.
그녀의 인생은 프랑스어로 세라비(C'est la Vie, 영어로 That is Life) 같다. 중학교 시절 일본에서 한창 발레 연습에 몰두해 있을 때 그녀를 지도했던 선생은 “‘발레의 하느님’이 너를 붙잡으면 평생 도망칠 수 없을 거야!”라고 말했다.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그 말이 생각났다고 고백한다. 그 선생은 일본에서 최초로 ‘백조의 호수’를 공연한 발레리나다.
국립발레단장을 그만두고 4년 남짓 그냥 아줌마로 편하게 살며 나름대로 행복한 삶을 이어가고 있었는데, 광주발레단장을 맡은 것도 아마 ‘발레의 하느님’이 아직도 그녀를 꽉 붙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도 공연을 위해 새로운 무대에서 새로운 무대 의상을 입고 공연을 하는 무용수들과 함께 땀을 흘릴 수 있다는 것이 행복할 따름이고 들뜬다. ‘발레의 하나님’이 그녀를 선택해서 붙잡은 것이 아니라 최태지가 발레의 하느님을 먼저 꼭 붙잡고 놓지 않는 건지도 모를 일이다.
막내딸을 한국의 대표 발레리나로 키우고 싶었던 부모님
1970년대 중반 일본에 살 때 어머님과 부산에 있는 할아버지 산소에 갔는데 당시만 해도 한국은 일본에 비해 열악한 환경이었다. 어린 최태지는 상당히 놀랐다고 한다. 그 때문에 오빠들도 “한국에 가서 잘 적응하고 살 수 있을까?” 걱정하며 한국행을 만류했지만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무용수가 꿈인 어린 최태지를 막을 수는 없었다. 일본 이름인 ‘오타니 야스에(おたに やすえ)’로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최태지가 대한민국 최고의 발레리나가 된 것은 부모님의 강한 의지와 희생 덕분이다.
일본 사회에서 재일교포로 심한 차별을 견디며 살아온 부모님은 무용에 탁월한 소질을 발휘하던 막내딸만큼은 한국의 대표 발레리나로 키우고 싶었다. 아버님은 항상 어린 막내딸에게 “일본에서 왜놈들에게 머리 조아리며 돈을 벌고 있지만 너는 그렇게 살도록 내버려두지 않겠다”고 울면서 다짐했다. 그래서 일부러 민단이 운영하는 교포 학교에 보내지 않고 일본 학교에서 공부시킨 뒤 프랑스로 발레 유학을 보냈다. 경제 사정이 좋았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 후 일본 무용계에서 프리마 발레리나로 활약하다 1983년 <세헤라자데>의 객원 주역으로 초청되면서 국립발레단과 인연을 맺었다.
1987년 국립발레단 프리마 발레리나로 특채되면서 고국에서의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됐다. <백조의 호수>에서 오데트, <돈키호테>에서 키트리, <노트르담의 꼽추>에서 에스메랄다, <호두까기 인형>에서 사탕 요정, <해적>에서 메도라 등 많은 작품에서 출중한 공연으로 발레 팬들의 박수를 받았다. 국립발레단 지도위원을 거쳐 1996년에는 국립발레단장을 맡아 변방의 한국 발레에 르네상스 시대를 열어준 주인공이다. 특히 그녀가 국립발레단장 시절 ‘해설이 있는 발레’와 ‘찾아가는 발레’를 시작할 때만 해도 지나친 대중화라는 비난을 받았지만 지금은 정말 잘한 일이었다고 자타가 공인한다.
발레학교를 만드는 게 꿈
발레리나로서 이 같은 성공은 부모님의 의지와 희생 덕분이지만 막내딸의 강한 독립심이 스스로 이룩한 면도 크다고 볼 수 있다. 오빠들은 나약해서 부모님에게 의지하는 습성이 강했지만 막내딸 최태지는 어릴 때부터 독립심이 강했고 부모의 기대와 사랑도 각별했다. 오빠들은 사업의 어려움으로 부침을 겪으며 재산을 탕진했지만 막내딸인 그녀는 탄탄대로를 달렸다.
부모덕을 본 최태지는 자식 복까지 터졌다. 두 딸들의 사진을 보여주는데 역시 핏줄은 못 속인다. 엄마처럼 얼굴도 예쁘고 승부욕도 강해 잘 자랐다. 첫째(리나·30)는 러시아 보리스 에이프만 발레단의 솔리스트로 활동하다 귀국해 지금은 예고와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한양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중이다. 둘째(세나·28)도 발레를 배우다가 엄마와 언니가 너무 힘들어 보여 뉴욕대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현재 서울대 외교학 석사과정에 있다.
발레리나로서 모든 걸 누린 그녀에게 앞으로의 꿈을 물어봤더니 발레학교를 만드는 것이란다.
“창작발레도 많이 만들어야 하지만 발레학교가 꼭 필요하다. 한국에서 너무 놀란 것은 사교육비가 비싸 발레를 배울 수 있는 사람이 한정돼 있다는 사실이었다. 10세부터 18세까지 다닐 수 있는 학교가 있어야 한다. 세계적으로 봐도 발레단보다 국립발레학교가 먼저 생긴다. 한국은 거꾸로다. 기숙사가 있는 학교에서 일반 교육과 발레 교육을 받으며 중·고교 과정을 거친 뒤 전문 발레단에 입단하거나 대학에도 갈 수 있는 그런 학교가 필요하다.”
그녀의 꿈이 우리 사회의 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