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어리석을 치(癡) 어리석을 매(呆)

기사입력 2017-10-16 17:27

[동년기자 페이지] 치매에 대한 회포

“할머니 이름이 뭐예요?” 눈만 멀뚱멀뚱.

“할머니 나이가 몇이세요?” 묵묵부답.

“할머니 집이 어디세요?” 무표정.

“이 사람 누구예요?” 딴청.

그런데 한 자리 숫자를 아래로 여러 개 써놓은 종이를 네댓 개 보여주며 “아무거나 위아래 숫자를 더해보세요” 하니 10초도 안 되어 분명하게 숫자를 말한다. 모두 정답이다.

그러셨다. 일제강점기 암산 7단의 머릿속에 아직 주산만은 그대로 남아 있었던 것이다. 어머니께선 치매로 오래 편찮으셨다. 산을 좋아하셔서 친구 세 분과 세계 3000m급 산도 너끈히 등정하셨다

네 분이면 택시도 한 대, 테이블도 하나, 호텔도 한 방이면 되니 좋다 하시며 인터넷이 없던 시절 일본 잡지 <산(山)>을 구독하시고, 다녀오신 분을 수소문해 교통편, 날씨, 대사관, 호텔, 주의할 점, 금액 등을 산정하시곤 했다.

그런데 어느 날, 산을 가장 잘 타신다는 친구분이 혼자 도봉산에 가셨다가 낙상해 고관절을 다쳐 깁스를 하고 움직이질 못 하신다 하더니 그로부터 8개월 뒤 돌아가셨다.

친구 일을 겪으신 후 자식들 고생하면 안 된다 하시며 등산 장비 일체를 처분하시고 6개월을 거의 집에서 쉬셨는데 그때부터 이상이 오기 시작했다. 취미인 등산을 못 하신 뒤로 6개월 사이에 바로 증상이 시작된 것이다.

중1 때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당황스러웠던 날보다 더 놀랐다. 지금도 그 생각을 하면 경련이 일어날 정도이니 아마도 필자 인생에 가장 놀란 때가 아닌가 생각된다.

어머니는 아내와 함께 산에 모시고 가도 차에서 내리시질 않았다. 아마도 당신이 다치면 자식들이 고생한다는 생각에 지배당하고 있었던 듯하다.

그렇게 말씀이 어눌해지시고 깜빡깜빡 하시는 빈도가 높아지기 시작하더니 급성이란 이런 상황인가 할 정도로 병세가 급격하게 나빠지셨다.

2~3개월에 한 번씩 찍은 사진을 비교해봐도 눈에 띌 정도로 체중이 줄었다. 당시는 요양원 개념이 없던 시절이라 집에서 아내가 모셨는데 잠시도 곁을 떠날 수 없었고 수시로 해야 하는 빨래는 늘어만 가 결국 아내도 아프기 시작했다. 필자가 퇴근 후 집에 가면 늘 환자가 둘이었다.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신 후 이사를 갈 정도로 생각하기 싫은 시간이었다. 친구들이 만나면 치매 이야기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대화를 나누는 것은 어느 누구도 치매라는 질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자식들에게 말했다.

“너희는 할머니 경우를 봐서 치매가 어떤 병이라는 걸 잘 알고 있을 테고, 엄마가 얼마나 고생하셨고 또 그 후유증이 평생 간다는 것도 실감했을 것이니 만약 엄마가 치매에 걸리면 아빠가 알아서 혼자 책임진다. 만약 아빠에게 닥치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써놨으니 그동안 고생만 하신 엄마 가시는 날까지 잘 모시고, 될 수 있으면 너희들 오기 힘든 가장 먼 곳으로 나를 보내라. 너희들이 누군지도 모르고, 왔다 갔는지도 모르고, 죽을 줄도 몰라 살아 있을 경우 아빠는 너희들에게 추한 모습 보이고 싶지 않고, 아빠로서 너희들에게 좋은 기억으로만 남고 싶으니 요양원 비용만 계좌이체하고 절대 면회 오지 마라. 이것은 너희에게 주는 아빠의 선물이고 유산 중 일부임을 기억해라. 두렵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학연·지연·혈연은 그만! 요즘 중년의 관계 맺기 트렌드
  • 중장년의 '어른 공부'를 위한 공부방, 감이당을 찾다
  • 중년 들어 자꾸만 누군가 밉다면, “자신을 미워하는 겁니다!”
  • “은퇴 후 당당하게” 명함 없어도 자연스러운 자기소개법은?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