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가수 김광석을 잘 알지 못했다. 그가 그룹 ‘동물원’으로 데뷔한 시기가 1984년이었는데 그 당시 필자는 서독지사 주재원으로 나가 있었다. 한동안 한국 대중가요를 듣지 못하고 지내던 시기였다. 그러다가 2000년대에 들어와 노래교실에 다니면서 가수 김광석을 제대로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 노래는 소위 기타 치며 젊음을 구가할 때 한창 부르던 포크송에서 잠시 발라드로 갔다가 걸 그룹, 아이돌 시대로 가면서 발라드가 반짝 했던 때가 있었다. 그 시절 노래가 칠팔십년대 노래인데 엄격히 얘기하면 1970년대는 포크송이고 1980년대는 발라드 시대였다. 그래서 지금도 1980년대 노래를 부르면 대학 시절을 끝으로 노래를 안 하던 1970년대 세대들은 신곡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필자도 노래교실에 나가기 전에는 그랬다.
김광석은 주옥같은 노래를 많이 불렀다. 정서적으로도 우리 세대와 잘 맞았다. 가수 김광석은 노래를 잘 부르는 가수이지만, 따라 부르기 어려운 다른 가수들과 달리 부르는 사람에 따라 맛도 다르고 소화해내기도 무난했다. 사람 생김새나 하는 행동도 텁텁해서 좋았다.
김광석을 소재로 한 이 영화는 상영관이 많지 않아 애써 찾아가서 봐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티즌 평점이 10점 만점에 9,2점으로 높다. 이상호 기자가 만든 작품으로 다큐멘터리 영화다. 제20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특별언급상을 수상했고 제12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공식 초청작이다. 다큐멘터리 영화답게 김광석 사후 20년 동안 김광석의 노트, 녹취, 공연 장면 등을 세세히 담았다. 김광석의 노래를 제대로 들을 겸, 김광석의 일대기 정도로 생각하고 영화를 보기 시작했는데 정작 김광석 노래는 ‘서른 즈음에’, ‘먼지가 되어’, ‘사랑했지만’ 정도밖에 안 나왔다. 김광석은 자작곡이 많은 싱어송라이터인데 판권을 미망인이 쥐고 있어서 부득이 김광석 작사 작곡이 아닌 노래들만 나왔다고 한다.
김광석은 1996년 1월, 32세의 젊은 나이에 자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영화는 김광석이 자살할 이유도 없고 자살할 정황도 아니라고 말한다. 부모, 친척들도 모두 자살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당시 유일한 목격자는 미망인이었는데 미망인 말만 듣고 경찰이 자살로 처리했다는 것이다. 초동 수사가 미진해 확실한 증거를 못 잡았고 99% 심증은 있는데 1%가 부족해 아직 진실을 못 밝히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사건들 때문에 최근 공소시효를 없애자는 운동까지 벌어지고 있는 모양이다.
영화를 보고 난 뒤 마음이 무거웠다. 김광석 사후 20년이 지났는데도 김광석의 노래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얼마 전 대학로에 있는 극장 ‘학전’에 가서 김광석의 흔적을 보고 왔다. 가을에는 대구에 있다는 김광석 거리에도 가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