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살이 채 되기 전에 한국전쟁이 터졌다. 읍내와 가까운 집성촌 친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첩첩산중 외가로 피난을 갔다. 초등학교 입학 때까지 살았던 외가는 차를 본 일도 타본 일도 없는, 해방소식도 종전 다음 해에야 알았다는 곳이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입학을 준비할 때가 되었다. 신원이나 부동산공부 정리가 매우 미진하였던 시절, 제대로 된 ‘호적’이 필요하게 되었다. 면사무소가 상당히 먼 거리에 있어서 한 차례 일처리하려면 며칠이 필요했던 옛이야기다. 민원서류가 당일 처리되지 않고 며칠 후 찾으러 다시가야 했다. 이장이 면사무소로 출장 갈 때가 되면 동네 사람들의 민원대행을 자청하였다. 농사에 바쁜 주민들은 그에게 민원심부름을 부탁하면서 고마워하였다.
아버님은 아들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자세히 기록하여 이장에게 출생신고를 부탁하였다. 하지만 막걸리를 좋아한 그는 제때 심부름을 이행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급한 일 없는 주민들도 재촉할 이유도 없었다. 시간이 지난 다음 꼭 서류가 필요할 때에 챙기곤 하였다. 몇 해 넘겨서도 처리되지 않아 시비가 붙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다른 사람과는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형의 출생신고가 누락되어 동생 것이 먼저 되는 일도 생겼다.
한참 세월이 지난 후 이장이 내미는 호적등본을 보고 아버지는 기겁을 하였다. 집에서 부르고 족보에 기록된 내 이름 ‘백형섭’은 온데간데없이 ‘백외섭’으로 바뀌었고, 나이는 두 살이나 늦게 기록되어 있었다. 전쟁 중 태어난 세 살 터울 동생 이름에도 ‘외’가 붙었고 나이는 한 살 줄여서 두 살 차이로 만들었다. “이름과 생년월일이 이렇게 틀려서 되겠느냐?”고 아버지가 추궁하였다. 이장은 술이 취하여 작사ㆍ작곡한 잘못을 부인하면서 “외가에서 자라면 외자를 붙여야 되지 않느냐”고 오히려 반문하였다고 한다.
문제는 초등학교 다니면서 발생하였다. 동네에서 같이 놀던 친구들이 이름표에 새겨진 ‘외’자를 보고 놀려대기 시작하였다. “외가 뭐야, 참외야 물외(오이의 사투리)야?” 참외는 맛이 있지만, 물외는 반찬이나 만드는 맛없는 것으로 치부되어 별다른 관심이 없던 때였다. 부끄러워서 학교에 다니기 싫었다. 아버지에게 이름을 원래대로 바꾸어 달라고 떼를 쓰곤 하였으나 별 대책이 없었다. ‘외섭’은 수십 년 동안 족보에 오르지도 못했다.
성인이 된 다음에는 상대방이 내 이름을 기억하기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자원봉사 때나 사회교육 현장에서 자기소개를 하면서 인사를 나누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저는 ‘백-외-섭’입니다. 세상에 하나뿐인 이름입니다.” 다른 사람이 기억하기 쉽도록 또박또박 끊어서 큰 소리로 말한다. 이렇게 설명하고 나면 대부분 내 이름을 기억한다.
세상에 하나뿐인 이름 덕분에 편리한 점이 많다. 우편물이 착오로 배달되거나 엉뚱한 고지서가 날아오는 경우는 없다. 동명이인으로 헷갈리는 일도 없다. 인터넷을 검색하면 하나뿐인 내 이름에 감격한다. 다른 사람과 혼용되지 않는 오롯이 나의 글과 이야기다. 이런 호사를 누린 경우는 많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막걸리 한잔에 취하여 남의 이름을 확 틀리게 만들었던 옛 이장에게 오히려 고마움을 느끼는 대목이다.
이름은 부르기 쉽고 기억하기 좋아야 한다. 그렇다고 작명소를 찾거나 점집을 기웃거릴 필요는 없다. 항렬을 따지다가 집안끼리 중복되거나 비슷하여 웃음거리가 되어서도 아니 된다. 한자식을 고집하여 남자 이름이 여자 같고, 여자 이름은 남자 같은 경우를 주위에서 많이 본다.
대한민국에 하나뿐인 내 이름이다. ‘참외든 물외’든 외자 붙은 내 이름을 사랑한다.